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문자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그림 문자 또는 회화 문자는 낱말이나 생각을 그림으로 나타내는 문자이다.
그림문자는 상형문자 앞단계의 것으로 볼 수 있다.이것은 대상을 나타내는 도형,또는 몇개의 결합에 의하여 하나의 관념이 그림문자이다.이런 종류의 그림에 의한 전달은 북아메리카 인디언 사이에서 널리 사용했으며 바위,뼈등에 그렸다.이 그림문자는 세계 각지의 선사시대 유물에서도 많이 찾아볼수있다. 어떤 인디언 사이에서는 붉게 칠한 인체는 상처 입은 사람을 표시하는등 했다.어떤 부족에는 색을 기준으로 백색은 평화,흑색은 죽음,적색은 승리,청색은 패배등으로 색으로 표시했다.
[편집] 발전
멕시코계의 아스테카인들이 발전을 시켰다. 에스파냐 사람이 16세기 멕시코에 왔을 무렵,한창 그림문자를 중심으로 하는 아스테카 문자를 사용하고 기록등을 했다.아스테카 문자는 북아메리카의 경우와 같지만 표의문자또는 음절문자를 만들었다.1~9까지는 점으로 20은 깃발등으로 표현했다.(아스테카의 숫자를 더보실려면 세계의 숫자참고)
분류: 정리가 필요한 문서 | 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