우르두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우르두어 اردو |
||
---|---|---|
쓰는 나라들 | 인도, 파키스탄. 적어도 인구의 1%가 사용하는 나라 - 말라위?, 모리셔스, 바레인, 보츠와나, 사우디아라비아, 오만, 카타르, 피지. | |
지역 | 남아시아 | |
언어 인구 | 제일 언어: 6100만여명 전체: 1억 400만여명 |
|
사용 순위 | 19~21위(이탈리아어, 터키어와 동률에 가깝다.) | |
언어의 계통 | 인도유럽어족 인도이란어파 인도아리아어군 중부 인도아리아어군 서부 힌두어 힌두스탄어 우르두어 |
|
공용어/표준 | ||
공용어로 쓰는 국가 | 파키스탄. 인도의 우타르프라데시 주, 잠무 카슈미르 주 |
|
언어 부호 | ||
ISO 639-1 | ur | |
ISO 639-2: | urd | |
ISO/DIS 639-3: | 준비 중. |
우르두어(اُردو)는 술탄 및 무굴 제국의 통치기 동안 인도대륙에서 페르시아의 영향을 받아 발달한 인도-아리안계의 인도-유럽어족의 하나이다.
약 6100만 명이 우르두어를 모국어로 사용하고 있어 22번째로 많으며, 우르두어를 사용할 수 있는 사람은 1억 4백만 명에 달한다. 그리고, 우르두어를 힌두어의 하나로 보기도 하는데, 이렇게 볼 때 세계에서 네번째로 많은 사람이 사용하는 언어가 된다.
현재 파키스탄에서 공용어로 사용하고 있으며, 인도에서도 24개의 공용어 중 하나로 되어 있다.
그러나 파키스탄에서도 신드 주의 카라치 등 대도시 주민들만이 우르두어를 모국어로 사용하고 있어 우르두어를 사용하는 인구는 전체의 8% 정도인 1,070만 명에 불과하고, 가장 많은 48%의 인구가 사용하는 펀자브 지역의 펀자브 어가 오히려 더 많다.
인디아에서 우르두어를 사용하는 사람은 4,810만 명으로 전체 우르두어 사용인구의 80% 가까이 된다.
[편집] 바깥 고리
|
|||
구자라트어군 | 구자라트어 | 사우라슈트라어 | ||
빌어 | 가라시아어 - 아디와시 가라시아어 - 라즈푸트 가라시아어 | 가미트어 | 나할리어 | 노이리어 | 도리아어 | 두블리어 | 둥그라빌어 | 라타위어 | 마우치어 | 바렐리어 - 라트위 바렐리어 - 파우리 바렐리어 - 팔리야 바렐리어 | 바우리아어 | 빌랄리어 | 빌리어 | 와그디어 | 초드리어 | 파르디어 | ||
서부 힌두어 | 게라어 | 고울리어 | 바야어 | 분델리어 | 브라즈바샤어 | 카나우즈어 | 차마리어 | 하리아나어 | 힌두스탄어 - 산시어 - 카부트라어 - 우르두어 - 힌두어 | ||
칸데시어군 | 아히라니어 | 단카어 | 칸데시어 | ||
기타 | 도마리어 | 라자스탄어 | 로마어 | 펀자브어 | 포와리어 |
인도아리아어군 |
---|
고전어 : 베다 산스크리트어 - 산스크리트어 - 미탄니어 - 프라크리트어 - 팔리어 남부 인도아리아어군 · 동부 인도아리아어군 · 북부 인도아리아어군 · 북서부 인도아리아어군 동중부 인도아리아어군 · 중부 인도아리아어군 · 신할라몰디브어 |
인도이란어파 |
---|
누리스탄어군 · 다르드어군 · 이란어군 · 인도아리아어군 |
![]() |
이 문서는 언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분류: 언어 토막글 | 중부 인도아리아어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