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낙용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정낙용(鄭洛鎔, 1827년 11월 24일 ~ 1914년)은 조선 말기의 무신이며 친일 인물이다.
1855년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과 전라도 좌수사, 지방의 군수와 부사 벼슬을 거쳐서 1879년 통제사, 1880년 병조참판을 역임했다.
1886년 공조판서로 입각하였고, 형조판서 등을 거쳐 의정부가 내각으로 개편된 후에도 농상공부대신 등을 지냈다. 1898년 독립협회에 대항하기 위한 관제 조직 황국협회가 창립되었을 때 초대 회장을 맡았다.
1899년 중추원의 의장을 맡기도 한 원로 대신으로서, 1910년 한일 병합 조약 체결 후 10월 16일 일본 정부로부터 남작 작위를 수작했다.
2002년 발표된 친일파 708인 명단, 2005년 민족문제연구소에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친일파 목록에 모두 선정되었으며, 2006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조사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106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