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수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국수는 주로 밀가루로 만든 반죽을 가늘고 길게 만든 다음 말거나,말린후 끓는 물에 삶아서 먹는 음식이다. 다양한 재료로 만든 국수와 고명을 얻어 먹는다. 주로 밀가루로 만들기는 하지만 계란같은 부재료와 함께 섞어 면을 만들기도 한다. 기원전 6000년에서 5000년경에 아시아지방에서 만들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수는 다양한 나라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만들어 지지만 공통적으로 그 긴 모양 때문에 수명이 길어지기 원하는 상징물로 여겨진다.
[편집] 유래
중국,아랍과 이탈리아에서는 각자가 서로 국수의 원조라고 주장하고 있다. 2005년 10월에 중국 황하강 유역의 라쟈지방에서 4000년 정도 된것으로 추정되는 가장 오래된 국수의 흔적이 발견되었다.
[편집] 제조 방법
다음은 대표적인 국수를 만드는 방법이다.
- 자장면의 국수는 계속 길게 잡아 늘여서 만든다. 약간 두꺼운편이고 쫄깃한 식감이 난다.
- 칼국수는 얇게 펴서 말은 다음 칼로 썰어 길고 가늘게 면을 만든다.
- 냉면은 구멍이 뚫린 도구를 사용하여 반죽을 밀어내어 면을 만든다.
- 우동은 발로 밟아서 탄력있게 반죽을 한 다음 칼로 썰어서 면을 만든다.
위의 짜장면,칼국수,냉면은 반죽에서 국수를 만들어 내자 마자 바로 익혀 먹는 방법인데 비해 소면이나 인스턴트 라면, 스파게티면 등은 국수를 만든후 건조시키거나 한번 익힌 후 건조시켜서 오랫동안 보관, 유통하기 쉬운 형태로 만들어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