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학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게임학은 사회 과학이나 인문학적인 관점에서 비디오 게임에 대해 분석하는 아직 젊은 분야이다. 루돌로지(Ludology)라고도 한다.
목차 |
[편집] 루돌로지와 내러톨로지
컴퓨터 과학 부문에서는 몇 년동안 기능적인 관점에서 비디오 게임을 연구했을지 몰라도, 그것을 인문학적인 관점에서 보는 것은 아직 낯선 일이다. 대부분의 컴퓨터 과학이 게임을 만드는 것에 노력하는 것과 다르게, 게임학에서는 영화 이론처럼 비디오 게임과 플레이어, 그리고 그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해 이해하려고 한다. 학자에 따라서 다른 이론적 뼈대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가장 두각을 나타내는 접근은 루돌로지와 내러톨로지이다.
루돌로지라는 용어는 전자 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게임, 특히 보드 게임을 배경으로 나타났지만, 곤잘로 프라스카가 1999년에 작성한 글에 소개되면서 인지도를 얻게 되었다. [1] 그러나 그 이름은 아직 완전히 인정받지는 못 하고 있다. 때문에 이 분야에서 가장 치열한 논쟁이 바로 내러티브와 시뮬레이션에 대한 문제이다. 어떻든간에 비디오 게임은 어느 한 쪽이거나 둘 다 아니거나 모두일 수도 있을 것이다.
내러톨로지스트들은 자넷 머레이가 '사이버드라마'라고 부르는 것을 통해 비디오 게임에 대해 접근한다. 그것은 그들이 비디오 게임을 이야기 하는 (스토리텔링) 미디어로 보고 있다는 것을 말한다. 머레이는 비디오 게임을 스타 트렉에 나오는 가상의 기술인 홀로덱에 비유하여, 비디오 게임은 플레이어가 다른 사람이 되어 다른 세계에서 행동하는 미디어라고 한다. 비디오 게임에 대한 이런 개념은 넓은 대중적 지지를 받고 있으며, Tron, eXistemnZ, The Last Starfigher와 같은 영화의 기초가 되었다. 하지만 이것은 공상 과학 영화들이 가상 현실 비디오 게임에 대해 논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에게 비난을 받기도 했다.
내러톨로지스트적인 접근은 그들의 여러 연구들에서 찾아볼 수 있다. 최근에는 비디오 게임보다는 일반적인 뉴 미디어의 개념을 더 가져오지만, 여전히 기본적으로 비디오 게임을 책이나 시, 영화와 같은 텍스트적인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
루돌로지스트들은 이런 관점을 날카롭고 철저하게 부순다. 그들의 관점은 비디오 게임은 최초의 것이자 무엇보다도 진보했고, 그들의 규칙과 인터페이스, 플레이의 개념에 의해 용어가 정리되고 이해될 필요가 있다고 한다. 에스펜 아르세스같은 루돌로지스트는 게임들이 확실히 플롯, 캐릭터, 그리고 전통적인 내러티브의 모양을 가지고 있다고 해도, 이런 것은 게임의 플레이에 있어 부수적인 것에 불과하다고 말한다. 한 에세이에서 그는 기억에 남을 말을 했다. "라라 크로프트의 몸매같은 것은 영화 이론에서도 논의된 바와 같이 나같은 플레이어에게는 관계없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 몸매가 내 게임 플레이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내가 게임을 플레이할 때 나는 그녀의 몸을 보지도 않지만, 이미 무시하고 쓸모없게 된다."[2] 또 다른 루돌로지스트인 스튜어트 몰드롭은 조금 더 온건한 관점을 취하고 있다. 그는 어떤 의견 하나가 게임을 사회적인 문맥에서 독립시킬 수는 없지만, 아직은 어떤 의미있는 의견으로 보아도 기본적으로 게임은 내러티브가 아니라고 말한다.
다른 의견으로, 조금 교묘하게 루돌로지와 내러톨로지 사이에서 이중적인 입장을 취하는 것도 있다. 보통 루돌로지는 '내러톨로지'를 전혀 인정하지 않는다.[3] 최근에 생겨난 영화와 비디오 게임의 교차점에 대한 의견은 맷 한슨의 책 셀룰로이드의 종말에서 등장했다. 책에서는 일인칭 다큐멘터리(1인칭 슈팅 게임에서 유래된 게임 장르), 화신, 디지털 배우, 캡슐 내러티브, 그리고 머시니마에 대해 다루고 있다.
[편집] 참고
- ↑ Frasca, Gonzalo (1999). 루돌로지가 내러톨로지를 만나다: (비디오) 게임과 내러티브의 유사점과 차이점 (HTML). Ludology.org. 2006년 6월 14일에 읽어봄.
- ↑ Aarseth, Espen J. (2004-05-21). 장르의 문제 (HTML). Electronic Book Review. 2006년 6월 14일에 읽어봄.
- ↑ Frasca, Gonzalo (2003). 루돌로지스트는 이야기도 사랑한다: 자리를 차지하지 못 하는 논쟁에 대한 기록 (PDF). Ludology.org. 2006년 6월 14일에 읽어봄.
[편집] 외부 연결
- Gamestudies.org: 비디오 게임에 대한 온라인 학술 잡지.
- PlasmaFire.org 과학이 현대의 비디오 게임 설계와 플레이에 있어 어떻게 사용되는가. 사용자들이 기고한 보고서들과 포럼이 이 사이트의 초점.
- Ludology.org: 루돌로지의 온라인 토론장.
- Gameology.org: 게임학 커뮤니티를 위한 논평과 자료들.
- Buzzcut.com: 비판적인 비디오 게임 이론.
- EternalGamer.com: 철학, 이론, 비평을 통한 게임의 연구.
- 디지털 게임 연구 협회
- Joystick101.org: 위스콘신 매디슨 대학이 후원하는 게이밍과 교육에 대한 사이트.
- Grand Text Auto: 기계에 의한 내러티브, 게임, 시, 그리고 예술.
- Terra Nova: 가상 세계에 대한 온라인 토론장.
- Games * Design * Art * Culture
- The Ludologist: 게임학을 주제로 한 블로그.
- Ludonauts: 놀이 매체의 탐구.
- Association for Applied Interactive Multimedia: 더 나은 교육과 수학을 위한 소프트웨어와 게임 기술.
- .brain 비평적인 비디오 게임 이론과 루돌로지.
- Sirlin.net 경쟁적인 게이밍에 초점을 맞춘 비디오 게임 이론 사이트.
[편집] 추가 자료
- Ryan, Marie-Laure - Narrative as Virtual Reality -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1, ISBN 0-8018-6487-9
- Manovich, Lev - The Language of New Media - MIT Press 2001, ISBN 0-262-13374-1
- Bolter, Jay David, and Richard Grusin -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 MIT Press 2001, ISBN 0-262-52279-9
- Aarseth, Espen J - Cybertext: Perspectives on Ergodic Literature -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7, ISBN 0-8018-5579-9
- Hanson, Matt - The End of Celluloid: Film futures in the digital age. - Rotovision 2004, ISBN 2-88046-783-7
- Salen, Katie and Zimmerman, Eric - Rules of Play. Game Design Fundamentals - MIT Press 2003, ISBN 0-262-24045-9
- Newman, James - Videogames - Routledge 2004, ISBN 0-415-28192-X
- Wardrip-Fruin, Noah and Harrigan, Pat (eds.) - First Person. New Media as Story, Performance, and Game - MIT Press 2004, ISBN 0-262-23232-4
- Juul, Jesper - "Games Telling Stories: A brief note on games & Narratives", Games Studies, Vol 1 Issue 1, July 20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