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Eliece 암호체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암호학에서 McEliece 암호체계는 로버트 매켈리스가 1978년에 제안한 비대칭 열쇠 알고리즘이다. 그러나 실제로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이 알고리즘은 오류 정정 부호의 일종인 가파 부호를 사용한다. 큰 행렬을 개인 열쇠와 공개 열쇠로 사용해야 하는데, 이것이 이 암호 방식의 가장 큰 단점이다. 공개키는 거의 219 비트 정도로 매우 길다.
McEliece 암호체계는 열쇠의 크기가 지나치게 크다는 점 이외에도 여러 단점이 있다. 암호문은 평문의 2배로 불어나기 때문에, 효율적이지 못하다. McEliece 암호체계를 깨뜨리려는 시도는 오랫동안 있었지만, 아직 성공적인 공격방법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McEliece 암호체계는 이미 안전하지 않다고 알려진 배낭 문제와 유사한 문제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에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있다.
[편집] 알고리즘
McEliece 암호체계는 다음 세가지 알고리즘으로 구성된다.
- 열쇠 생성 알고리즘
- 암호화 알고리즘
- 복호화 알고리즘
열쇠 생성 알고리즘과 암호화 알고리즘은 확률론적 알고리즘인 반면, 복호화 알고리즘은 결정론적 알고리즘이다.
McEliece 암호체계에서는 공통적으로 라는 세개의 보안 매개변수를 공통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보통
정도를 안전한 값이라고 권장한다.
![]() |
이 문서는 암호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분류: 암호학 토막글 | 비대칭 열쇠 암호체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