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앰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개발자 | 저스틴 프랭캘 (최초개발자) 널소프트 |
---|---|
최근 버전 | 5.33 / 2007년 2월 13일 |
운영체제 | 윈도 XP |
환경 | 윈도 |
종류 | 미디어 플레이어 |
라이선스 | 클로즈드 소스 |
공식 웹사이트 |
윈앰프(Winamp)는 널소프트(Nullsoft)가 1997년에 개발한,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용의 미디어 플레이어이다. Free Version과 Shareware 버전을 구분하여 배포하고 있다. 윈앰프는 1996년, 저스틴 프랭캘(Justin Frankel)에 의해 탄생하였다. 윈앰프는 전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사용되고 있는 플레이어가 되고 있다.
윈앰프에서는 스킨을 사용하여 전체적인 모양을 바꿀 수 있으며, 스킨을 제작할 수 있는 방법이 공개되어 있기 때문에 많은 이들이 스킨을 제작하고 있고 사용하고 있다. 그 결과 윈앰프의 홈페이지에서는 다양한 스킨이 배포되고 있다.
[편집] 역사
첫 버전이라고 할 수 있는 윈앰프 1은 1997년 5월에 릴리즈되었다. 당시 많이 생소했던 MP1, MP2, MP3 포맷을 지원했지만 1998년 윈앰프 2가 릴리즈될 때까지 해당 포맷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많지 않았다. 윈앰프 2 릴리즈 이후 마이크로소프트 윈도 사용자들 중에서 가장 많이 다운로드된 소프트웨어들 중 하나로 꼽히게 된다.
윈앰프 2 이후에는 윈앰프3이 2002년 8월 9일 출시되었는데 윈앰프3은 윈앰프 2에서 완전히 새로 쓴 것이며 다양한 기능성을 제안한 와사비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한 것이었다. 하지만 많은 사용자들은 윈앰프3이 불안정하고 시스템 자원을 많이 사용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게다가 윈앰프3에서는 윈앰프 2에서 사용하던 플러그인과 스킨, 그리고 샤우트캐스트 플러그인이 지원되지 않았다. 그 결과, 많은 사용자들이 윈앰프3에서 윈앰프 2로 되돌아갔다. 널소프트는 이런 사용자 반응을 수렴하여 기존 윈앰프 2의 후속 버전인 2.9, 2.91를 내놓았다. 릴리즈되지 않은 2.92와 2.95 버전은 온라인에서 나타나기 시작했고 이 버전들은 나중에 윈앰프 5의 기능에 포함되었다.
윈앰프 2와 윈앰프3은 나중에 각자의 장점만을 가지고 윈앰프 5로 합쳐지게 된다. 개발자들은 "아무도 윈앰프 4 스킨을 보고 싶어하지 않을 거야"라는 농담을 하기도 했다. 윈앰프 5는 윈앰프 2의 코드베이스를 기반으로, 몇몇 윈앰프3 기능을 포함했다. (모던 스킨 같은) 윈앰프 5.0은 2003년 12월 릴리즈되었다. 그리고 2005년 갖은 노력 끝에 와사비에서 독립된 버전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후 효율성이 떨어지는 스킨과 스크립트 모듈은 더 이상 릴리즈되지 않았다.
윈앰프 5는 세 가지 버전으로 출시되었다. 라이트, 풀 버전은 프리웨어이며, 프로 버전은 등록과 US 달러 $19.95에 판매되고 있다. 라이트 버전은 최소한의 기능을 제공하며, 프로 버전은 CD 굽기와 같은 보다 고급적인 기능을 제공한다.
[편집] 기능
기본적인 기능은 아래와 같다.
- MIDI, MOD, MP1, MP2, MP3, AAC, OGG, Vorbis, FLAC, WAV, WMA, 칩튠즈 등 다양한 오디오 포맷을 지원한다.
- AVI, MPEG, 그리고 NSV(널소프트 스트리밍 비디오) 같은 비디오 포맷도 지원한다.
- 사운드 효과나 시각 효과를 위한 플러그인을 추가로 지원한다.
- 윈앰프 2의 "클래식" 스킨과 윈앰프3의 "모던" 스킨을 기본적으로 제공한다.
- 쇼트캐스트 기술을 이용한 인터넷 스트리밍 방송 재생을 지원한다.
- 유니코드로 된 메타데이터가 포함된 미디어 파일 지원.
- 아이팟과 같은 포터블 미디어 플레이어 지원.
- CD 버닝 기능을 통해 음악 파일을 CD에 담을 수 있다. (프로 버젼)
- 단축키 지원.
- 포맷 변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