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나비과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
||||||||||||
![]() |
||||||||||||
생물 분류 | ||||||||||||
---|---|---|---|---|---|---|---|---|---|---|---|---|
|
||||||||||||
아과 | ||||||||||||
|
흰나비과(Pieridae)는 배추흰나비, 흰나비,노랑나비등을 포함하는 나비의 한 과이다.
[편집] 애벌레와 어른벌레의 생태
흰나빗과의 어른벌레는 애벌레의 먹이가 되는 양배추, 배추 등에 알을 낳는다. 배추흰나비의 애벌레인 배추벌레는 식욕이 왕성해서 북조선에서는 한해 농사를 망칠 정도로 피해를 심하게 보았다고 한다. 이러한 식탐은 다른 종류의 나비애벌레들도 마찬가지이다. 애벌레는 탈바꿈과 번데기 과정을 거치는 완전변태과정을 거쳐서 어른벌레로 성장한다. 노랑나비의 경우는 자운영등의 콩과식물을 먹이식물로 삼는다. 어른벌레인 배추흰나비는 유채꽃등의 노란색의 꽃에서 꿀을 먹는데, 수명이 짧기 때문에 번식활동에 집중한다.
[편집] 천적
배추흰나비의 애벌레 즉, 배추벌레의 천적으로는 기생벌인 배추벌레살이고치벌과 금좀벌이 있다. 기생벌은 배추벌레의 몸에 알을 낳는데, 장 앙리 파브르의 《곤충기》에 따르면 배추벌레의 체액을 먹는다고 한다. 이렇게 자란 기생벌의 애벌레는 배추벌레가 번데기가 되면 어른벌레가 되어서 빠져나오는데, 고치벌의 경우는 숙주의 몸에서 빠져나와서 고치를 만든다. 알벌은 배추흰나비의 알에 기생하는 천적으로, 곤충학자들은 벌이 배추흰나비의 페로몬을 알아내서 산란장소를 알아낸다고 한다. 그래서 나비가 알을 낳는동안 옆에서 자신의 알을 낳는다는 것이다. 어른벌레도 곤충을 잡아먹는 거미등에 의해 수가 조절되는데, 몸이 느려지는 더운날씨에는 활동을 중단하는 것으로 천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한다.
![]() |
이 문서는 동물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