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삭제 토론/책 표지를 촬영한 그림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편집] 책 표지를 촬영한 그림
아래의 내용은 과거의 삭제 토론으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토론 결과 삭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ja:Wikipedia:井戸端の過去ログ/2006年9月#本の表紙のアップロードは에서 책 표지를 촬영한 그림을 촬영한 그림의 저작권에 대해서 표지에 저작권이 포함되는 그림이 있으면 표지의 저작권자의 허가가 없으면 카메라에서 촬영한 것이라도 올릴수 없다는 회신을 받았는데 삭제를 요청합니다.--효리♪ (H.L.LEE) 2006년 9월 27일 (수) 11:38 (KST)
- 그림:도쿠로.jpg
- 그림:Gunparde march novels.JPG
- 그림:Full metal panic novels.jpg
- 그림:에반게리온 DVD.jpg
유지 - 이곳은 일본어 위키백과가 아닙니다. 이미 그 부분에 대해서는 체계적으로 정리된 것으로 아는데요? - Ellif 2006년 9월 27일 (수) 11:47 (KST)
유지 이곳이 한국어 위키백과입니까, 일본어 위키백과입니까? 일본어를 못하는 제게는 전혀 근거가 없는 소리로 들리며, 윗분 말씀대로 이미 정리되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으므로, 유지에 한 표입니다. --peremen 2006년 9월 27일 (수) 12:09 (KST)
의견 라면 봉지 디자인도 저작권을 주장할 수 있다고 알고 있는데, 그림:Instant ramen.jpg은 그러면 공용에 왜 살아 있습니까? --peremen 2006년 9월 27일 (수) 12:12 (KST)
의견 그 이전에 책 표지에도 저작권이 있습니다.GFDL,PD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en:Template:Book cover,en:Template:Comiccover,en:Template:DVDcover처럼 공정사용으로 밖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효리♪ (H.L.LEE) 2006년 9월 27일 (수) 12:28 (KST)
유지 - 그렇게 엄격히 따진다면, 위키백과에는 어떠한 사진도 올라올 수 없습니다. 저작권 문제가 없는 물건이 세상에 어디 있습니까? 사진 배경으로 얼핏 찍혀 나온사람에게는 초상권이 있으며, 사람이 입고 있는 옷과, 물건 등에도 디자인에 대한 저작권이 있습니다. 사실 저 책 배경으로 나온 장판에도 장판을 디자인한 사람의 저작권이 있는것 아닙니까? --마소리스 2006년 9월 27일 (수) 12:37 (KST)
의견 글쌔요, 그것과는 좀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위에 효리님이 링크하신 사진들은 의도적으로, 또한 정면으로 표지를 촬영한 것이므로 표지를 그대로 스캔한 것과 다를게 없지 않습니까? 이 경우엔 저작권을 주장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뉴욕시의 빌딩들을 찍은 사진인데 거기에 들어가 있는 LG 로고와 동등하게 생각할 수 없다 봅니다. - 이글은 사용자:hnc197이 2006년 9월 27일 (수) 12:46에 작성하였나,tag가 없어 임의추가하였습니다. - Ellif
의견
지금 효리님께서 말씀하고 계신 그림들은 모두 Hononnn님이 올리신 그림이군요. 참고로, Hohonnn씨의 토론 페이지에 몇몇 관리자분들께서 일부 '스캔'한 그림들에 대해 지적하신 바가 있었고, 결국에는 삭제한 적이 있었습니다. 사용자토론:Hohonnn#올리시는 그림의 저작권에 대해서를 보십시오. -- 파란로봇군 2006년 9월 27일 (목) 19:08 (KST)삭제 의도적으로 책 표지를 촬영한 것이기 때문에 저작권 문제를 피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토끼군]] 토론/기여 2006년 9월 27일 (목) 19:31 (KST)
의견 몇번씩 그림:Keroro.jpg 이야기를 해야 되나요? - Ellif 2006년 9월 27일 (목) 20:58 (KST)
의견 삭제 '토론'을 하는 것은 무의미합니다. 삭제/유지 의견 대신에 이 그림이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지, 받지 않는지 저작권법을 검토해 주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미국에서는 건축물에도 저작권이 인정되지만 건축물 사진에는 예외적으로 적용하지 않고, 독일에서는 사진에도 예외없이 저작권이 적용됩니다. 프랑스의 경우에도 에펠 탑 사진의 저작권이 만료된 것이 불과 몇 년 전의 일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또한 대한민국의 경우는 '개방된 장소에 항시 전시되어 있는' 미술 저작물에 한해 '판매 불가'등의 조건 하에 배포가 가능합니다. 현재 문제가 되는 사진은 일본의 책/DVD 표지를 가공해 만든 2차 저작물이므로, 일본의 저작권법과 이것이 대한민국으로 건너오는 경우의 저작권법 적용 상태, 베른 협약 등등을 검토해야 합니다. 법적 근거 이외의 다른 무의미한 동어반복은 하지 맙시다. 활발한 저작권 논의를 기대합니다. --Klutzy 2006년 9월 27일 (목) 22:02 (KST)
유지 전 Masoris님의 의견에 동감합니다. 그리고 효리님, 이곳은 한국어판입니다. 일본어판이 아닙니다. -- Alpha for knowledge (토론 / 기여) 2006년 9월 27일 (목) 22:34 (KST)
의견 일본어판에서 나온 이야기들 중에서도 아예 듣지 말아야 할 것, 참고해야할 것, 아니면 여기서도 적용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저는 저작권에 관해서는 일본어판 얘기라는 이유로 유지 표 던진다는 것은 제 자신이 비겁해지는 것 같습니다 :( 오히려 일본어판에서 저작권에 문제가 된다는 얘기가 나왔기에 진지하게 생각해봐야한다고 생각합니다. -- 파란로봇군 2006년 9월 28일 (목) 12:19 (KST)
의견 오해하실까봐 더 말씀드리자면, 한오백년의 뜻에 반하겠다는 것은 아닙니다. -- 파란로봇군 2006년 9월 28일 (목) 12:22 (KST)
의견 어제 저작권법을 읽어보았는데 어떠한 미술 저작물을 가지고 2차적으로 저작물을 만들면 2차 저작물은 원 저작물의 저작권에 귀속된다는 내용이 있었고, 이에 대한 예외가 몇 가지 있기는 했지만 최소한 이러한 책 표지 사진은 적용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책 표지를 스캐너로 읽어들인 그림이 저작권 위반이라는 것에는 모두 동의하리라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스캐너를 거꾸로 뒤집어 '촬영'한 경우(실제로 이런 기법이 있습니다)에는 어떻게 될까요? :) 카메라를 잘 이용해 스캔 수준의 품질을 얻는다면? 이전의 이수영 음반사진도 다시 고려해봐야(아니, 그때 저작권법을 찾아봤던 분이 있기는 했던가요?) 하고, 다른 경우도 모두 확인해봐야 합니다. --Klutzy 2006년 9월 28일 (목) 12:27 (KST)
의견 위키백과:삭제 토론/그림:100 1267.jpg을 다시 보니 정말 Klutzy님이 고생을 많이 하셨더군요! -- 파란로봇군 2006년 9월 28일 (목) 12:38 (KST)
의견 27-8일 밤에 이루어진 토론 결과에 의거, 한국어 애니만화 사진 해결책이 문제없이 적용된다면, 더이상 삭제에 반대할 이유는 없습니다. - Ellif 2006년 9월 29일 (금) 00:19 (KST)
삭제 도쿠로.jpg는 표지 스캔에 가까우니 표지 스캔을 허용하지 않는 이상 삭제하는 게 옳다봅니다. 나머지 다른 이미지는 출처와 저작권 여부가 불투명한 것 말고는 일단 중립입니다. -- ChongDae 2006년 10월 2일 (화) 16:50 (KST)
도쿠로와 에반게리온은 저작권이 분명하니 삭제했습니다. 나머지는 좀 더 의견을 받아보고 결정하겠습니다. 누구 법적 검토를 통해 저작권 위반이 아니라는 근거를 가져오실 분 없습니까? :( --Klutzy 2006년 10월 5일 (금) 19:21 (KST)
의견 일어판이라도 저작권자에게 문의한 것이고 참고할 가치는 충분합니다. 오히려 공용 핑계를 대는 것 보다는 더 법적근거가 있어 보이는 군요 --CN[토론/기여] 2006년 10월 15일 (월) 19:07 (KST)
아무도 저작권 위반이 아니라는 근거를 대지 않아서 :( 나머지 두 장도 삭제했습니다. --Klutzy 2006년 10월 21일 (토) 13:21 (KST)
위 토론은 보존된 것입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마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