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Whlee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목차 |
[편집] 자기 소개
이름 성명
영문 : LEE Woo-Ho
한글 성명 : 이우호
성씨 본 관: 이 (李) from Jeonju Yi Clan (全州李氏)
항렬자/돌림자/generation name : 우(愚)
Given Name : 호 (虎)
Japanese : 錦原 禎虎 (Hiragana : にしきはら よしとら Romaji :Nishikihara Yoshitora)
Chinese : 李愚虎 (Pinyin : Lĭ Yú Hǔ)
Vietnamese : 李愚虎 (quốc ngữ/國語: Lý Ngu Hǔ)
별칭 : Tora-Chan [[とらちゃん("Tiny Tiger")
국인 : Korean
국적 : French
현재거주지 : 주 민 등 록 번 호 :
출생의 장소 : Strasbourg (France)
Location : Paris (France)
나이 : 26 양력:1979년8월 10일 (간지 : 기미년(己未年)(Yin Earth 양띠))음력: 6월 18일 (辛未월 己酉일)
Places i lived before :
Strasbourg, Alsace, my hometown
Mulhouse, Alsace, one year : a very ugly town
Lyon, Rhône-Alpes, 6 months
Paris suburb, since March 2004
지원부문 희망근무지역
[편집] 학력사항
Sciences and Technolgy 프랑스 교육제도
Before LMD (September 2005)
After LMD
- 초동학교
출신교 : Finkwiller
입학 년월:
졸업(수료)년월:
초등 1학년(CP : Cours préparatoires, 예비과정)
초등 2학년 (CE1 :Cours Elémentaire, première année, 기초과정1)
초등 3학년(CE2 :Cours Elémentaire, deuxième année, 기초과정 2)
초등 4학년 (CM1 :Cours Moyen première année, 중급과정1)
초등 5학년 (CM2 :Cours Moyen deuxième année, 중급과정2)
- 중학교
출 신 교: La Providence
입학 년월:
졸업(수료)년월:
초등 6학년 (Sixième, 6학년)
중학교 1학년(Cinquième, 5학년)
중학교 2학년(Quatrième, 4학년)
중학교 3학년(Troisième, 3학년)
BEPC(Brevet d'Etudes du Premier Cycle: 중학교교육수료증)
- 고등학교
출 신 교: Notre-Dame
입학 년월:
졸업(수료)년월:
고등학교1학년(Deuxième,2학년)
고등학교2학년(Première, 1학년)
고등학교3학년(Terminale,졸업)
전공 : Baccalaureat Scientifique Mention SVT spécialité Phys-Chimie
졸업(수료)년월:
[편집] Bachelor (BS) Degree in Chemistry (학사과정)
- Université Louis Pasteur 대학교 in figures :
Academic Ranking of World Universities in 2005 according to the Shanghai Jiao Tong University :
- 3rd in France
- 30th in Europe
- and 92th in the World
- Quality of Education : Score on Alumni 29.4
- Quality of Faculty : Score on Award 22.9
- Quality of Faculty : Score on HiCi 19.2
- Research Output : Score on N&S 19.5
- Research Output : Score on SCI 32.7
- Size of Institution : Score on Size 22.4
- Total Score : 24.7
Source : Top 100 World Universities
Chemistry Department before LMD(in French)
Chemistry Department after LMD(in French)
Chemistry Department after LMD(in French)
- L1 : DEUG 1 대학교1학년생/Diplome de 1er Cycle (제 1기 교육과정)
전공 :
입학 년월:
졸업(수료)년월:
- L2 : DEUG 2 대학교2학년생/Diplome de 1er Cycle (제 1기 교육과정)
전공 :
입학 년월:
졸업(수료)년월:
DEUG(더그)과정/Diplome d'Etudes Universitaires Generales(일반 교양학부학위/대학교양과정 수료증/대학 일반과정 수료증/일반 전문대):대학교양학부 과정으로 2년 과정이다.
- L3 : Licence 학사과정/Diplome de 2ème Cycle (제 2기 교육과정)
Licence 과정 : 우리나라의 학사학위에 해당하는 과정으로 1년이 소요된다.
Program Courses before LMD (in French)
Program Courses after LMD (in French)
전공 : Chimie 입학 년월: 졸업(수료)년월: 논문제목:
[편집] Material Science Master Degree (석사과정)
- M1 : Research Master Degree/Diplome de 2ème Cycle (제 2기 교육과정)
Initially called Maitrise de Chimie-Physique
Maitrise (석사)과정 : 석사학위가 수여되며 1년 과정이다.
Since the LMD reform it was renamed into : Mastère Mention Matériaux
출 신 교: ULP
전공/Major : Matériaux Polymères
Program Courses before LMD (in French) Program Courses after LMD (in French)
입학 년월:
졸업(수료)년월:
논문제목:
- M2 : Professionnal Master Degree/Diplome de 3ème Cycle (제 3기 교육과정)
Initially called DESS Formulation des systèmes colloïdaux et polymères
DESS (Diploma of Superior Specialized Studies) 고등 전문연구학위 or 전문실무과정 or 전문고등학위 or 전문특수학위 or 고급전문기술인
DESS (대학 5학년으로 1년 과정)학위는 이론보다는 실무적인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하며 직업경력이 있는 사람들이 일정수의 정원을 구성하며 교수진으로도 실무를 담당하는 전문인들이 참여한다. 각 학교마다 교육 과정상 중점을 두는 분야와 특성에 차이가 있으나 공통적으로 실무분야에서의 연수와 논문심사(프로젝트)를 거쳐 심사에 통과해야만 졸업이 가능하다.
Since Bachelor/Master/Doctorate Reform, it was renamed into Master Professionnel (M2) Mention Matériaux Spécialité: Formulation des systèmes colloïdaux et polymères
출 신 교:ENSC Mulhouse 공과대학/화공 전문대학
ENSCMu = Zh : 米卢斯国立高等化学学院 = Ja : ミュールーズ国立化学大学院
전공/Major:
입학 년월:
졸업(수료)년월:
논문제목:
[편집] Mastère Spécialisé/Advanced Master / Post-graduate Degree 대학원과정(석사과정) 이상의
- 전문 석사과정/대학원 1년자
출 신 교: ITECH-Lyon 공과대학/화공 전문대학
ITECH = Zh 里昂化学与纺织学院/纺织与化学学校 = Ja : リヨン繊維化学技術大学 /リヨン繊維化学技術院
Program Courses(in French)
대학원 세부전공 :제제화장품학 대학원과정 (製劑化粧品學 大學院課程)
입학 년월:
졸업(수료)년월:
논문제목:
CNRS(仏国立科学研究センター)
- 전문 석사과정/대학원 2년자
출 신 교: ESIEE-Paris 공과대학/화공 전문대학/
ESIEE = Zh : 高等电子学与电子技术工程师学院 = Ja : 電子電気工学技術高等学院
Program Courses (in French)
대학원 세부전공 :과학예측 (科學豫測)(Science Forecasting), 기술감시(技術監視)(Technological Watch/Research Analysis), 경쟁정보 (竞争情報/企业智力)(Competitive/Business Intelligence) 대학원과정(大學院課程)
입학 년월:
졸업(수료)년월:
논문제목 :
[편집] 정밀 화장품학 / Specialty Care Chemicals
애경산업/Aekyung Specialty Chemicals
SunJin Chemical
Acryl emulsion 3906.00.0000 구진화학공업사 GUJIN CHEMICAL CO.
(주)정원화학 JUNGWON CHEMICAL CO., LTD.
칠성고분자(주) CHILSUNG CO., LTD.
1. CJ
2. Namyang Aloe
3. Pigeon
4. 3M
6. Phil Chemicals
석유화학업계 : 39】
(주)고합
금호미쓰이화학(주)
금호석유화학(주)
금호폴리켐(주)
금호개발P&B사업부(주)
금호케미칼(주)
용산화학(주)
대림산업(주)
대한유화공업(주)
동부한농화학(주)
동서석유화학(주)
삼남석유화학(주)
삼성BP화학(주)
삼성석유화학(주)
삼성종합화학(주)
S K케미칼 (주)
신호유화(주)
애경유화(주)
S K (주)
SK에버텍(주)
LG석유화학(주)
LG-Caltex정유(주)
(주)LG화학
여천 NCC(주) 울산석유화학지원(주)
이수화학(주)
제일모직(주)
(주)제철화학
코오롱유화(주)
한국알콜산업(주)
한국카프로락탐(주)
한국포리올(주)
한국화인케미칼(주)
한화석유화학(주)
현대석유화학(주)
호남석유화학(주)
한국BASF(주)
(주)효성
한국석유화학공업협회
【비료업계 : 3】
남해화학(주)
삼성정밀화학(주)
한국비료공업협회
【소다업계 : 1】
우인화학(주)
【정밀화학업계 : 5】
(주)코실
애경산업(주)
동부정밀화학(주)
동양화학(주)
한국정밀화학공업진흥회
【Am/EU-Cham : 20】
Air Products Korea, Inc. Akzo Nobel Arch Chemicals Korea ATOFINA Korea Bayer Korea Betzdearborn Korea, Ltd BP Korea Ltd. Ciba Specialty Clariant Korea Dow Corning Dow Chemical Korea. DyStar Korea Dupont (Korea) Inc Eastman Chemical Korea Hercules Korea Chemical Kemira Rhodia Korea Rohm and Haas Korea Co., Ltd. Shell Pacific Enterprises Ltd. Union Carbide Chemicals
【기 타 : 3】
화학경제연구원 화학시험연구원 대한석유협회
[편집] 화장품회사 / Cosmetics
http://kscia.or.kr/chemphp/com_index/sort_search.php?Current=3&sort=M&sort1=&dif=pro
EVERCOS CO LTD
WELSKIN CO LTD
NOWCOS CO
NABION CORP
KOLON INC
HANACOS CO LTD
KISS PRODUCTS INC
KMC EXIM CORP
2. CJ ENPRANY
6. Hyundai Cosmetics
10. LCC (Nivea) Cosmetics
17. Dodo Cosmetics
18. Cosmecca Korea
가인코스메틱 GA IN COSMETICS CO. (주)고은화장품 GOEUN COSMETICS CO., LTD. (주)고려화장품 KOREA COSMETICS CO., LTD. (주)금비화장품 KUMBI CO., LTD. 금성코스메틱 GOLD-STAR COSMETICS
나드리화장품(주) NADRI COSMETICS CO LTD
(주)남양알로에 NAM YANG ALOE CO., LTD. 네슈라제약(주) NESURA PHARMA. CO.
대오화장품(주) DAE O COSMETICS IND.
데이코스(주) DAYCOS CO. LTD. (주)동양화장품 DONGYANG COSMETIC CO., LTD. 디오코스택(주) DIOCOSTAK CO., LTD.
라미화장품 / LAMY COSMETICS CO LTD
레다코스메틱 LEDA COSMETICS
로제화장품(주)/Rosee Cosmetics
(주)럭키코즈메틱스 LUKY COSMETICS CO., LTD.
마리코스화장품 MARICOS COSMETIC (주)미가람 MIGALAM CO., LTD. 미라화장품(주) MIRA COSMETICS CO., LTD. 미주화학공업(주) MIJU CHEMICAL IND. CO., LTD. (주)베베코 화장품 BEBECO COSMETIC CO., LTD. (주)보다나 BODANA CO., LTD. (주)보미화장품 BOMI COSMETICS CO., LTD.
보령메디앙스(주) BORYONG MEDIANS CO., LTD.
브릭코스메틱 BRICK COSMTICS CO.
(주)비봉파인 BIBONG FINE CO., LTD.BEEBONG FINE
비주코스마 BIJUCOSMA CO. 사랑새화장품(주) SARANGSAE COSMETICS CO., LTD.
16.(주)사임당화장품 SAIMDANG COSMETIC CO., LTD.
(합)삼성화장품 SAM SUNG COSMETICS MERGER
삼희화장품(주) SAM HEE COSMETICS CO., LTD.
상아제약(주) SANGA PHARMACEUTICAL CO., LTD.
주)세모 SEMO CO., LTD.
(주)생그린 15. Saenggreen Cosmetics/FRESH GREEN CO. LTD. 서울에쎄 SEOUL ESSE CO. (주)샤몽화장품 CHAMON COSMETICS CO., LTD. 선보화장품 SUN BO COSMETICS CO.
소망화장품(주) 5. Somang Cosmetics/SOMANG COSMETICS CO., LTD. 씨엠코리아 CM KOREA CO., LTD.
아마란스화학 AMARANCE CHEMICAL (주)아모스 AMOS CORPORATION 아세아화학(공) ASEA CHEMICAL (주)알로에마임 13. Aloemaiim Cosmetics/ALOE MAIM CO., LTD. 애경산업(주) 14. Aekyung Cosmetics/AEKYUNG INDUSTRIAL CO., LTD. (주)에뛰드 ETUDE CORPORATION
8. (주)에바스 Evas Cosmetics
(주)에스티씨나라 STC NARA CO., LTD.
(주)엘리앙뜨화장품 ELLI ANTEN COSMETICS CO., LTD. 엘스포화장품(주) ELSPO COSMETICS CO., LTD.
(주)LG화학 LG CHEMICAL LTD. (주)엘트리화장품 ELTLI COSMETICS CO.,LTD. 옥수화장품 OK SOO COSMETICS (주)오진화학 (주)OH JIN CHEMICAL CO., LTD.
영일약품공업(주) YONG IL PHARMACEUTICAL CO., LTD. 우신화장품 WOO SHIN COSMETICS
(주)정산실업 JUNG SAN IND. CO., LTD.
제일제당(주) CHEILJEDANG CORPORATION 9. (주)쥬리아 /Julia Cosmetics
(주)참존 CHARMZONE CO LTD
(주)청담화장품 CHUNGDAM COSMETICS CO., LTD.
(주)코리아나화장품 KOREANA COSMETICS CO LTD
(주)코스마인코리아 COSMAIN KOREA CO., LTD. 코스맥스(주)/ Cosmax
코스핀화장품 COSPIN COSMETICS CO.
태웅화장품(주) TAEUOONG CO., LTD.
(주)포쉬에 POSHE CO., LTD.
(주)푸른화장품 GREEN COSMETICS (주)풀무원 PULMUWON 프로아트화장품 PROART COSMETICS CO.
(주)피어리스/PEERES COSMETIC CO LTD
희노애락(喜.怒.哀.樂),엑시몬(Eximone),포맨(For men),시크리트9(Secret-9),클리어비타(Clear vita),하우투(H.o.w.t.o),닥터A(Dr.A),해피샤워 (Happy Shower),피어 시리즈(Peeres)
한국코스모화장품(주) KOREA COSMO COSMETICS (주)한국존슨앤드존슨 JOHNSON & JOHNSON KOREA LTD. 12. 한국콜마(주)/Kolmar Cosmetics
(주)한국폴라 POLA KOREA INC. 3. 한국화장품(주)/Hankook Cosmetics
한독화장품(주) HANDOK COSMETICS CO., LTD. 4. 한불화장품(주) / Hanbul Cosmetics
(주)한생화장품 HANSAENG COSMETIC CO., LTD. (주)화진코스메틱 HWA JIN COSMETICS CO., LTD.
동방미래화학(주) DONGBANG FUTURE CHEMICAL CO., LTD.
[편집] 회사 / Pharmaceutical Companies
1. Su-Heung Capsule
2. Daewoong Pharmaceutical
3. Dongkoo Pharmaceutical
4. Daelim Pharmaceutical
5. Dong-Wha Pharm
6. Jeil Pharm
7. Youngpoong Pharm
8. Yuhan Pharm
[편집] 가족사항
관계 : 兄
성명: 이우현
연령 : 28
출신학교 : IUFM Strasbourg
근 무 처
직 업:
직위 : 선생
동거여부 : 不
[편집] 직장경력/경 력 사 항
근무(연수)기간
근 무 처
직장(연수)명
직위(교육기관)
담당업무(교육내용)
퇴 직 사 유
[편집] 자 격 면 허
종 류
취 득 일
[편집] 연수및사회봉사
기 간
내 용
교내외 서클활동
[편집] MY STUFFS
- Economie Droit Intelligence économique L’intelligence économique se définit comme un ensemble d’actions coordonnées de recherche, de traitement, de distribution et de protection de l’information utile aux acteurs économiques et obtenue en toute légalité. Aussi appelée « veille stratégique », elle est devenue le nerf de la compétition économique que se livre les différentes entreprises. L’intelligence économique s’applique à différents domaines : la veille stratégique, la veille technologique, la veille concurrentielle, la veille commerciale, la veille brevet, la veille produit, la veille sociétale…. Un dossier complet sur l’intelligence économique (enjeux, techniques, …). re/VS.pdf (30 pages - 565 Ko) Un autre dossier. .pdf (13 pages - 1,7 Mo) Un diaporama de synthèse. [1] (46 diapositives - 292 Ko)
Theme : Kyongsangdo Dialect : [2]
[편집] IMJIN WAERAN
KW : 南原 1597 이복남 [3]
KW = Shin Rip - Kim Yomul - Thousands - Tangumdae [4] (2) 무력한 조선의 방어체제 - 상주전투
조정의 명을 받은 문경새재 아래쪽의 경상도 수령들은 각자의 병력을 이끌고 대구 금호강변에 모여 순변사 이일의 도착을 기다린다. 그러나 여러날을 기다려도 순변사 이일은 오지 않고 어떤 연락도 없다. 장마비가 내리는 가운데 대오도 진지도 갖추지 못한 오합지졸의 조선군은 군량미의 보급마저 끊기고 시시각각 접근하고 있는 왜군에 대한 급보와 달리는 파발마와 함께 묻어오는 피비린내나는 전쟁소문에 깨강정처럼 흩어진다.
할수 없게된 지방수령들은 남은 군사 약간을 이끌고 이일이 당도했다는 상주로 간다. 그러나 이미 군대라고 부를 수 조차 없는 상태인 조선군은 여기서도 무너진다. 그들의 행태를 한번 살펴보자. 상주목사 김해는 순변사를 마중간다는 핑계로 깊은 산골짜기로 도주하고, 나머지 군관과 군사들도 그 뒤를 따라 흩어진다. 대구에서 온 지방수령들도 대부분 도주한다.
상주의 판관 권길이 홀로 남아 외롭게 상주를 지킨다. 뒤늦게 4월 23일 상주에 당도한 이일은 크게 노하며 애궂은 권길을 목베려한다. 권길이 군사를 급히 모으겠다고 사정하여 목숨을 구하고 관청의 창고를 열어 쌀을 나누어주며 백성을 불러모으자 600명 정도의 장정이 모여들고, 급히 장정들에게 대오를 갖추는 법, 진영을 만드는 법, 활쏘는 법 등을 가르친다.
저녁무렵 한 촌노가 달려와 왜적이 접근했음을 알리자 군대가 동요한다. 순변사 이일은 헛소문을 퍼트려 군대의 사기를 떨어뜨린다며 대노하여 정찰병을 내보내지는 않고, 만약 저녁까지 왜적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죽이겠다고 촌노에게 으름장을 놓는다. 결국 적의 접근을 알린 촌노는 그날밤 참수형을 당해 죽는다..
다음날 상주성 북쪽의 북천강변에서 농민군의 훈련을 실시하고 있을 때, 삼면을 에워싸고 1000여명의 왜군선발대가 쳐들어 오고 조총소리가 하늘을 진동한다. 급히 진형을 갖추어 왜적에 대응하려 하지만 군령은 대답없는 메아리가 된다. 조선군사 10여명이 조총사격에 쓰러지자 군대는 흩어지기 시작한다. 다급해진 순변사 이일은 왜적을 향해 활을 쏘도록 명령하지만 훈련도 제대로 받지 못한 농민병사들이 쏜 화살은 고작 10여걸음 앞에 떨어진다.
전세가 불리해지자 순변사 이일은 그를 따라 온 종사관 윤섬과 박호를 보며 "그대들은 나를 따라 후일을 도모하자" 라고 말하여 도주할 것을 제안한다. 그러나 종사관 윤섬은 "장차 무슨 면목으로 주상(임금)을 뵙겠습니까?" 라고 한 뒤 홀로 적중에 뛰어들어 싸우다 전사한다. 종사관 윤섬은 외아들인 친구가 이일의 종사관으로 뽑히자 친구를 대신하여 이일을 따라온 젊은 무관이었다.
종사관 박호는 이일이 도망친 후에도 우왕좌왕하는 군사를 이끌고 퇴로를 뚫어 상주 북쪽 산골짜기까지 후퇴하였으나 "내가 18세에 장원급제하여 주상의 은혜를 입었거늘, 오늘 군사를 잃고 패장이 되었으니 어찌 하늘을 우러러 바라볼꼬" 라고 탄식하며 자결한다. 박호는 당시 홍문관 부수찬으로 이일의 종사관(보좌관)으로 따라온 젊은 인재로 경상감사 김수의 사위이기도 하다.
예조좌랑 이경류도 우연히 상주에 머물다 이일의 막하에 들었으나 이일이 도주한 후에도 적과 전투 끝에 전사한다. 도망친 이일은 문경에 도착하여 패전을 조정에 알리는 장계를 올리고 충주에 온 신립을 찾아간다.
(3) 충주 탄금대 전투.
4월 26일 충주에 도착한 신립은 북방에서 부터 따라온 여진족과의 전투경험이 풍부한 측근 군관들을 주요 지휘관으로 하여 충주에 모인 조선의 기마대 병력 8000여명을 충주 근방 단월역에 주둔시킨다. 신립은 여진족과의 전투에서 기마전술로 명성을 날린 무장 출신이었다.
그는 군대의 편성을 기병을 주력으로 하여 마친 후, 군관 몇명을 대동하여 조령까지 정찰을 나간다. 천혜의 요충지인 조령이었지만 그의 판단은 달랐다. 험한 산세의 조령은 여진을 정벌하기 위해 그가 말달리던 북방과 달리 자기의 주특기인 기마전술을 쓸수 없는 산지였다.
"적은 보병이고 우리는 기병이니 넓은 들에서 싸워야 우리가 유리하다. 더구나 적이 이미 조령 아래까지 진출햇다고 하니 우리가 고개까지 올라와 진형을 짜기전에 적과 마주친다면 위험하다." 신립은 탄금대에 배수진을 치기로 결정한다. "우리 군사는 대부분 새로 급하게 모인 병사로서 훈련이 부족하고 지휘와 명령에 일사불란 하지 못하다. 따라서 사지에 몰아넣고 그 투지를 드높여야만이 싸울수 있다."
그러나 이때 소서행장의 일본군 제 1군은 상주를 26일 떠나 당일로 문경에 도착하여 하루를 지내며, 조령의 험한지형을 알고 복병을 두려워하여 조령을 정찰한다. 정찰 결과 조선군의 복병이 없음을 안 소서행장은 27일 한낮에 조령을 넘고 운명의 4월 28일 새벽 일본군은 충주 단월역에 도착하여 탄금대에 배수진을 친 신립의 조선군과 대치한다.
조선군이 기병임을 본 소서행장은 조심스럽게 조선군을 3면에서 포위한 후 접근한다. 신립은 기병 1천기에게 중앙의 적을 항해 돌격명령을 내린다. 조선의 기마병이 돌격해오자 보병뿐인 왜군은 수많은 시체를 남기며 후퇴하고 미처 후퇴하지 못한 500여명의 왜병들은 조선군의 후속공격에 사살된다.
승세를 탄 신립장군은 적의 본진을 쓸어버리려고 다시 한번 돌격명령을 내리지만 일본군의 조총사격이 시작되며 돌격에 나선 조선의 일천 기마대는 쓰러지고 만다. 먼저 돌격하던 기마대가 거의 전사하는 것을 본 조선군은 흥분한다. 제 1열 일천이 다시 돌진하고 뒤이어 2열 3열이 줄지어 돌진한다.
혼전이 벌어지며 적의 조총부대의 전열을 유린하기는 햇지만 후방에 도착한 일본군 제 2군 가등청정의 선발대가 전투에 가세하면서 적의 창병과 궁수에 의해 조선기마대는저지되고 전세는 점점 불리해진다. 흩어진 병력을 수습한 신립장군은 종사관 김여물 등 역전의 군관들과 함께 직접 최후의 돌격을 감행하지만 참패하고 장군도 가슴에 총상을 입는다. 신립장군은 종사관 김여물과 함께 남한강에 투신하여 순국하신다.
한편 이때 신립의 막하에 머물러 백의종군하던 순변사 이일은 다시 도주한다. 강변을 따라 도주중에 마주친 적병 몇을 말발굽으로 밟아 죽여 목을 베어 말꼬리에 매달고 한강을 건넌 후 충주전투의 패배를 알리는 장계를 올리고 한양으로 간다. 아..탄금대여..통한의 탄금대여...
<군사적 관점에서 본 탄금대 전투>
신립장군의 오판으로 인한 조선군의 궤멸이었다. 물론 용감히 싸우다 장군은 순국하셧지만 그의 오판마저 칭송할 수는 없다. 조선군이 훈련이 없을수록 야전에서의 적과의 정면승부보다는 진지수비전이나 농성전으로 시간을 끌며 후속지원군을 기다렸어야 했다. 장군은 여진족이라는 게릴라 수준의 적들만 상대해봤던 자신의 기마전법 경험을 너무 과신했다.
또한 병사들을 분발시키기 위한 배수진도 잘못된 판단이다. 당시나 지금이나 탄금대 일대는 논과 수렁이 있는 곳이고 건기에는 말랐을지 모르나 음력 4월 말경이라면 장마철이었다. 질척거리는 수렁 속에서 조선의 기병대는 빠른 기동이 생명인 기병대의 장점을 거의 살리지 못한거로 보인다. 일만 오천 정도의 적 보병을 상대로 8천의 기병이 몰살을 햇다는 것은 아무리 조총이 위력이 대단했다고 가정하더라도 터무니 없는 결과이다.
또 한가지 신립장군의 오판을 더 든다면 그는 예비대, 매복부대도 없이 적과의 정면 승부만을 고집했다는 것이다. 5천 정도의 기병대로 정면 승부를 걸고 3천 정도의 기병대는 적의 후미에 매복하여 적의 전열이 흐트러졌을 때 후미를 공격하거나 그마저도 여의치 않앗다면 우회기동이라도 해서 적의 뒤를 쳤어야했다.
KW : Namwon Castle 남원성 싸움의 전개
조선의 관군과 명나라 구원병이 왜군과 직접 싸움을 시작하게 된 것은 왜군이 남원에 대부분 도착한 정유년 8월 13일 부터이며 남원성이 함략된 8월 16일까지 싸움이 계속되었다. 이에 관한 기록은 상당히 많다. 조경남(趙慶男)이 쓴 《난중잡록(亂中雜錄)》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하자. 난중잡록은 조경남이 당시 남원에 살고 이었으며, 그런 관계로 남원성 싸움을 직접 보면서 사실을 기록한 것이다. 싸움이 시작된 첫 날인 13일의 상황부터 살펴 보자. 먼저 왜군의 진격 및 전력배치 상황을 알아보자. 왜군은 좌․우양부대로 율치와 숙성령을 넘어 남원에 진격하였다. 각 부대의 왜군 영장들은 남원성의 일반상황을 정찰한 뒤 공격부대를 추첨으로써 결정하였다. 왜군은 먼저 남원성에 대한 공격부분을 결정한 다음 요천강변에 이르러 3방면으로 성을 포위하였다. 즉 한 대열은 방천(防川) - 선원(禪院) - 향교 앞 장성교를 거쳐 남원성의 서문 방면을 포위하였고, 다른 한 대열은 칠장(漆欌) - 덕음봉(德陰峯) - 율장(栗場) - 대모천(大母泉)을 거쳐 이미 서문을 포위한 부대와 연결하였다. 또한 나머지 한 대열은 유병(遊兵)이 되어 대로를 통과하여 남원성의 동쪽 대문을 향해 포를 쏘면서 함성을 지르고 전진, 퇴각하도록 하였다. 왜장들은 향교산(왕산), 기린산, 덕음봉, 빙고봉 등에 올라가 천막을 치고 지휘소를 만들어 지휘하기도 하였다. 또 어떤 왜장은 진중에서 직접 지휘하기도 하였다. 양원은 이 때 남원성 안에 엄명을 내리고 군기를 헛되이 쓰지 못하도록 하였다. 이 날 정오경에 왜병 5명이 동문 밖 위에 서 있었다. 그러나 양원은 몰래 문밖의 외성 안으로 나아가서 조선 관군 가운데 명포수였던 부장 김익룡과 사복(司僕) 양득(梁得), 그리고 별패(別牌), 정금(鄭金) 등을 시켜서 일시에 포를 쏘게 하니 왜적 5명 가운데 3명이 쓰러졌다. 그러자 나머지 2명은 쓰러진 왜병의 시체를 끌고 도망갔다. 그러자 나머지 2명은 쓰러진 왜병의 시체를 끌고 도망갔다. 오후 2시경에 왜병 100여명이 칠장과 선원 쪽으로 함성을 지르면서 성 밖 100보 되는 거리까지 진격한 뒤 나란히 서서 남원성을 향하여 조총으로 공격하였다. 그러나 조선관군이 성안에서 계속 적진을 향해 진천뢰를 쏘아대니 왜군의 진 가운데에는 많은 사상자기 발생하였다. 이로 말미암아 왜군이 잠깐 물러갔다. 그러나 왜군들은 목숨을 아끼지 않고 대낮에도 용감하게 남원성을 공격하여 왔다. 이것을 본 양원은 야간에도 반드시 왜군이 남원성으로 쳐들어 올 것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그래서 미리 능철을 호 밖에 많이 부설하여 놓았으며, 또 징판을 만들어서 석교 위에 몰래 깔아 놓았다. 이 날 밤에 양원이 직접 문 밖에 앉아서 변을 기다리고 있는데, 밤11시경(2更)이 되자 어디서인가 사람의 발자국 소리가 들려왔다. 이에 양원은 머리를 들어서 주위를 자세히 살펴 보았다. 그러자 과연 왜군3명이 징판을 거두어 한쪽으로 치운 뒤 석교를 건너오고 있었다. 이에 양원은 곧 명령하여 동․서․남․북문 앞의 석교를 철거케 하였다. 왜군의 진영에서는 밤새도록 불을 피우고 함성을 지르면서 남원성에다 포를 쏘아대는 것이었다. 그리고 나머지 왜적들은 사방으로 흩어져 민가로 들어가 약탈과 방화를 일삼으니, 연기와 불꽃이 달빛을 기리웠다. 이러한 왜군들의 위세에 의하여 남원성 안에 난을 피하여 있던 민심은 매우 흉흉하였다. 또한 이날 왜군의 선발대 10여명이 성 밑에 도착하여 밭과 들 사이에 숨어 삼삼오오 떼를 지어서 성 위를 향하여 조총을 쏘아댔다. 왜적의 조총공격은 잠간 멈추었다가 다시 공격하기를 여러차례 반복하였다. 성 위의 조선관군은 승자소포로 대항하였으나 왜군의 본진영이 멀리 있고 또 유격병을 내어 교전하다가 진영으로 돌아갔다가 다시 나오면서 번갈아 공격하였다. 이로 말미암아 조선관군이 적을 향하여 포를 쏘아도 한명의 적도 맞힐 수가 없었다. 그러나 왜군의 총탄은 성 위의 조선관군을 이따금씩 명중시켜 조선관군이 총탄에 맞아 쓰러졌다. 이렇게 공격이 오고가는 가운데 왜군이 한 병사가 성 밑에 와서 성위 사람을 향하여 만나자고 하였다. 그러자 양원은 가정 한 사람을 시켜 통사를 데리고 나가서 왜군을 만나보게 하였다. 그 가정은 왜군으로부터 왜장의 서신을 받아서 가지고 돌아왔다. 그런데 그 서신은 약전서로 싸울 것을 미리 약속하는 것이었다. 이상에서 살핀 바와 같이 전투 첫 날인 13일은 왜군의 대부분이 남원성 주위에 도착하여, 공격부대를 결성하고 남원성을 포위한 뒤 포위망을 좁히려고 공격을 했지만 이에 대해 조선의 관군과 명나라의 구원병이 진천뢰, 승자총 등을 계속 적을 향해 쏘아대니 포위망을 좁힐 수 없었던 것이다. 그 뒤 소수의 병력으로 조선의 관군과 명나라의 구원병을 교란시켰다. 이는 조선의 관군과 명나라의 구원병의 전력을 미리 파악하기 위하여 교대로 소규모적이고 산발적인 공격을 한 것 같다. 전투 이틀째인 14일 왜군은 숙성, 원천으로부터 산을 가득 채우면서 성 밑에 내려와 포위를 더욱 완벽하게 하였다. 이것은 13일 까지 도착하지 못한 후속부대가 도착하여 병력이 증가되었기 때문이었다. 14일 이후 에는 왜군의 병력 추가와 관련된 사료가 발견되지 않는 것을 보면 이 날까지 왜군의 병력이 완전히 남원에 도착한 것 같다. 왜군은 이 날 토목공사를 대대적으로 하였다. 즉 커다란 나무를 베어 운제(雲梯:긴 사다리) 를 만들고, 벼와 토석을 대모천 부근에 운반하여 메우고 통로를 만들었다. 또 민가의 판자를 모아서 방책을 세웠다. 이와 병행하여 성 밖에 있는 민가의 타다 남은 담장 벽에 구멍을 뚫어 총을 쏠 수 있게 하였으며, 삽교 부근에 높은 사다리를 세워 놓고 성 안을 내다 볼 수 있게 하였다. 왜군은 이처럼 토목공사를 하는 한편 계속 조선의 관군과 명나라의 군대를 공격하였다. 왜군의 공격에 의하여 조선의 관군과 명나라 구원병이 많이 죽었다. 이로 말미암아 성 동남 쪽의 성첩이 텅 빌 정도였다. 정오에 왜군은 칠장 쪽에서 함성을 지르고 포를 쏘면서 남원성을 향하여 돌진하여 오니 총탄이 우박 쏟아지는 듯 했으며 그 소리가 천지를 진동시켰다. 한편 서문 방면의 왜군은 만복사에서 사천왕상을 수레에 싣고 성 밖을 돌아다니면서 시위를 하니 성안의 조선의 관군과 명나라 구원병이 이에 크게 당황하기도 했다. 양원은 “적군이 매일 싸움을 걸어와서 아군의 사기가 떨어졌으니 적에게 약하게 보이면 보일수록 불리하다”고 하면서 “오늘은 성문을 열고 출격하여 적과 싸우리라” 하였다. 이러한 양원의 계획에 대해서 중군 이신방은 “그렇게 하는 것은 만전의 계획이 아니다. 성을 굳게 지키면서 구원병이 오기를 기다리는 것이 더욱 상책일 것이다”라고 생각하면서 이러한 견해를 양원에게 말하였으나 양원은 듣지 않았다. 양원은 곧장 병력 1,000여명을 이끌고 성문을 열고 나가서 왜군을 공격하였다. 이에 왜군은 거짓으로 퇴각을 하는 것처럼 양원에게 보였다. 양원은 그러한 왜군의 전략을 전혀 모르고 왜군을 쫓아서 석교 밖까지 나갔다. 그러자 왜군들은 숨어 있다가 여기 저기서 기어 나와 양원을 포위하면서 공격하려고 하였다. 양원이 그 때 비로소 적의 전략을 알게 되었다. 그리하여 급히 나각을 불어서 신호하고, 또 깃발을 흔들어 병력을 수합하여 성 안으로 들어왔는데 사상자가 상당수 생겼던 것 같다. 저녁 때에 조선의 관군과 명나라 구원병은 남원성 수호를 위해 다시 대오를 정비하여 성을 굳게 지키게 하였다. 이와 같이 전투 이틀째인 14일은 왜군이 대 토목공사를 일으켜 공격 준비를 하였다. 왜군은 또한 남원성을 공격하고 병력의 시위를 하였다. 조선의 관군과 명나라 구원병은 왜군의 공격으로 인하여 성첩의 수비병이 많이 죽었기 때문에 사기가 위축되었으며 인심은 흉흉하였다. 게다기 양원은 항상 자기 자신만을 과시하면서 무모한 작전을 전개하였다. 이로 말미암아 조선의 관군과 명나라 구원병에 있어 인적 물적 손실과 사기의 위축만을 초래하였다. 양원은 전투시 무모한 작전을 하였을 뿐만 하니라, 왜군이 남원에 오기 전에도 수성준비를소홀히 하였으며 날마다 술에 만취하여 조선군의 사기를 저하시킨 바가 있었다. 전투 제 3일인 15일의 상황을 살펴 보면, 양원은 동문의 누각위에 앉아서 병졸들에게 나각과 수곡을 불게 하였다. 나각과 수곡을 병졸이 불자 성 안의 군병들과 민간인들이 조용해졌다. 이때에 관가(官家; 가정 중의 서기)로 하여금 성 위에 서서 왜군을 향하여 크게 소리치게 하니 왜병 5명이 동문 밖에 도착하여 꿇어 앉아서 명령을 기다렸다. 양원은 통사(통역을 맡은 사람)로 하여금 몇 마디 말을 주고 받게 하였다. 그러자 왜병은 곧바로 광암봉 위에 있는 그들의 장수 막사로 뛰어갔다가 잠시 후 다시 돌아와서 몇 마디의 보고를 하였다. 왜군의 보고에 접한 양원은 몇 명의 군졸을 내보냈다. 왜병은 양원의 군졸을 대동하고 광암봉으로 올라가서 왜정과 회담을 하였다. 적장은 양원의 군졸을 술과 밥으로 대접한 뒤에 돌려 보냈다. 이 날 저녁 때에 왜병 5명이 동문에 와서 양원에게 뵙기를 청하니 양원은 그들을 용성관으로 들어오게 했다. 그러자 그들은 고니시 유끼나가의 말을 양원에게 전했는데 그 내용은 급히 성을 비워 달라는 것이었다. 양원은 왜병들에게 대답하기를 “내가 15세부터 장수가 되어 천하를 횡행하였으나 싸워서 이기지 않은 전쟁이 없었다. 그러한 내가 정병 10만으로서 여기에 와서 남원성을 지키고 있다. 뿐만하니라 퇴각하여 남원성을 비우라는 상부의 명령은 아직 받은 바가 없다”고 하였다. 왜병은 양원의 대답을 듣고 남문으로 나갔다. 그런데 또 다시 왜병이 와서 말하길, “천여명 밖에 없는 천총의 군사로서 어찌 100만대 군을 당해내겠는가? 명나라 장수들은 조선에 대하여 무슨 은혜가 있어서 뒤에 후회할 일을 하려고 하는가”하니 양원은 몇 마디 말을 주고 받은 뒤에 돌려 보냈다. 남원성은 며칠 동안 적에게 포위되었으므로 왜군의 위세는 날로 왕성해져갔던 반면 조선의 관군과 명나라의 구원병의 사기는 날로 떨어졌다. 한때 명나라 구원병들은 서로 부르짖고 통곡을 했으며, 우리나라 사람들 역시 도망가거나 통곡하면서 탄식만을 하기도 하였다. 왜군은 이러한 조선의 관군과 명나라 구원병들의 사정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더욱 성에 대한 공격을 맹렬히 하였다. 이날 저녘에는 비가 많이 쏟아졌는 데도 불구하고 왜군은 캄캄한 밤을 이용하여 남원성을 공격하였다. 왜군과 조선의 관군 명나라 구원병의 공방전은 먹고 자고 할 겨를이 없을 정도로 치열한 싸움이 계속되었다. 15일의 싸움은 낮에는 왜군의 대규모 공격이 없었고 산발적인 공격만 있었다. 한편 왜장 고니시 유끼나가(小西行長)는 양원에게 빨리 성을 비우라는 연락을 계속하였다. 그러나 양원은 왜군의 이러한 요청을 끝까지 거부하였다. 이러한 양원의 강경한 자세에도 불구하고 남원성이 포위된지 몇 일 안되어 조선의 관군과 명나라 구원병의 사기는 극도로 위축되었다. 즉 전의를 상실하고 도망가거나 통곡만 할 뿐이었다. 그런데, 밤에는 왜군의 공격이 성을 함락시킬 정도의 대규모 공격은 아니었으나 매우 치열하였다. 이 처럼 왜군의 공격이 심해지자 성안에 있던 군인이나 민간인들의 사기는 더욱 더 저하되었다. 왜군이 캄캄한 밤에 비가 오는데도 불구하고 대규모 공격을 했던 것은 양원이 성을 비우지 않는 것을 위협하기 위한 방법이었을 것이다. 남원성 싸움 마지막 날인 16일, 일부의 왜적은 풀과 논의 볏짚을 베어 민가의 타다 남은 담벽에다 수없이 쌓았으며 나머지 일부의 왜군은 성안에 있던 조선의 관군과 명나라 구원병을 공격, 치열한 전투를 계속하였다. 또한 왜장은 양원에게 성을 비우고 나오라는 연락을 계속하였다. 이 무렵 성을 지키던 조선의 관군과 명나라 구원병들은 사상자가 많게 되자 귓속말을 주고 받으면서 말에다 안장을 준비하면서 도망 가려고 하였다. 왜군의 주장인 우끼다 히데이에(宇喜多秀家)는 고니시 유기나가(小西行長)와 의논한 뒤 시마쓰 요시히로(島津義弘)와 가또오 요시아기(加藤嘉明)의 두 부대를 병력 12,400여명으로 하여금 향교산(왕산) 부근에 진지를 구축케 하였다. 그리하여 전주방면에서 구원하러 오는 조선의 관군과 명나라 구원병을 맞아 이들을 치기로 하였다. 이 당시 전주에는 유격장 진우충(陣愚衷)이 병력 2천명을 거느리고 있었다. 그는 양원으로부터 여러번 구원요청을 받았지만 겁을 내어 남원성으로 오려고 하지 않고 제1차로 회답하기를 “남원을 돌보다 전주를 잃을까 걱정이오”하였다. 또 2차로 회답하기를 “남원을 구하지 않으려는 것은 아니로되 임지인 전주를 경솔하게 떠나기 힘드오” 하면서 끝내 한 사람의 구원병도 보내지 않았다. 이보다 앞서 제독 마귀(麻貴)는 여러 장수들에게 분부하길 “만약 어떤 일이 발생하면 남원성은 전주에 보고하고 전주는 공주에 보고하며, 또 공주는 서울에 보고하여 서로 구원하라”고 하였다. 그러나 그의 명령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전혀 시행되지 않았다. 16일 밤에 달이 밝아서 대낮과 같이 환하였다. 8시경에 왜군의 진영에서는 큰 소리로 말하고 대답하면서 볏짚과 풀을 운반하여 호를 메웠다. 또 한편으로는 조총을 남원성 안데다 계속 쏘았는데 날아오는 탄알이 비오듯 쏟아졌다. 이로 말미암아 남원성을 수비하고 있던 조선의 관군과 명나라 구원병들은 목을 움츠라고 감히 성밖을 내다보지도 못했다. 그리하여 조선군과 명군은 왜적의 적진을 확인하지도 않은채 기어다니면서 적진이 있는 쪽을 향하여 대포를 쏘아대기는 하였지만 적중율은 거의 없었다. 따라서 왜군의 공격에 대하여 속수무책이었다. 한 두 시간 지나자 왜군 속에서는 떠들썩한 소리가 들리지 않았다. 그런데 벌써 풀단이 호안에 가득찼으며 또 흙담 안팎에도 풀단이 쌓여서 순식간에 성 높이와 같게 되었다. 그러자 왜군은 풀단을 밟고 성위로 기어 올라왔다. 6명이 먼저 올라가 성루에 불을 지르자, 이에 호흥하여 서쪽방면에서 왜군이 일시에 돌입하였다. 이 때가 10시 경이었다. 왜군이 대거 남문으로 들어오자, 명나라 구원병과 조선의 관군 및 부민들이 적군을 피해 북문으로 모여 들었다. 그러자 왜군은 이리저리 칼을 휘둘러 조선의 관군과 명나라 구원병의 군졸과 부민의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베어 죽였다. 한편 성 안의 여기 저기서 불이 일어났다. 중군 이신방은 어려서부터 군에 종사하던 역전의 용사로서 곤봉의 명수였다. 그는 창곤수 수 십명에 세우고 동문을 지키다가 성 안으로 밀려오는 왜군의 물결 속으로 뛰어 들어가니 삽시간에 왜군이 돌파되고 파문이 확대되어 가기만 하였다. 한편 천총 장표는 남문을 지키면서 말을 타고 각 진영을 쉴새없이 순시하였다. 그러다가 전세가 급해지자 장표는 호존포 10문을 일제히 쏘게 하였고 손수 불랑기 총을 쏘면서 진두에 나섰다. 이 때 양원은 용성관에서 자고 있다가 성이 함락되매 깜짝 놀라 일어났다. 그는 옷도 못 입고 맨발로 전보관 영국윤(寧國胤)의 옷과 신발을 얻어서 몸차림을 하였다. 그리고 대검 한자루만을 메고 가정 18명과 병졸 50여명을 데리고 서문으로 나왔다. 성밖에는 왜군이 여러 겹으로 포위하고 있어서 탈출하던 명나라 군사들은 적군의 칼 앞에 머리를 숙이고 죽어갈 뿐이었다. 양원은 접반사 정기원을 찾으러 다시 돌아와서 정기원을 찾은 다음 같이 나오려고 하였다. 그러나 정기원은 말을 탈줄 몰랐기 때문에 따라오지 못하니, 양원은 다시 되돌아 와서 같이 가려고 하였다. 그런데 왜군이 일시에 쫓아왔으므로 양원은 그의 말 5필을 놓아버리고 혼자서 말을 타고 서문 밖으로 나와 왜군속에 뛰어 들어갔다. 어려서부터 전쟁터에서 성장한 양원은 오른쪽으로는 하나의 장수의 목을 베고 왼쪽으로는 두명의 군졸을 쳐서 피로 물들여진 길을 헤치고 나아갈 때 그가 타고 있던 말이 쓰러졌다. 그 때 놓쳐 버렸던 다른 말이 저절로 모여 들었다. 그는 방다닥에서 방석 옮겨 앉듯이 그 말을 갈아 타고 분전하였다. 그의 가정들 역시 양원의 뒤를 따라 창과 칼을 휘두르고 활을 쏘면서 진두에 나가 싸우다가 양원과 함께 서문으로 도망가 버렸다. 한편 천송 모승선은 서문을 지키면서 당파(黨杷; 창의 일종으로 쇠스랑과 삼지창을 하나의 무기로 만든 것으로 적의 무기를 탈취하는데 사용)를 손에 쥐고 쾌창수, 낭선수와 같이 도보로 접근하였다. 그러나 그의 군졸이 말을 끌고 와서 말하길, “이것을 타고 전선을 잠깐 떠나십시요”하였다. 그는 아무런 대답도 없이 그가 있던 당피를 자신의 군졸에게 넘겨 주었다. 그리고 칼 한 자루를 쥔채로 말 위에 올라 왜군 속에 깊이 쳐들어 가서 싸웠지만 전사하였다. 그러면 조선군의 전황을 살펴 보기로 하자. 방어사 오응정은 조방장 김경노와 같이 병사 이복남의 진중에 종군하여 북문을 지키고 있었다. 오응정은 화살을 직접 자신의 군졸에게 분배하여 주고, 또 왜군에서 날아 들어온 화살을 점검하여 다시 쓰도록 하였다. 그리고 활을 쏘거나 중지토록 통제하여 화살의 남용을 막았다. 양원은 전세의 불리함을 깨닫고 자신의 수하에 있던 군졸을 보내 병사 이복남에게 같이 탈출할 것을 권하였다. 그러나 이복남은 칼을 어루만지면서 말하길 “내가 이 성과 더불어 존망을 같이 하기로 맹세하였는데 어찌 초간에 묻혀서 삶을 구하겠는가” 하면서 양원의 청을 거절하였다. 그리고 그의 부하에게 명령하여 시초를 가져오게 한 다름, 그의 주위에 쌓게 하여 언제든지 죽을 각오를 하였다. 이처럼 그는 오응정 김경노와 같이 대검을 빼어들고 군졸들의 싸움을 독려하면서 용감하게 싸웠다. 교룡산성 별장인 신호는 병사 이복남과 같이 북문을 지키다가 왜군이 성 안으로 쳐들어오자 큰 나무 뒤에서 강하게 활시위를 당겨가면서 적을 향해 화살을 쏘았다. 그러다가 화살이 떨어지자 칼을 뽑아들고 동문에서 서문으로 옮겨가면서 닥치는 대로 적을 베어 죽였다. 그 때 그의 가복이 “왜군의 세력이 이와 같으니 물러가서 산성을 지키다가 다시 일전을 도모하십시오”하였다. 그러나 신호는 가복의 청을 거절하면서, 옷을 벗고 이(齒)를 빼어 가복에게 주었다. 그렇게 한 뒤 가복에게 말하길 “돌아가서 가족들에게 나의 순의(殉義)를 알려라” 유언을 남긴 뒤 왜적과 싸우다가 죽었다. 남원부사 임현은 판관 이덕회와 같이 군사를 거느리고 왜군과 싸웠다. 이 때에 왜군의 노장 하나가 백발이 성성한데 투구도 던져 버리고 적홍색 갑옷을 입고 장창으로 도전하였다. 임현과 이덕회는 군사들로 하여금 돌을 던져서 그를 물러가게 하였다. 그러나 그 노장은 왜장 토도오 다가도라(藤堂高虎) 휘하의 와다나베나다(渡邊宗)라는 역전의 맹장이었다. 전세는 시시각각으로 악화되고 왜군의 공격이 더욱 심해지자, 병사 이복남은 방어사 오응정과 조방장 김경노 그리고 구례현감 이원춘을 조용히 바라보면서 “이제 우리의 갈 길을 갑시다”하였다. 그러자 모두 이복남의 뒤를 따라 시초를 쌓아 놓은 곳으로 가서 종사더러 불을 붙이게 하였다. 그 종사자는 울면서 화살에 불을 붙여 쏘았는데 그때 바람이 세차게 불어와 불길이 맹령했다. 이 4명의 장수들은 왜군을 물리치지 못한 한을 남기면서 불 속에서 죽어갔던 것이다. 한편 군기고를 지키고 있던 감관 박기화는 양원이 도망가고 군사들이 새벽별처럼 흩어지니 눈물을 흘리면서 말하길, “나라가 위태롭고 임금이 욕을 당하니, 신하된 자로서 사는 것은 죽는 것만 같지 못하다. 또한 성중의 군기를 어찌 적에게 넘겨 줄 수가 있는가” 하면서 무기를 화약고 속으로 운반하였다. 그리고 화약고 위에 불을 놓아 모든 군기를 태워 버리고 그 속에 뛰어들어 죽었다. 이리하여 남원성은 함락되고 성내의 공사가는 전부 불에 탔으며 죽은 사람이 5천명에 이르렀다. 명장 양원이 탈출한 뒤 은진관에 도착하여 수행인원을 조사하여 보니 요동병 3,117명 중 117명이었다고 하였으니 꼭 3,000명을 잃었다. 또한 전해오는 이야기에 의하면 남원성 싸움 직후 남원부에 가옥이 3채 밖에 남지 않았다고 했으니 남원성 싸움의 처참한 상태는 가히 짐작할 수가 있다. 명나라 군대 및 조선 관군의 죽음도 아무런 보람이 없이 남원성은 함락되었으니 역부족이었던 것이다. 이 싸움에서 조선측은 접반사 정기원, 병사 이복남, 방어사 오응정, 조방장 김경노, 부사 임현, 산성별장 신호, 판관 이덕회, 구례현감 이원춘 등을 비롯해서 의병 군졸 및 부민이 거의 다 전사하였다. 명나라 군대 역시 중군 이신방을 비롯해서 천총 장표와 모승선을 잃게 되었으며 군졸 또한 대부분이 죽었다. 왜군은 17일에 도요도미 히데요시에게 전승을 보고하고, 이틀동안 성 안에 머물러 있으면서 살인과 약탈을 자행한 뒤에 남원을 떠나 전주로 향하였다. {http://www.namwonculture.org/jaro/freeboard.html?no=824&bbs=jaryo15]
KW : 신립 이종장 천 [6]
KW : 김 여물 이종장 임진왜란 - 육군전투 [ 제 1차 진주대첩 ]
1592년 5월 하순, 김해를 장악한 일본군은 창원으로 나아가 전라도로 진입하려 했으나
성공하지 못하였다. 그러자 또다시 남해 연안을 따라 바다와 육지를 동시에 진격하는 양면 협공 작전을 전개하려 했으나, 역시 실패로 돌아갔다. 이는 7월에 있었던 한산도대첩에서 큰 타격을 입은 일본 수군이 해상활동을 중지한 때문이었다. 이에 일본군은 7월 하순부터 육로를 통해 서진하여 진해-고성을 점령한 다음, 8월초에 진주로 육박하였다.
이 무렵에 일본군은 진주성을 공략하려는 준비를 대대적으로 진행시키고 있었다. 일본군
은 수군의 연전연패로 말미암아 남해안의 해안거점 확보가 곤란하게 되자, 육로로 서진하 여 해안 거점과 전라도의 진입로를 확보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8월 중순부터 한성주둔 병 력 일부를 김해로 남하시켜 진주성 공격을 준비하였다.
진주성에는 목사 김시민과 판관 성수경, 곤양 군수 이광악 등이 삼천팔백여 명의 병력으
로 결전태세를 가다듬고 있었다. 성 외곽지역에는 의령 의병장 곽재우가 급파한 심대승과 고성 의병장 최강, 이달 그리고 전라 좌의병장 임계영, 우의병장 최경회 등의 군사들이 지 원태세를 갖추었다.
이때, 전라감사 권율은 22일에 근왕군을 이끌고 북상한 다음이었으므로, 무주, 금산지역
의 고바야카와 군과 싸운 뒤 남원에 집결하였던 임계영, 최경회의 전라 좌우 의병부대 만 이 10월 2일에 함양-단성으로 급거 이동하여 진주성을 지원하게 된 것이었다. 9월 26일 에 함안에 진출한 일본군은 병력을 두 개 부태로 나누어 진용을 정비한 뒤, 10월 3일 선발 대 만여 명이 함안을 출발하여 4일에 진주 동쪽 외곽 마현에 도착하였다.
일본군의 주력은 6일 아침부터 남강을 도하하여 진주성의 동, 서, 북 삼면에 포위 태세
를 갖추었다. 일본군은 진주성을 포위하였으나, 의병부대들이 여러 곳에서 수성군과 호응 하여 자신들의 배후를 공격하려 하고 있었으므로, 섣불리 성을 공격하지 못하고 있다가 8 일 아침부터 공격을 시작하였다.
일본군은 사다리와 나뭇단을 성벽에 기대어 놓고 그것을 밟고 기어올라 성벽을 넘으려
고 하였으며, 한편으로는 바퀴가 달린 삼층누각을 만들어 접근시켜 놓고 그 곳에서 성을 내려다보면서 조총사격을 가하기도 하였다.
이에, 성안의 군민들은 목사 김시민의 지휘하에 혼연일체가 되어 총통과 활을 쏘아 적병
이 성벽으로 접근하는 것을 막고 성벽에 기어오르는 적에게는 돌을 던지거나 뜨거운 물을 끼얹어 물리쳤다. 진주성에서는 현자총을 발사하여 적진을 위협하였는데 이때 누대를 만 들고 있던 일본군은 뜻밖에도 위력 있는 총탄이 날아오자 모두 도망치기에 급급하였다. 일 본군은 8일의 공격이 실패로 돌아가자, 9일 낮에는 소부대로 나누어 진주성 외곽에서 그 들 배후를 위협하고 있는 지원 부대들을 공격하여 제거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그들 소부 대들은 오히려 의병부대들에 의하여 손실만 입었을 뿐이었다.
이에, 9일 밤 일본군은 성안의 방어 병력을 성밖으로 유인해 내려는 술책을 썼다. 일본군
은 밤이 되자 진영 안에 불을 밝혀 놓고 병기와 물자를 실은 수레를 철수시켜 마치 퇴각하 는 것처럼 가장하였다. 그런 다음, 그들은 성밖의 요소요소에 병력을 배치하여 성안의 방 어군이 성밖으로 출격하기를 기다렸다. 그러나, 이러한 일본군의 유인술책을 간하한 김시 민은 성의 방어태세를 더욱 견고히 하고 성밖으로 나가지 않았다.
일본군은 그들의 유인술책이 수포로 돌아가자 20일 새벽에 동문과 북문으로 전 병력을
투입하여 총공격을 실시하였다. 일본군의 이 공격으로 동문 방어를 지휘하던 목사 김시민 이 적탄에 중상을 입고 쓰러졌다. 그러나, 곤양 군수 이광악이 목사를 대신해 끝내 성을 지 켜내었다.
이날 전투는 밤부터 시작하여 새벽까지 계속되었는데, 해가 뜨면서 검은 구름이 하늘을
덮고, 뒤이어 번개를 치고 비가 쏟아져 천지가 캄캄한 가운데 서로의 군사와 말울음소리, 그리고 총성과 호각소리만 요란한 아비규환이었다.
이때에 적 진영에서 불길이 일어났고, 이것을 신호로 일본군은 비로소 퇴각하기 시작하
였다. 동문 신성과 북문 밖 격전장에는 인마의 시체가 쌓여 언덕을 이루었다. 시체 중 일부 는 일본군이 끌어가서 민가에 불을 지르고 그 불길 속에 집어 던져 화장하였는데, 적장의 시체만은 자루에 넣어 가지고 달아났다. 성안의 수성군들은 사력을 다하였으므로 기진맥 진한 상태였고, 또한 원병도 없었으므로 대규모 추격전을 전개하지도 못하였다.
진주성 방어에 주도적 역할을 했던 목사 김시민은 전투가 마무리될 무렵 탄환을 맞았지
만 의연하게 대처하였다. 상처가 깊어 끝내 진중에서 순국하자 그를 애도하는 성민들의 울 음소리가 그 칠 줄을 몰랐고, 여인들은 소복을 입고 슬퍼하였다고 한다.
이와 같이 치열했던 진주성 전투는 임진 삼 대첩의 하나로서 일본군의 사망자가 장수 삼
백 명, 병사 만여 명이라고는 하나 정확하지 않으며, 다만 일본군의 피해가 매우 큰 것은 사실이었다. 진주성 함락에 실패한 일본군은 호남지방으로 진출하려던 계획이 좌절되었 을 뿐 아니라 많은 병력을 잃었기 때문에 본국에 허위 보고를 하여 책임을 면하기 급급하 였다
[ 충주패전 ]
1592년 4얼 17일, 조선 조정은 경상좌수사 박홍의 보고를 받고 비로소 전쟁이 발발한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때까지 조정의 중신들은 "일본이 명나라와의 외교 단절에 대한 불 만을 조선에 분풀이하려는 국지적 침략 정도일 것"으로 여기고, 제 1선에서 그들의 도발 을 저지시킬 수 있으리라고 사태를 낙관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 뒤를 이어 부산, 동래의 함락을 알리는 긴급 보고가 잇달아 도착하면서부터
사태가 심상치 않다는 것을 절감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영남지방으로부터 조선의 내륙으 로 접근하는 요로인 중로, 동로, 서로 등 3로와 조령, 죽령, 추풍령 등 3대 요충지를 방어 할 지휘관과 부대를 배정하였다.
조정의 조처에 따라 순변사 이일은 당초에 도성에서 삼백 명의 병력을 선발하여 이를 거
느리고 출전할 복안을 수립하였다. 그런데 모병이 계획대로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이일 은 출발 예정일로부터 3일이 지난 뒤에 겨우 육십여 명의 군관만을 이끌고 현지로 출발하 였다.
이어서 신립을 삼도순변사로 임명하고, 이일의 뒤를 따라 중로로 내려가 일본군을 저지
하도록 하였다.
순변사 이일은 중로로 북상하는 일본군을 저지할 임무를 띠고 4월 19일에 도성을 출
발, 23일 상주에 도착하였다. 당시 상주목사를 비롯한 군관들은 모두 달아나 버리고, 판 관 권길이 남아 성을 지키고 있었다.
이일은 상주 부근의 백성 팔백여 명을 모아 방어군을 편성하고, 4월 25일 아침에 이들
을 상주 북천변에 집결시켜 군사훈련을 실시하였다.바로 이 무렵인 4월 24일, 일본군 제 1 군의 선두부대는 선산에서 상주로 진출하여 조선군을 급습하였다. 군사 훈련을 전혀 받아 보지 않은 오합지졸 상태였던 이일의 군사는 일본군의 기습공격 앞에서 변변히 대항조차 해보지 못한 채로 궤멸되고 말았다. 순변사 이일은 간신히 탈출하여 문경에서 조정에 패 전 보고를 올린 다음, 삼도 순변사 신립이 주둔하고 있는 충주로 이동하였다.
4월 25일에 상주를 점령한 일본군 제1군은 이튿날인 26일 문경을 점령한 후 조령을 넘
었다. 이로써 일본군은 사실상 경상도 전역을 장악하고 충청도로 진입할 태세를 갖추기에 이르렀다.
조령을 넘은 일본군의 제1군 일만 오천여 명은 4월 28일에 충주 남쪽의 단월역에 도착
하였다. 조선군측에서는 삼도 순변사 신립이 팔천여 명의 병력을 이끌고 남한강과 달천이 합류하는 탄금대로 나아가 배수진을 쳤다.
한편, 단월역에 다착한 일본군은 당일로 충주성에 진입하려고 북상하다가 탄금대의 신
립군과 접전을 벌이게 되었다. 일본군의 주장 고니시군이 중앙을 담당하고, 소(宗義智)군 이 좌익, 마쓰우라군이 우익이 되어 탄금대를 삼면에서 포위하였다.
일본군의 선봉이 신립군의 대열 중앙으로 접근하자, 신립은 기병 제 1진 천여 명을 출격
시켜 적을 제압한 다음, 뒤이어 제2진 천여 명을 출격시켜 일본군을 단월역 쪽으로 격퇴시 겼다. 일본군이 병력을 증강시켜 재차 신립군의 전방으로 돌진하자, 신립은 제 3진 이천 여 명을 투입하여 또 다시 일본군을 격퇴시켰다.
그러나 신립군은 병력과 무기가 일본군보다 열세할 뿐 아니라, 전투지역이 습지였기 때
문에 수렁에 말발굽이 빠져 기병의 기동력이 떨어지면서 끝내 전세를 만회하지 못하였다. 이에, 신립은 전군에 최후 공격을 명하여 일본군을 공격하다가, 마지막 순간이 닥치자 남 한강으로 투신하여 자격하고 말았다. 종사관 김여물과 충주목사 이종장을 비롯한 여러 장 병들도 주장 신립을 따라 자결하거나 적진으로 돌격하여 장렬하게 최후를 마쳤다.
[ 금산전투 ]
이때 일본군은 금산에 주둔하며 수시로 나가 민가를 약탈했다. 조선의 관군과 의병들은
좁은 령을 지키면서 고경명의 패배를 교훈삼아 깊이 쳐들어가지 않았다.다만 보성과 남편 의 두 부대만이 고개를 넘어 적을 엿보다가 일본군의 기습으로 남평현감 한순은 전하했 고, 500여명의 군사는 전멸당했다.
조헌은 얼마 안되는 군사를 이끌고 단독으로 일본군을 치려 하였지만 전라감사 권율과
충청감사 허욱이 한꺼번에 같이 치자며 공격을 말렸다. 그러나 약속을 질질 끄는데 격분 한 조헌 단지 700여명만 거느리고 명을 넘었다. 영규가 관군의 도움없이는 들어갈 수 없 다고 하였으나 조헌은 단호히 북을 울리며 진군하였다. 영규는 조헌을 혼자 죽게할 수 없 다며 자신이 거느리고 있던 수백의 의병들과 조헌의 부대를 합쳐 금산성으로 떠남과 아울 러 관군이 빨리 따라와 주기를 바라는 글을 올렸다. 조헌의 성밖 10리에 진을 쳤다. 일본 군은 뒤따라오는 후속부대가 없음을 알고 군사를 매복시켜 뒤를 끊은 뒤 군사를 모두 내 어 맞붙었다. 조헌은 "오늘은 오직 죽음만이 있을 뿐이다. 마땅히 의롭다는 한마디에 부끄 럽지 않아야 할 것이다"라고 명령을 내려 독려했다. 한참동안 치열한 격전을 벌였다. 그 때 이미 조헌의 부대는 화살이 떨어져가고 있었다. 그렇게 한참을 싸웠다. 조헌은 부대는 화살이 다 떨어졌다. 그러나 조헌은 다급해하지 않고 장막안에서 움쩍하지 않았다. 곁에 있던 사람이 같이 나가자고 하였지만 "대장부는 죽으면 그만이지 구차하게 살 수 없다"며 더욱 북을 세게 치며 독전하였다. 조헌을 따르는 의병들은 손에 무기하나 없이 육박전을 펼쳤다. 제자리를 떠나는 사람하나 없이 조헌과 함께 역사속으로 묻혔다. 이때 영규도 함 께 전사하였다.
일본군이 물러간 뒤 그의 제자들이 700명의 시신을 수습하여 큰 무덤을 만들고 '700명
의 의로운 사람들의 무덤'(칠백의총)이라 하였다.
KW ; Tadaejin : 윤흥신 1592 [7] [8]
Page 1 제5절 임진ㆍ정유왜란과 부산1제 5 절 임진ㆍ정유왜란과 부산1. 임진ㆍ정유왜란과 부산의 위치부산은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대일교섭관계가 빈번해짐에 따라 나라의 관문으로서 그 중요성이 인식되었다. 세종대 삼포(三浦)의 개항과 함께 관문으로서 기능은 한층 강화되었다. 그 후 중종(中宗) 39년(1544) 경상도의 사량진(蛇梁鎭)에 왜변이 일어나자 이를 계기로 명종(明宗) 2년(1547) 유일한 대일 항구가 되었다. 따라서 종래 현(縣)이었던 이 지역은 지위가 격상되어 도호부(都護府)로 승격되고 정3품(正三品) 당상관(堂上官)인문관출신의 부사가 수령으로 임명되었다. 이 곳 부사는 타 고을의 수령(守令)과 같이 민정을 맡고 있었지만, 대일외교ㆍ교역의 사무를 함께 담당하고 있었다. 당시의 행정구역은 대체로 현 부산시의 관할구역과 비슷하다. 또한 이 지역은 관문이기 때문에 국방의 시설도 발달하고 있었다. 임진난 이전의 이곳에는 경상좌도수군절제사영이 있었고 부산포에는 부산진첨절제사영, 다대포에는 다대진첨절제사영 등의 군영(軍營)이 있었다. 성곽(城郭)도 여러 곳에 축조되고 있었으며, 통신시설 역시 황령산(荒嶺山) 석성(石城)ㆍ간비오산(干飛烏山) 등의 봉수대(烽燧臺)가있어 북ㆍ동ㆍ서 상호연락 할 수 있게 되어 있었다. 일본에 파견되는 우리의 사행(使行)도 이곳을 통해 일본ㆍ서울로 왕래하였다. 임진난이 발발하기 전년인 신묘년(辛卯年)에도 일본의 사자(使者) 승(僧) 현소(玄蘇)도 부산을 거쳐 서울로 갔으며 한편 일본 침입 동정을 살피기 위해 파견된 정사(正使) 황윤길(黃允吉)ㆍ부사(副使) 김성일(金誠一)ㆍ서장관(書狀官) 허성(許筬)도 역시 이곳에서 도일하였다. 이와 같이 부산은 조선의 관문(關門)이었기 때문에 임진난에 있어서 차지하는 위치 비중은 자못 중요하였다. 일본군 15만여의 대군은 거의 전부가 이곳 부산포로 침입하였으며, 따라서 첫 교전지(交戰地)가 되었다. 비록 피나는 격전을 하였으나 중과부적(衆寡不敵)으로 성을 지키지는 못하였으나 이곳의 민족정기는 이 나라 국권회복의 원동력이되었다. 그 뒤 적군의 지배 하에 들어가서는 적의 교두보(橋頭堡)가 되고 경상도의 적의 수륙 근거지가 되었으며, 적의 군사물자의 운반의 중요지점이 되었다. 따라서 아군은 적의 교두보를 분쇄하기에 군사력을 기울였다. 즉 경상우수사군 전라좌ㆍ우수사군 등은 합동하여 부산포해전을 치루고 한산도(閑山島)대첩에서 적 수군의 주력을 격파하여 임난의 전국을 전환시켰고, 그 잔여세력을 크게 궤멸하여 우리가 제해권(制海權)을 장악하게 되었다. 이러한 추세에 일본은 패망을 예상하여 명(明)과 강화교섭(講和交涉)을 추진하게 되고 선조 29년(1592)에 명(明)의심유경(沈惟敬)과 일본의 소서행장(小西行長) 일행이 일본으로 건너가고 이어 황신(黃愼)과 명의 양방향(揚方享)도건너갔다. 이들이 거쳤던 곳 역시 부산포였다. 그 후 정유재란에 있어서 부산의 위치 또한 임진왜란 때와 자못 유사하였다. 적은 이곳을 군사의 요충지로서 확보하였다.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일본군은 역시 대부분 이곳으로 침입하였으며, 부산은 임난 때와 같이 적의 교두보가 되었다. 부산은 난을 통해 명암(明暗)이 교차했던 곳이요, 일본군에 의해 7년 전쟁의 전시기를 통해 침략을 받는 고장이기도 하였으나 적군의 침입 초정(初程)에 대군을 상대로 이기지 못함을 알고도 결사의 항전을 전개하여 청사에 빛난사적을 남겼다. 또 일본의 점령하에 있으면서도 서로 동지를 구하여 이곳에서 항전을 계속한 사적, 이곳에서 벗어나의병으로서 활약한 사적은 후세의 귀감(龜鑑)이 될 것이요, 이와 함께 지금 부산에는 당시 선열의 고귀한 선혈(鮮血)의 성지(聖地)가 여러 곳에 산재해 있는 역사적인 고을이다.
Page 2 제5절 임진ㆍ정유왜란과 부산22. 임진ㆍ정유왜란 전후의 국내외 정세1) 국내외의 정세임진난이 일어나기 전 당시의 조선사회는 전반에 걸쳐 쇠약해져 가고 있었다. 국초부터 싹터오던 공전의 사유화현상은 점차 국가의 지배, 통제력이 약화되어 가면서 문란하기 시작하였고 권문세가(權門勢家) 부호(富豪) 등의 토지는 확대되고 국가재정은 궁핍해 갔으니, 그것은 또한 백성들이 과중한 부담으로 전화되었다. 임진난이 일어나기 19년 전 선조 6년(1573) 유성룡(柳成龍)은 다음과 같이 말하여 우려를 표시하고 있다. 즉 「 지금 많은 토지를 가진 자는 모두 권세가이고 그들은 공부(貢賦)도 바치지 않으니 소민이 공부를 바치는 토지는 얼마되지 않는다」 라고 하였다. 이와 같은 국가재정 궁핍의 타개책으로 선조 15년(1582) 율곡(栗谷)은 다음과 같이 소(疏)를 올리고 있다. 「 자고로 국가가 중엽에 이르면 쇠잔하는 것이 통례이다. 그러므로 그 때 어진 임금이 나와서 철저한 개혁을 단행해야만국명이 유지될 수 있다. 우리 국가는 건국 이래 200여년에 이제 쇠퇴하였으니 바로 이 때 진기(振起)분발하여 모든개혁을 단행해야 한다. 지금 하지 않으면 국가를 보전할 가망은 없다. 이미 시대 말기적인 징조가 나타나서 인심은해이하고 동요의 빛을 보이니 이 때 한가지 폐단도 개혁하지 못하고 안일을 일삼는다면 앉아서 망하는 것을 기다리는 것과 다름없다.」 그러나 이에 대하여 선조는 또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국왕으로서 그 누가 앉아서 나라 망하는 것을 바라리요, 다만 모든 일은 바로 잡을 수 없을 뿐이다.」즉 왕조의 군주라도 이 당시의 부패상에 대해서는 어떻게 조처하지 못할 정도로 되어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배경 속에서 국가의 재정을 타개하고 백성들의 부담을 경감하기 위한 방도로서 과거 관인, 이속 등이횡령의 온상이 되었던 공물을 미포로써 받아들이자는 이른바 대공수미법(代貢收米法)이 이이(李珥) 등에 의해 임진난 전에 제기되었던 것이다. 한편 이러한 경제질서 문란은 곧 지배층 상호간의 권력다툼으로 반영되었다. 이 정권쟁탈의 격화는 먼저 사화에서 당쟁으로까지 확대되었다. 사화는 서울에 있던 관인 상호간의 대립으로서 그 투쟁기간도 짧았으나, 당쟁에 있어서는 중앙에서 지방까지 연관을 갖고 있으니 서울의 관인, 지방의 유림 즉 준관인까지 당색을 갖는 위에서 정권다툼이 전개되고 그 기간도 장기간에 걸쳤다. 이 사화에서 당쟁으로서의 성격 변화가 있었던 시기가 왜란이 일어나기전의 선조대에 나타나고 있었다. 즉 그 유명한 동서분당이 그것이며, 동인은 다시 남북인으로 분파되었던 것이 난 발발 3년 전인 선조 22년이었다. 그러면 군사는 어떠하였던가? 조선은 중종 이후부터는 남쪽의 왜, 북쪽의 여진의 동정이 심상치 않자 군국기무를장악하는 비변사(備邊司)라는 합의기관을 설치하여 대비코자 하였다. 그러나 태평에 젖은 지배층은 그저 안일함 속에서 미봉책으로 만족할 뿐이었다. 삼포왜란과 을묘왜란 등의 변을 당하면서도 근본적인 국방의 대책이 없었다. 이미 부병제(府兵制)는 무너져 용병제(傭兵制)로 바뀌고 있었다. 따라서 빈농출신의 병사가 대부분이었으며 군영(軍營) 등도 유명무실한 상태였다. 이러한 상태는 선조대에 이어졌다. 사태를 염려한 이율곡은 경연(經筵)석상에서 선조에게 병사 10만명을 양성하여도성에 2만명 8도에 각 1만명을 두고 완급한 일에 대비할 것을 건의하였지만 이 때 좌중에는 이산해(李山海), 김우옹(金宇顒), 유성룡 등이 있었으나 어느 한 사람도 찬성하지 않았다고 하며, 또 율곡은 선조 16년(1577)에 6조를 계하여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었다.「조선은 승평(昇平)한 지 이미 오래되어 방심함이 날로 심하여 내외가 공허하고병(兵)과 창(槍)이 모두 궁핍하여 소구(小寇)가 조금만 변경을 범하여도 온 나라가 경동하니 만일 대구(大寇)가 침입해 온다면 비록 지자(智者)라도 계책이 없을 것입니다. 고어(古語)에 “적이 나를 이기지 못하도록 먼저 준비하여 내가 적을 이길 수 있는 기회를 기다려라” 하였사오나 오늘날 국가는 하나도 믿을 것이 없사와 적이 닥쳐오면 반드시
Page 3 제5절 임진ㆍ정유왜란과 부산3패할 것이니 생각이 이에 미치매 간담이 서늘합니다.」 그럼에도 조정에서는 아무런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였다. 한편 일본 국내에서는 각지의 대명(大名)들이 군웅할거하여 상쟁하던 전국(戰國)의 난세도 직전신장(織田信長)에 의해 전국이 평정되어 통일의 기초를 닦아가던 도중 불의의 죽음을 당하고 그 부장이었던 풍신수길(豊臣秀吉)이 그뒤를 이어 일본 전국을 거의 통일하여 선조 18년(1585)에서 19년(1586)에 걸쳐 차례로 관백ㆍ태정대신(關白ㆍ太政大臣)이 되고 명실공히 정권을 확립하였다. 풍신수길은 선조 20년(1587) 5월 구주의 호족 도진의홍(島津義弘)을 제압하고는 귀로에 북구주 상기(箱崎)에 이르자 그곳에 출영한 대마도주 종의지(宗義智)에게 명하여,「조선이 사신을 일본에 보내어 수호하게 하라」고 하였다. 이해 겨울 대마도주는 가신 유곡강광(柚谷康廣)을 보내어 일본과의 수호를 청하고 통신사를 도일하도록 요구하였다. 이에 조선은 일본 국내정세의 변화를 비로소 알게 되고 그 대책을 서둘렀으나, 의견이 구구하여 결론을 내리지못하고 그들의 답서만 받고 사신을 보내지 않은 채 회답을 보류하고 있었다. 이에 종의지는 풍신수길의 독촉을 더이상 지연하면 출병이라도 할 기세를 엿보고는 직접 해결을 짓고자 선조 23년(1590) 봄에 박다(博多)의 승려 현소(玄蘇)와 가신 유천조신(柳川調信) 등을 대동하고 조선으로 들어왔다. 선조는 구례에 따라 이들 왜사를 이조정랑(吏曹正郞) 이덕형(李德馨)을 보내어 접대시키는 한편, 앞서 온 왜사로부터 교섭이 예의치 않으면 병화가 일어날지 모른다는 암시를 받고 있었던 상황이므로 조정에서도 통신의 가부를 논의하게 되었다. 오랜 의논끝에 유성룡, 이덕형, 변협(邊協) 등 유력한 조신들이 적극 통신사, 사성(司成) 김성일(金誠一)을 부사, 전적(典籍) 허성(許筬)을 서장관(書狀官)으로 삼아 종의지를 따라 부산포를 떠나 일본으로 건너가게 하니 이들 일행은 선조 23년(1590) 3월에 서울을출발하여 4월 29일 부산포에서 떠나 대마도를 거쳐 일본에 도착하였다. 그러나 당시 풍신수길은 관동(關東), 오우(奧羽)지방의 호족들을 제압하고 돌아와 11월에야 비로소 통신사와 회견하였으며, 이에 이 답서를 전하니 그 내용은「명(明)을 정벌할 터이니 조선이 선구가 되라」는 것이었다. 통신사 일행은 다음해 3월에 서울에 돌아와 일본의 정세를 보고하니 서인 황윤길은「일본이 많은 병선을 준비하고 있어 반드시 병화가 있으리라」하였으나, 동인 김성일은「내구할 정형(情形)을 보지 못하였다」하여 각각 반대의 보고를 하였다. 이리하여 조신들 가운데 혹은 황윤길의 설이 옳다고 하고 혹은 김성일의 설이 옳다고 하여 의견이 분분하였으나 대체로 영의정 이산혜, 좌의정 유성룡, 부제학 김수(金晬) 등 동인계열은 김성일의 의견에 좆고, 대사헌 윤두수(尹斗壽), 병조판서 황정욱(黃廷彧) 등 서인은 황윤길의 쪽을 지지하였으나, 요행을 바랐던 당시의 조정은 반신반의하는 가운데 일루의 낙관으로 김성일의 의견에 기울어져 안일주의적인 방책에 따랐다. 하여간 일본으로부터 위협이 가해지는 가운데 조정에서도 소극적이나마 군비를 착수하였다. 몇가지 사료를 들면선조 16년(1583) 비변사에서는 영남과 호남지방, 즉 창원, 양산, 해남, 당진, 영광, 순천, 장흥 등지의 문관출신 수령을 무관으로 교대하여 배치하는 동시에 파직한 사람과 사판(仕版)을 삭거한 무관을 다시 서용할 것을 청하고 있으며 동년 윤2월에는 경기도에 허봉(許封), 강원도에 이호(李浩), 황해도에 김성일을 순무어사(巡撫御史)로 임명, 파견하여 군기(軍器)를 점검하고 사열케 하고 있다. 그리고 동년 3월에는 국왕이 장차 원수(元帥)와 방어사(防禦使)로 기용할 만한 사람을 보고케 하니 비변사에서는인물을 물색 추천하고 있으며 한편 선조 22년(1589) 7월에는 비변사의 밀계(密啓)에 의하여 3도의 수사(水使), 병사(兵使)의 인사조치도 단행하고 있다. 이때 이순신(李舜臣)이 기용되었다. 그리고 군기를 준비시키는 반면 경상도 감사에는 김수, 전라감사는 이광(李洸), 충청도 감사는 윤국형(尹國馨 ; 선각)을 발탁하여 임명하게 하고 곧 군기를 정비케 하는 한편 성지를 보수하고 신축케 하였다. 더욱이 경상도는 일본에 대한 관문이었으므로 성지 수축에 주력하였으니 그 대상이 된 것 중에는 부산진성, 동래성(17, 219尺), 수영성(9, 190尺), 다대포성(1,870尺), 두모포성(1,250尺), 좌우병영(울산, 진주), 진주성, 대구성, 삼가성, 성주성, 안동성, 영천성, 상주성, 청도 등이 있었다. 그러나 이 역사(役史)는 민원이 대상이 되고 비난하는 소리가 높았다. 이에 대하여《징비록》에서는 다음과 같이말하고 있다.
Page 4 제5절 임진ㆍ정유왜란과 부산4「조선에서 왜의 동정을 걱정하여 국방사무에 밝은 재신을 뽑아서 하삼도를 순찰하여 방비하게 하였다. 김수를 경상감사로 삼고 이광을 전라감사로 삼고 윤선각을 충청감사로 삼아서 병기를 준비하고 성지를 수축케 하였는데 그 중에도 경상도에 성을 많이 쌓았다… 이때 태평이 오랫동안 계속됨에 따라 안팎이 편안에젖어서 백성은 노역을 꺼리어 원망하는 소리가 길거리 네 자자하였다. 나(유성룡)의 동년 친구인 합천인전전적(前典籍), 이노(李魯)는 나에게 글을 보내어 말하대, “성을 쌓는 것이 좋은 계책이 아니다”하고, 또말하기를 “삼가(三嘉) 고을은 정암(鼎岩)나루터가 앞에 막혔으니 왜가 날아와서 건너리요. 무엇 때문에 공연히 성을 쌓느라고 백성을 괴롭힐 것인가?” 했는데 만리나 되는 큰 바다로서도 왜를 막아내지 못하였거늘한줄기의 작은 냇물로써 왜가 건너오지 못할 것이라고 단정하지 그 사람(이노)의 계획이 소루하기도 하지만 그 당시의 다른 사람의 의논도 이와 비슷하였다.」이때 김성일도 세번이나 상소하여 군역의 중지를 호소하였다. 물론 그들은 군비를 중지하자고 한 일은 대세에 어두었다는 점에서 후세에도 비난을 받고 있지만 당시의 백성은 그야말로 이와 같은 역역과 군사에 동원될 수 없을정도로 궁핍하였던 것이다. 《징비록》에서도 이에 관한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임진년 봄에 신립(申砬)과 이일(李鎰)을 보내어 변방군비를 순시케 하였는데 신립은 충청ㆍ전라도에가고 이일은 경기ㆍ황해도에 가서 모두 한달이 지난 뒤에 돌아왔는데 점검한 것이란 겨우 활ㆍ화살ㆍ창ㆍ칼 같은 것 뿐이요 군읍에서는 모두 문서만 가지고 법을 회피하여 다른 방비하는 승산은 없었다. 신립이본래부터 성질이 잔인하고 사납다는 소문이 있는지라 가는 곳마다 사람을 죽여 자기의 위엄을 세우니 수령들이 두려워하여 백성을 통원해서 길을 닦게 하고 대접하기를 너무 지나치게 하니 비록 대신들의 행차라도이것만 못하더라. 이미 복명하고 동월 1일에 신립이 나(유성룡)를 찾아 사제에 왔기에 내가 묻기를 “ 우리나라에 멀지않아 변이 있으면 그때에는 공이 마땅히 군사일을 맡아야 할 터인데 공의 생각에는 오늘날 적의 형세로 보아 그 방비대책이 어떠하겠소?” 하니 신립이 대단히 가벼이 여기어서 “ 그것은 극히 걱정할것이 없습니다” 」라고 하였다.그 당시 일국의 국방을 담당하고 있는 이들의 식견 부족도 역력히 나타나고 있다. 역시 유성룡과 신립의 대화를 계속해서 보면 다음과 같다. 「나(유성룡)는 “그렇지 않소. 그전에는 왜가 칼, 창만 가지고 있었지만 이제는 조총과 같은 장기를 가지고 있으니 만만히 볼 수 없을것이요” 하였으나, 신립이 갑자기 말하대, “비록 조총은 가졌지만 어떻게쏠 적마다 맞는 답니까” 나는 말하기를 “국가의 태평이 오래되매 사졸들이 겁약하니 과연 급변이 생기고보면 항거하기가 몹시 어려울 것이라, 내 생각에는 수년 뒤에는 사람들이 군사일에 익숙해져서 난을 수습할는 지는 알 수 없으나 지금 같아서는 매우 걱정이 됩니다” 하였으나 신립은 도무지 깨달음이 없이 가버렸다.」이와 같이 국방은 소홀하고 국민은 상하가 유리되고 있는 가운데 왜란의 참변을 당하였던 것이다.
Page 5 제5절 임진ㆍ정유왜란과 부산52) 일본의 침입 동기와 군비풍신수길의 조선 출병의 동기에 대해서는 일본인 학자 사이에도 의견이 구구하다. 몇가지만 열거하면 수길의 공명심과 영웅심에 기인하였다는 설과 오로지 일본 국내에 있어서 다른 세력을 약화하기 위한 것에 원인이 있다는 설과 해외무역의 독점 및 해외발전의 의도에서 비롯되었다는 설 등이 있다. 여하간 일본에서는 실정시대(室町時代)로부터 지방의 봉건제후는 유력한 재원을 찾아 부국강병하려고 서로 다투어 외국무역에 종사하여 왔다. 더욱이 1543년 이후 포도아(葡萄牙 ; 포루투칼) 상인이 구주(九州)에 내항하여 서양무역이 시작된 후로는 일본의 서부 봉건영주들은 특히 그 무역활동에 활발히 종사하였다. 그것은 그들이 재원의 획득에 그 목적이 있었기 때문이기는 하지만 한편으로는 서구인들이 처음으로 가지고 온 무기, 소총이 새로운 욕구의대상이 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들은 서구인의 상선이 기항하는데 따라서 유입, 전파되어 가는 소총이 적대적인 다른 영주에게 전해지는 것을 두려워하였고 그와 동시에 소총, 화약을 얻어서 무장을 도모하려고 애썼다. 그 결과로서 서구인들의 상선을 다투어 자기 영내에 끌어들이는 것이었다. 여기에 일본 서부의 항구ㆍ포구는 외국무역으로 더욱 번영해져서 평호(平戶)는 당시 일본 서부의 서울이라는 이름이 나돌고 계시(堺市)같은 고을도 상업도시로서 군림하게 되었다. 1556년경에는 일본 전역에 상상 이상으로 많은소총이 주조, 보급되었고 그것은 봉건체제에 대한 하나의 커다란 위협적인 존재가 아닐 수 없다. 이와 같이 일본 서부에 있어서 서양무역에 의한 상업의 융성에서 영주층의 무력이 증강되고, 한편 서양의 종교를비롯한 서양 문화에의 자극은 일본 봉건사회에 대한 반봉건적인 기운을 자극하게 되었으며, 실정시대 이래 농민의봉기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소위 하극상의 풍조가 더 높아갔던 것이다. 이러한 정세에서 1586년 관백(關白)이 되어 일본 전토의 정복을 기도하는 풍신수길은 자기 세력에 위협이 되는어떠한 요소도 제거하려고 했던 것이다. 수길은 희로(姬路), 박다(博多) 등 도시에 번영을 도왔다고 하나 그 세력의확대가 위협적인 것이 되자 그는 상업도시로서 발전한 계시(堺市)의 신흥시민계급을 억압하기 위하여 1586년에 계시(堺市)의 성지를 메워버리고 그와 전후해서 다수의 계시 시민을 대판(大阪)으로 이주까지 시켰다. 그리고는 일반농민과 상인의 신분적인 속박을 엄중히 하였으며 서양무역에 열중하던 구주 방면의 대명을 정벌하고 천주교 탄압까지도 감행하였다. 풍신수길은 다시 1558년 7월에는 소위 도수(刀狩)라고 하여 민간 승려들의 도검, 소총 등 기타 무기를 몰수하는법령을 발표하였으니 이는 그들이 농민반란을 꾀하는 것을 제거하기 위한 것과 농업에 종사시키기 위한 목적에 있었던 것인 바, 병농분리정책은 무사계급을 고정화시켜 무사의 보충을 불가능케 하며 영주들의 역량까지도 감퇴시키기 때문이었다. 그리고는 다시 구주, 관동, 오우지방을 정복하여 여러 성을 파괴하고 자기정권에의 위협을 제거하도록 하였다. 즉 풍신수길은 상업도시의 발달을 억압하여 반봉건적인 근대 시민적인 사회로의 싹을 제거하고 지방 영주의 세력을 약화시켜 집권적 봉건체제를 전국적으로 재통일, 강화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반면 자기 스스로 경제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일본 군내의 모든 금광산을 직접 관리 채굴토록 하였으며, 다른영내의 광산까지도 감독하는 일을 서슴치 않고 있었다. 이렇게 볼 때 풍신수길의 조선 출병도 일본 국내의 지배력강화와 동시에 남방무역의 이익을 탐내는 가운데 이루어진 것이 주된 원인이 아닌가 생각된다. 또한 풍신수길이 침략준비를 하면서 출전인원수(병사)의 할당을 보면 사국(四國), 구전(九戰), 기주(紀州) 등 일본서부의 영주에 할당된 인원이 타 지방에 비하여 그 비율이 약 2배 내지 3배가 되었다는 것은 일본 서부세력을 이용하기 위한 것이었거나, 그렇지 않으면 그들의 군사력, 경제력을 대륙전쟁에 소모시키기 위한 것이 아닐까? 하는 견해가 좀 더 타당성이 있을 것 같다. 어쨌든 조선, 중국, 남만(南蠻)까지의 정벌을 호언장담하고 그가 국내를 통일한 뒤에 우리나라에 통신을 구하여명에 대한 공로(貢路)를 얻고자 하였던 것이니 그것이 여의치 않았기 때문에 침구가 일어났던 것이다. 일본의 군비는 그 당시 기내(畿內) 140만석, 동해(東海) 495만석, 동산(東山) 550만석, 북륙(北陸) 242만석, 산음(山陰)
Page 6 제5절 임진ㆍ정유왜란과 부산6118만석, 산양(山陽) 206만석, 남해(南海) 140만석, 서해(西海) 362만석 등 8도의 것을 총계하면 2,253만석인데 이를 만석에 병사 250인의 비례로 산출하여 563,000여인데, 이를 확보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일본 전국의 병력이며 임진난에서는 주로 서해, 남해, 산양, 산음의 4도에 역을 과하여 전원 출정케 하고 기내 이동(以東)은 이것을 체감하여 그일부는 외침에 참가케 하고 나머지 대부분은 비전명고옥(肥前名古屋)의 본영에 주둔시켰다. 그리하여 그 수는 침략군 약 200,000, 명고옥의 주둔군 약 100,000, 수도수비군 약 30,000여로 도합 330,000 여명이었다. 대영주는 수만, 소영주는 수천인을 출병시켰던 것이다. 이와 같은 대, 소영주 수인을 조직하여 1대를 만들고 대영주로 그 대를 지휘하도록 하였다. 임진난에 있어서는 풍신수길 자신이 명고옥(名古屋) 본영에서 직접 지휘하였다. 예외적으로 우희다수가(宇喜多秀家)는 임진난에서, 그리고 소조천수가(小早川秀家)는 정유재란(丁酉再亂)에서 일부의 지휘권을 갖고 있었지만 중요한일은 모두 출병한 여러 장수들이 합의한 후, 수길의 재가를 받아 처리하였던 것이다. 여러 군대의 편제는 각 영주에 따라 조금 달랐다고는 하나 그 계급은 기사(騎士), 보졸(步卒)의 2종(種)으로 나누고 보졸에는 활, 총, 창의 3종의 무기로써 무장하여 이들을 제1선으로 삼고, 기사는 창을 가지고 승마하여 후방에열을 지였다. 즉 제1선의 전황이 강열해질 때 기사는 최후의 공격을 가하여 승패를 결정하도록 하였다. 임진난에 비하여 일반적으로 조총의 수를 증가하였다고 보아진다. 수군(水軍)은 일본의 소위 전국시대(戰國時代) 뇌호내해(瀨戶內海) 지방에 있어서 약간 발달하고 있었으나 육군보다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지는 않았다. 임진난에 있어서는 내해지방 및 기이(紀伊), 지마(志摩) 등지의 장사로서 편성하였으며 수병[守兵]은 어촌 100호당 10명씩을 차출케 하고 선박은 직할령에서 100,000석(石)당 대선(大船) 3척, 중선(中船) 5척, 동해안에서 9주 연변지방 및 북쪽의 추전(秋田), 주전(酒田)에서 중국지방에 이르는 지방영주는 100,000당 대선 2척씩을 준비케 하였다. 그때의 편성은 1번대(番隊, 1軍)에서 16번대(番隊, 16軍)가 육군이고 따로 수군이 있었으며 육군은 번외의 1번대와기본(旗本 ; 수길의 본영 친위대)까지 합하여 총 병력 281,840명으로 되어 있었고 수군은 9,000여명이었다. 그리고그 중 조선을 침약한 군사는 150,000여명이었다. 그 부서는 다음과 같다. 제1군(番隊) 소서행장(小西行長) 이하 6장(將) 18,700명. 제2군( 〃 ) 가등청정(加藤淸正) 이하 3장(將) 22,800명. 제3군( 〃 ) 흑전장정(黑田長政) 이하 2장(將) 11,000명. 제4군( 〃 ) 모리길성(毛利吉成) 이하 6장(將) 14,000명. 제5군( 〃 ) 복전정칙(福田正則) 이하 6장(將) 25,000명. 제6군( 〃 ) 소조천융경(小早川隆景) 이하 5장(將) 15,700명. 제7군( 〃 ) 모리휘원(毛利輝元) 이하 1장(將) 30,000. 제8군( 〃 ) 우희다수가(宇喜多秀家) 이하 1장(將) 10,000. 제9군( 〃 ) 우시수승(羽柴秀勝) 이하 2장(將) 11,500명. 이와 같은 조직을 완료하여 선발군은 3월 상순에 명고옥(名古屋)을 떠나 일기도(壹岐島)를 거쳐 13일에 대마도 부중포(府中浦)에 다달았으며 그 주장(主將) 소서행장은 사위인 종의지(宗義智)의 5,000군사를 여기에서 합친 다음 약1개월에 걸쳐 작전준비를 완료하게 되었다. 3월에 24일에 소서 행장 등은 육로로 일기(壹岐)에 행차하였고 군선은동해안에 연하여 해상으로 대포(大浦)에 회선(回船)하여 마지막 준비를 완료하고, 해상기후의 호전만 기다리고 있다가 4월 14일(日曆은 朝鮮曆과는 하루 차이가 있음)에 병력 18,700여명으로써 부산포를 향하여 출발하였는데, 그 편성은 아래와 같다. 소서행장 ; 비후우토성주(小西行長 ; 肥後宇土城主) 7,000명. 종의지 ; 대마도부중성주(宗義智 ; 對馬島府中城主) 5,000명.
Page 7 제5절 임진ㆍ정유왜란과 부산7송포진신 : 평호도성주(松浦鎭新 ; 平戶島城主) 3,000명. 대촌희전 ; 대촌성주(大村喜前 ; 大村城主) 1,000명유마청신 ; 일야강성주(有馬晴信 ; 日野江城主) 2,000명오도순현 ; 오도성주(五島純玄 ; 五島城主) 700명. 3. 임진ㆍ정유왜란과 부산의 전적1) 부산진성의 전적선조 25년(1592) 4월 13일 일본의 제1군 18,700여명의 군사는 700여척의 병선(兵船)에 분승(分乘)하여 오후 5시경[午時] 부산에 내섭하였다. 이때 황령산(荒領山) 봉화대(烽火台)에서는 즉시 서울로 이 사실을 보고하였다. 그때 부산첨사(釜山僉使)는 정발(鄭撥)이었다. 그는 적군이 포내(浦內)로 진입할 때 까지는 알지 못했던 것 같다. 이윽고 적군의 내습이 분명함을 확인하고는 병선을 타고 성내로 들어가서 황급히 전투준비를 명하였던 것이다. 갑자기 밀어닥친 대군단(大軍團) 앞에 소수의 병선으로서 싸운다는 것은 어려웠다고 생각된다. 13일 당일에는 적군은 절영도(絶影島 ; 현 영도) 전방에서 가박(假泊)하고 공격은 개시하지 않았다. 다만 그 군의장인 소서행장(小西行長)의 막료인 대마도(對馬島) 주(主)인 종의지(宗義智)가 약간의 군사를 거느리고 상륙하여 부산진성의 경비상황을 정찰하고는 휘하 장수인 평조신(平調信)을 시켜, 군의 내침의 사유를 말하고는 길을 빌리는 가도(假道)를 요구하는 글을 목판(木板)에 쓴 것을 성 밖에 세웠다고 한다. 그리고는 다시 6시경[初更]에 되돌아갔다. 이때 정발은 가도(假道)의 요구에 응하지 않았다. 그리고는 일전(一戰)을 불사한다는 굳은 결의를 하고 전투태세를 공고히 하였다. 한편으로는 사람을 밀파하여 구원을 요청하였다. 이날밤 하늘은 맑고 달은 대낮같이 밝아서 해상에 있는 대군단인 적의 동정을 살필 수가 있었다. 성내로 모여든 성민은 동요하고 살기가 충천하였다. 정발은 민심을 진정시키기 위해 성루(城樓)에 올라 맹인(盲人)을 시켜 동소(洞蕭)를 불게 하였다. 이에 듣는 자들의 마음이 한결 안정되었다 한다. 그러나 성 주위는 음산하고 살벌한 분위기에 쌓인 채 밤을 넘겼다. 이튿날 14일 적은 예측한대로 부산포 우암(牛岩)에서 삼분하여 결진(結陳)하고는 배를 포안(浦岸)에 붙어 차례로 상륙하여 성을 공격하였다. 때는 오전 6시경[卯時]이었다. 당시 성의 모습을 일본측의《 길야일기》 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성은 이중 삼중으로 성지(城址ㆍ濠)를 둘려놓고 또 반궁(半弓) 등의 도구도 구비하고 있다”고 하고 있으며, 그리고 야소회(耶蘇會)의 선교사가 쓴《 일본서교사》 에서는 “해빈(海濱)에서 성에 이르는 사이에는 적병을 방위하기 위하여 말뚝을 쳐놓고 있었으며 성벽 주위에는 참호(塹濠)가 설치되어 있었다”고 하고 있다. 이를 미루어 본다면 부산진성(釜山鎭城)은 나라의 관문을 지키는 중요한 성이기 때문에 비교적 경고하였던 것 같다. 적군은 성을 공격하면서 흙ㆍ돌[木石ㆍ土塊]로서 참호를 메우면서 성벽에 접근하고 사면으로 성을 첩첩으로 포위하였다. 절대다수의 병력을 가진 적군은 신무기(新武器)인 조총(鳥銃)을 마구 발사하여 천지를 진동시키며 성을 넘어오려고 하였다. 이에 아군은 이를 제지하기 위해 4면(四面)에서 혈전을 벌였다. 총탄이 터지는 소리 화살이 날으는 소리 순식간에 처절한 공반전이 전개되었다. 이때 정발은 휘하에 장사(將士)를 거느리고 성내를 순시하며 독전하였다. 성밖에는 적의 시체가 뒹굴었으며 적의시체가 산적(山積)한 곳도 세곳이나 되었다고 한다. 치열한 전투가 한 동안 계속되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포위된 아군의 전력은 점차 감소되어 갔다. 결국 화살은 거의 소모되었고 힘도 굴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그렇지만 군ㆍ성민은 적을 물리치지 않으면 모두 죽게된다는 마음으로 분전을 계속하였다.
Page 8 제5절 임진ㆍ정유왜란과 부산8정발은 이미 예측한 일이나 최후의 일각까지 싸우다가 무인답게 죽을 각오를 하고 더욱 사졸을 격려하며 자신도분전하였다. 때에 한 비장(裨將)이 청하기를 “성을 넘어가서 원병이 오기를 기다림이 어떠하겠읍니까?”하고 하니 정발은 대답하여 “나는 마땅히 이 성의 귀신이 될 것이니 감히 성을 버리라고 말하는 자가 있으면 목을 벨 것이다”라고 하고 한편 “군중(軍中)에 명령을 내려 가고 싶은 자는 가라”고 하였다. 사졸들은 모두 울면서 떠나지 못하였다고한다. 이런 중에 사문(四門)에 밀어닥친 적군은 높은 곳을 택하여 성을 향해 일제히 조총을 난사하며 공격을 개시하였다. 이에 정발은 사문(四門)을 굳게 지키게 하면서 적에게 일제히 화살 공격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노도와도 같이밀어닥쳤던 적군의 일부 군사들이 북쪽의 허술한 곳을 넘어 쳐들어왔다. 따라서 순식간에 성중은 혼란하였다. 이에피아(彼我)상방 육박전이 전개되고 적의 무차별 살육이 시작되었다. 이 가운데 정발도 탄환에 맞아 전사하고 사기는급격히 떨어졌다. 파상적으로 밀고 들어오는 적의 수는 늘기만 했으며 소수 군민의 필사적인 저항으로는 이를 막을도리도 없었고 차례로 순사하며 성은 함락되었다. 이 시기의 전황을 일본측의《 길야일기》 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익일(14일) 아침 묘시(卯時)에 배를 해안에 정박하고는 즉시 성을 공격하였다. 성내에서는 반궁(半弓)으로 화살을 비오듯 방사하였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군은 총포를 정돈하여 이시계(二時計)동안 천기를 어둡게 하였으므로 방패[榜櫓]는 날아가고 머리를 내미는 자가 없었다. 높이 삼심(三尋)이나 되는 성벽[石垣]을 속속 공격하여 들어갔다. 그리고는 군신(軍神)이 혈제(血祭)라 하여 남자, 여자 및 개ㆍ고양이 할 것 없이 모두 살해하였다.」여기서 그들은 조총으로 아군을 위협하려 하였던 것 같으며 그 곳에서도 아군은 화살로서 항전한 모습을 알 수있거니와 끝내 적군은 비전투원(非戰鬪員)인 여자는 물론 짐승까지 살해하는 천인공노(天人公怒)할 만행을 감행하여일대 살육전을 전개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면 전투시간을 살펴보면, 피아(彼我)에 차이가 있으나 송시열(宋時烈)의 정공묘표문(鄭公墓表文)에는 이 날 정오[正午]에 공은 탄환을 맞아 순사하고 끝내 성은 함락되었다고 하며, 일본의《 길야일기》 에는 여섯시경[卯時]에 공격하여 열시에서 열두시경[巳時]에 함락하였다고 하고 또《 서정일기》 에는 여섯시경[卯時]에 포위하여 여덟시경[辰時]에 함락하였다고 하였다. 이로 미루어 보면 대체로 새벽부터 적군은 군사를 동원하여 거의 한나절, 오전 중에 전투를 끝낸 것으로 보아진다. 부산진전투는 아군이 적을 맞이하여 처음 치른 싸움으로서 당시 아군의 수, 성민의 수는 알 수 없으나 적군의 수18,000명이 모두 동원되었는지는 불명하지만, 적의 군사에 비하면 너무나 적은 수였음은 추측할 수 있다. 이러한 적의 대군으로 더욱이 조총같은 신예의 무기로서 무장한 군사앞에 이기지못함을 알면서도 나라의 관문을 지키고자 항전한 이곳 군ㆍ관ㆍ민의 전적은 길이 청사(靑史)에 남을 것이다. 그러하기에 적군도 정첨사 등의 용전분투함을 찬양하고 임진난 때 가장 용감한 장수는 부산의 흑의장군(黑衣將軍 : 黑衣를 입고 분전하였다)이라 하였다. 가. 정발(鄭撥) 관(貫)은 경주로, 자(字)는 고(固)요, 군수(郡守) 명선(明善)의 아들로 명종 8년(1553)에 출생하였으며 25세에 무과에급제하여, 선전관(宣傳官)ㆍ해남현감(海南顯監)ㆍ거제현감(巨濟顯監)ㆍ주사랑(籌司郞)ㆍ위천군수(渭川郡守)ㆍ훈련원부정(訓練院副正)ㆍ사복시정(司僕寺正)을 거쳐 일본과의 전운(戰雲)이 짙은 때에 발탁되어 절충장군(折衝將軍, 正三品堂上官)으로서 부산진수군첨절제사(釜山鎭水軍僉節制使 ; 僉使)가 되어 순사하였다. 영조 37년(1761) 좌수사 박재하(朴載河)가 공의 전망비(戰亡碑)를 세웠으며 영조 42년(1766) 첨사 이광국(李光國)이정공단(鄭公壇)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조정에서는 시호(諡號)를 내리어 충장공(忠壯公)이라 하고 좌찬성(左贊成)을 증(贈)하였다.
Page 9 제5절 임진ㆍ정유왜란과 부산9나. 이정헌(李庭憲) 관(貫)은 공주(公州)로, 자(字)는 수경(守卿), 진사(進士) 석간(碩幹)의 아들로 명종 14년(1559)에 출생하였으며, 무과(武科)에 급제하였다. 때에 조정에서는 무신을 분견(分遣)하여 축성(築城) 보수하였는데 공은 조방장(助防將)이 되어남쪽으로 내려갔다. 첨사 정발이 공의 용략(勇略)함을 알고 이공에게 간청하자 막빈(幕賓)이 되어 군무를 도왔으며난이 일어나자 정공과 함께 용전하다가 순사하였다. 임지가 아니었기 때문에 공의 순절은 뒤늦게 알려졌다. 정공단(鄭公壇)에 합사(合祀)되고 통정대부(通政大夫) 승정원(承政院) 좌승지(左承旨)를 증(贈)하였다. 2) 동래성의 전적4월 14일 오전 부산진성의 전투가 끝나자 적군의 일부 병력은 동래성으로 진출하였다. 부산과 동래는 가까운 거리이고 또 부산의 행정관할은 동래부에 있었기 때문에 적군의 동태는 곧 동래에 알려졌다. 부사 송상현(宋象賢)은문관출신에다 주로 문관직을 경력하였기 때문에 무인처럼 병마(兵馬)에는 능숙하지 않았으나 국사에 대한 충성이강하였으며 유교적 교양을 지닌 분으로 대의명분(大義名分)의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 부임한 이래 정성으로 이민(吏民)을 치화(治化)하여 민심(民心)이 그를 따랐다고 한다. 조만간 일본의 침입을 예상하면서 주어진 권한하에 수성의계책을 세우고 일단 유사시에는 배운바에 부끄럽지 않게 성과 운명을 같이 할 것을 굳게 다짐하고 있었다. 송부사의 수성계획을 살펴보면 이 지역의 병권(兵權)을 가지고 있던 경상좌병사(慶尙左兵使, 兵營은 울산)의 군과인근 군현(郡縣)의 군사의 힘을 업고 싸울 예정이였던 것 같다. 당시 경상도좌병사은 이각(李珏)이었다. 이 병사는 일본의 침입의 급보를 받고 휘하사졸을 거느리고 동래부에 달려왔다. 그때의 좌병사군의 동정을《 임진동래유사》 에 의하면「적이 승전의 기세를 타고 바로 동래부로 향하였는데 부사 송공 상현은 남문루(南門樓)에 올라가 군민을 거느리고 성을 지키면서 적에 대비하였다. 이날 아침에 좌병사 이각이 변을 듣고 달려와서 성중으로 들어왔다. 그는 보졸(步卒) 수백명을 호출하여 조방장(助防將)으로 하여금 연격케하였다. 그는 부의 남쪽 10리(里)쯤에 이르다가 곧 돌아와 보고하기를 “적은 많고 우리는 적으니 당할 수 없다”고 하니 각(珏)이 말하기를 “부사는 마땅히 이 성을 지켜야 할 것이요 우리는 뒤에서 계속 후원할 것이다”하고는 곧 조방장과 함께성문을 열고 도망하였다.」고 하고 있다. 이 좌병사가 성중으로 돌어온 일시(日時)와 후퇴 일시는 명확한 것을 알 수 없으나 14일 저녁에 입성하여 15일아침에 후퇴한 것이 아닐까 하는 견해가 있다. 그리고 직접 부사의 명령계통은 아니나 인근에는 좌수영(左水營, 현 남구 수영)이 있고 박홍(朴泓)이 좌수사였다. 그는 부산포에 적의 대군이 밀어닥치자 재빨리 성을 버리고 도망을 쳤고, 역시 경상도의 병마권(兵馬權)을 가지고있던 경상도순찰사(慶尙道巡察使, 監司)는 김수(金晬)였는데, 그는 진주(晋州)에 있다가 변이 일어났음을 듣고 동래로향해 출발하였으나 중로(中路)에서 적이 접근해왔다는 소식을 듣자 우도(右道)로 되돌아가 어찌할 바를 모르고 열읍(列邑)에 격문을 발하여 민(民)으로 하여금 적을 피하라고 하였다 한다. 순찰사군은 예외로 하더라도 지원할 수 있는 죄병사가 도망하였고, 인근의 좌수사가 도망했으니 송부사의 글 그대로 외로운 성에 달은 흐리고[孤城月暈] 있다는 표현 그대로 무원(無援)의 상태였다. 다만 양산군수(梁山郡守) 조영규(趙英圭)가 참전하였다. 그가 양산의 군사를 이끌고 왔는지는 잘 알 수 없으나, 그의 참가하는 경위를 살피면「조영규는 일본의 침입의 소식에 양산은 자기가 맡은 바 고을이나 성과 군비가 불비하니, 동래부에 나
Page 10 제5절 임진ㆍ정유왜란과 부산10가서 합세하는 것이 보람된 일이라 생각하고는 동래로 달려 가서 싸울 것을 서로 약속하였다. 그리고 부사에게 노모(老母)가 군에 계시니 잠시 돌아가서 하직하고 오겠습니다.」고 양해를 구하고, 돌아가서는 노모에게 마지막으로 하직하고는 동래부로 질주하였다. 동래성은 이미 포위되어 있었다. 이 때 성문이 열리는 틈을 타서 부사와 상면하고 함께 싸우게 되었다. 이 조영규는 무과출신으로 송부사에게는전투를 치르는 상황에서 큰 힘이 되었다고 보아진다. 동래성에 적군이 침입한 것은 부산진성을 함락시킨 14일로 그들은 여세를 몰아 내침하여 포위하고 15일에 공격을개시하여 전투를 펼쳤다는 설과 15일에 내침하여 전투가 전개되었다는 설이 있다. 이 점을 먼저 살펴보겠다. 송시열이 찬한 송공행장(宋公行狀)에는 “15일에 부성에 진핍(進逼) 하였다”하고 역시 송시열이 찬한 신도비명(神道碑銘)도15일이라고 하고 있다. 그런데 역시 송시열이 찬한 충열비기(忠烈碑記)에는「•••••적은 이내 바로(14일:筆者註) 동래성을 공격하니••••• 부사 송상현공은 •••••남문의 망루(望樓)에 올라가서 군사와 백성을 거느리고 적을 막았다. 적은 취병장(聚兵場)에서 진을 치고 있었는데 먼저 목판(木板)에글을 써서 보내고••••• 적은 마침내 성을 세겹으로 포위하였다. 15일 아침에 적은 산 뒤의 산으로•••••」라고 적고 있다. 그리고《임진동래유사》에는「적은 승전의 기세를 타고 바로 동래부로 향하였다. •••••적이 취병장에서 진을 치고 먼저 백여인으로 하여금 목패(木牌)를 가져오게 하여 남문 밖에 세웠다. •••••적병은 드디어 3대(隊)로 나누어 1대(隊)는 황령산(荒領山) ••••• 이 날이 저물기 전에 성을 세겹으로 포위하였다. 15일 아침에 적이 성의 뒷산에 올라가서•••••」라 하고 있다.《충렬비기》와 같이 14일 포위 15일 공격으로 기록하고 있다. 그런데 일본측의 기록인 종의지(宗義智)의 종군승(從軍僧) 천형(天荊)의《서정일기》에는「13일(朝鮮曆은 14일)••••• 즉시 동래에 나아갔다. 성에서의 거리 반리(半里)쯤의 지역에 둔(屯)하였다. 오각(午刻)에 부산의 영(營)에 돌아왔다고 하고 있으며, 또 14일(朝鮮曆은 15일) 묘각(卯刻)에 부산을 출발하여진시(辰詩)에 동래성을 포위하여 동각(同刻)에 이를 함락시켰다•••」하고 있다. 위의 기록은 종의지(宗義智)의 군에 관한 동정인데, 소서행장(小西行長)의 1군의 휘하에는 종의지(宗義智)외 5장(將)의 군사가 있으니 그들의 동정은 알 수 없다. 다만 추측할 수 있는 것은 우리측에 목패를 써 가도(假道)를 요구한 것은 종의지(宗義智)의 군사에 의한 것이 아닌지? 부산진성에서도 역시 항복을 요구한 사례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14일에 일부의 적군이 동원되고 15일 주력부대가 동원된 것이 아닌가 하는 점을 살필 수 있겠다. 여기에서는우리측의 기록이 신빙성이 높다고 보아지는《임진동래유사》에 따라 14일 침입 15일 공격이라고 서술하고자 한다. 적군은 14일 부산진을 함락케 한 후 그 여세를 몰아 동래성을 내섭하였다. 송부사는 만반의 태세를 갖추고 대비하고 있었다. 적은 취병장(聚兵場 ; 현 동래경찰서, 舊 弄珠山)에서 진을 치고 먼저 백여명의 군사로 하여금 한 목패(木牌)를 남문(南門) 밖에 세우고 갔다. 송부사는 군관(軍官) 등에 명하여 나가 보게 하니 글에는 “싸우고 싶거든 싸우고 그렇지 않으면 우리에게 길을 빌려 달라”(戰則戰矣 不戰則假我道)고 쓰여 있었다. 송부사는 또한 목패에다 “싸
Page 11 제5절 임진ㆍ정유왜란과 부산11워서 죽는 것은 쉬워도 길을 빌리기는 어렵다”고 글을 써서 적중에 던졌다. 막중한 대군을 앞에 두고 송부사는 결사의 굳은 뜻을 피력하였다. 그러자 적군은 3대(隊)로 나누어 한 대(隊)는 황령산(荒嶺山) 기슭부터 한 대(隊)는 서편(西 便)대로(大路)로부터 또한 대(隊)는 취병장으로부터 바로 남문(南門)으로 향하여 날이 저물기 전에 세겹으로 성을 포위하였다. 14일 밤은 적의 포위속에 살기가 등등한 가운데 지새웠던 것 같다. 15일 아침 적의 대공세가 시작되었다. 아군의 주력은 남문루를 중심으로 집결되었다. 송부사는 남문루에서 주로작전을 지휘하며, 때로는 성내를 순시한 듯하다. 아군의 주된 무기는 활ㆍ칼ㆍ창ㆍ석노(石弩) 등이고 포(砲)나 화전(火箭)을 사용하였는지는 잘 알 수 없다. 남문에서 피아 양군이 사력을 다해 격전을 치루었으나 쉽게 무너지지 않았다. 적군은 성의 후산(後山)인 지금의인생문지(人生門址)가 있는 경사진 산복의 성벽을 파괴하고 함성을 지르면서 성내로 밀어닥쳤다. 공격하기 전의 모습을《징비록》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먼저 허수아비를 만들었는데, 홍의(紅衣)를 입히고 푸른 수건[靑布]를 머리에 감싸고 등(背)에는 붉은깃발을 매고 장검(長劍)까지 차고 있었다. 이를 긴 작대기에 묶어서 성담사이(堞間)에 세우니, 이를 본 성중의 성민은 그 군세에 깜짝 놀라 소동을 벌렸다」고 한다. 당시 적군의 모습도 이와 같았다고 보아진다. 총성은 울려퍼지고 검광(劍光)은 백일(百日)을 무색하게 하면서 차례로 적군은 성중에 사람으로 메우다시피 하였다.《임진동래유사》에는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이 때 부민들은 창졸간에 적을 만난지라 모두 성으로 들어와 버티매 성은 협소하고 사람은 많은데다가적병 수십만이 일시에 성으로 다투어 들어오니 성중은 메워져 움직일 수 없었다」고 한다. 이러한 대혼란 속에서 한동안 아비규환(阿鼻叫喚)의 대접전이 벌어진 것이다. 군졸은 말할 것도 없거니와 성민들도 함께 싸움에 참가하였다. 생존을 위한 본능적인 저항이 전개되었다. 무기를 갖지 못한 성민들은 혹은 도수(徒手)로 적에 부딪히고 혹은 막대기를 휘두르며, 혹은 괭이, 도끼, 낫, 칼 등 손에 잡히는 대로 가지고 싸웠으며, 혹은 돌아서 치기도 하고 지붕 위에 올라가서 기와장을 가지고 난타 살해했다. 실로 처절한 싸움이 백일하에 전개되었다. 그러나 워낙 막강한 적군의 무차별 살육이 감행되는 가운데 성민들의 시체는 산을 이루고 피는 내를 이루었다. 송부사는 중군(中軍)을 비롯한 막료 군관들과 함께 성중을 돌면서 독전하였다. 이 싸움에서 일본군의 1군의 장(將) 소서행장(小西行長)이 스스로 손에 칼을 들고 선등(先登)하여 군을 지휘하였다고 하니 그들의 공격을 짐작할 수 있다. 대세는 시시각각 우리측에 불리해 갔다. 대세가 이미 어찌할 수 없었음을 알게 되자, 송부사는 문인답게 죽을 각오를 표시하였던 것이다. 호상(胡床)에 걸터앉아 사람을 시켜 빨리 조복(朝服)을 가져오게 하여 갑옷 위에 입고 의연한 자세로 움직이지 않았다. 적병이 와서 송부사를 생포하려 하였던 것 같다. 적중에는 평조익(平調益)이라는 면식(面識)이 있는 자가 있었다. 그는 일찍이 사행(使行)을 수행하여 내왕한 일이 있는 자로 송부사의 혜택을 많이 입었고 또 인격에 감화된 바 있었다. 평소에 송부사의 은혜를 보답하려고 생각하였는데 이렇게 대하게 되어 어찌할바를 몰랐다. 송부사를 피신시키려고 애썼으나 송부사는 그것에 개의치 않고 조용히 호상(胡床)에서 북향사배(北向四拜)하고는 붓을 잡아 부채에
Page 12 제5절 임진ㆍ정유왜란과 부산12「외로운 성에는 달이 흐려지고(孤城月量) 다른 성진에는 지척이 없다(列陣高枕) 군신의 의가 무거우니(君臣義重) 부자의 은정 그 어찌 가벼우리까(父子恩輕)」라고 글을 써서 부모님께 하직의 인사를 사람을 시켜 보냈다. 이윽고 적병은 굴하지 않을 것을 알고 칼을 들어 살해하였다. 뒤에 적장 종의지(宗義智) 등은 탄복하고 송부사를 살해한 자를 죽였다고 한다. 이때 송부사의 주위에는 군관(軍官) 송봉수(宋鳳壽)ㆍ김희수(金希壽) 등 4ㆍ5명, 향리(鄕吏) 대송백(大宋伯)ㆍ소송백(小宋伯) 관노(官奴) 철수(鐵壽)ㆍ매동(邁同) 등이 좌우에 열입(列立)하고 있었는데 적병들이 앞으로 핍박함에송부사ㆍ 김희수ㆍ대송백 등은 격투끝에 전사하였다. 이 동래부의 전투에서 이름을 전하는 자는 송부사의 측근에는종행인(從行人) 신여로(申汝魯), 김성(金蟾)이 있으며, 이밖에 양산군수 조영규(趙英圭), 교수(敎授) 노개방(盧蓋邦), 교생(校生) 문덕겸(文德謙) 등이며, 부민으로는 다만 박상(朴祥)과 이름이 밝혀지지 않고 있는 이촌녀(二忖女) 등이 전한다. 이들은 대부분이 장렬하게 전사하였다. 동래부는 부산진보다 큰 고을이고 부사가 소임을 맡고 있는 지체 높은 고장이기 때문에 적군이 부산진전투에서굳센 항전을 경험하였기 때문에 적은 대군을 동원하여 일시 공략하려고 하여 일대 격전을 치루었던 것이다. 동래성전투는 15일의 경우를 보면 시간적으로 부산진성의 전투보다 짧았던 것 같다. 이 대격전이 우리의 많은 희생자를 내었던 것은《조공유사기(趙公遺事記)》에 보면「조군수의 아들 정노(廷老)가 부친의 유해(遺骸)를 찾으려 동래성에 가본 즉 가득히 시체가 쌓였으니 부친의 유골을 찾을 수 없었다」고 한 글과, 임진난 후 17년에 동래부사로 부임해온 이안눌(李安訥)의 시 “동래명하유감(東來孟夏有感)” 에 그 당시상황은 잘 나타나고 있다. 4월 15일 평명(平明)에 집집마다 곡소리가 일어나, 천지가 소슬(蕭瑟)하고 서참한 바람이 임목(林木)을 진동하기에놀라서 노리(老吏)에게 물으니, 바로 이 날이 임진년 성의 함락일이란 것이다. 송부사를 좇아 성중에 모였던 지방민들은 같은 시간에 피바다로 변하고 쌓인 시체밑에 투신하여 천백명 중에 한두명이 생명을 보전할 정도이며 조손(組孫)ㆍ부모ㆍ부부ㆍ형제ㆍ자매간에 무릇 생존한 자는 이 날에 죽은 친족(親族)을 제(祭)하고 통곡한다는 것이다. 이 말을 듣고 눈물을 흘리노라니 노리는 다시 말하기를「곡(哭)해 주는 사람이 있는 것을 오히려 슬프기가 덜할 것이나, 휘두루는 적의 흰칼(白刀) 아래 온 가족이 다 죽어서 곡해줄 사람 조차 남기지 못한 집이 얼마나 많은지 모른다」는 것이다. 가. 송상현(宋象賢) 여산인(礪山人)으로 자(字)는 덕구(德求) 호는 천곡(泉谷)이며 현감 부흥의 아들로서 명종 6년(1551)에 출생, 선조3년(1570)에 진사(進士), 동 9년에 문과(文科)에 급제하였다. 승문원(承文院) 주서(注書) 겸 춘추관(春秋館) 기사관(記事官)이 되었다. 이어서 경성판관(鏡城判官)이 되었으며, 사헌부(司憲府)의 지평(持平)에 들어와서는 예조ㆍ호조ㆍ공조의 정랑(正郞)이 되었다. 그 후 질정관(質正官, 宗系辨誣를 바로잡기 위해 質正官 됨)으로 명(明)에 파견되었다. 사헌부에 돌아와서는 사헌부 지평으로 있다가 은계도(銀溪道) 찰방(察訪)으로 좌천되었다가 다시 지평이 되고 이어 백천(白川)군수로 나아갔다. 전직되어 와서는 충훈부(忠勳府) 경력(經歷), 사헌부 집의(執義), 사간원(司諫院) 사간(司諫),
Page 13 제5절 임진ㆍ정유왜란과 부산13사재(司宰), 군자(軍資)의 2감(二監)의 감정(監正)이 되었다. 선조 24년(1591년, 辛卯)에 집의(執義)로서 통정대부(通政大夫, 正三品)로 승진되고는 동래부사가 되었다. 순사한 후 선조 27년(1594) 조정에서는 이조판서(吏曹判書)를 추증(追贈)하였으며, 충렬공(忠烈公)의 시호(諡號)를내리고 숙종 7년에는 좌찬성(左贊成)을 가증(加贈)하였다. 동래(東萊)의 충렬사(忠烈詞), 송공단(宋公壇), 고부(古埠)의선충사(旋忠祠), 청주(淸州)의 신항서원(辛港書院), 송경(松京)의 숭렬사(崇烈祠), 경성(鏡城)의 화곡서원(禾谷書院)에모시고 있다. 나. 조영규(趙英圭) 직산인(稷山人)으로 자(字)는 옥첨(玉瞻)이며 수의부위(修議副尉) 준(準)의 아들로서 중종 30년(1535) 장성부(長城府) 백암리(白巖里)에서 출생하여 명종 9년(1554) 무과(武科)에 급제하였다. 훈련원(訓練院) 초관(哨官)을 거쳐 사복시(司僕寺) 주부(主簿)ㆍ판관(判官)이 되고 이어 제주판관(濟州判官), 무장현감(茂長縣監)이 되었다. 그 후 부(父)의 상(喪)을 당하여 관직을 떠났다가 다시 영암(靈岩)ㆍ용천(龍川)ㆍ낙안(樂安)ㆍ영해(寧海) 등 여러 고을의 수령을 역임하고 양산군수 재임시에 동래성에서 항쟁 순사하였다. 숙종대에 호조참판(戶曹參判)을 추증(追贈)하였으며, 장성(長城) 모암서원(慕巖書院), 양산(梁山) 충렬사(忠烈祠), 동래(東萊) 충렬사(忠烈祠)에 배향하고 있다. 다. 노개방(盧蓋邦) 밀양인(密陽人)으로 자는 유한(維翰) 명종 8년(1553)에 출생하였으며 선조 2년(1569)에 소과(小科)에 급제하였다. 난이 일어날 당시 동래부의 교수(敎授)로 재직하고 있었다. 때마침 밀양의 집에 머물렀는데 적의 침입에 접하고서는곧 동래부에 나아가 향교의 성현의 위패를 정원루(靖遠樓)에 이안(移安)하고는 문덕겸(文德謙) 등 문생과 함께 순사하였다. 그의 처(妻)도 밀양에서 적군을 만나자 부군(夫君)의 홍패(紅牌 : 科擧 合格證)를 안고 높은 곳에 올라가 떨어져 자결하였다. 도승지(都承旨)를 추증(追贈)하였으며, 동래(東萊)의 충렬사(忠烈詞), 밀양(密陽)의 중봉서원(中峯書院)에 배향되었다. 3) 다대포진과 수영성의 전적적군이 부산진성을 함락하고는 서평포진(西平浦鎭, 부산시 사하구) 다대포진을 침공하였다고 하나 서평포진에 관한 전투 관계 기사는 전하는 데가 없으니 어찌 되었는지 알 수 없다. 다대포의 진적도 그다지 상세한 기록이 남아있지 않다. 서평포ㆍ다대포ㆍ부산포는 지금의 부산영역이나 부산포보다 군사적 지체도 낮고 고을도 규모가 작으며당시로 보아서는 비교적 외떨어진 곳이니 당시 상황을 전할 길이 없었던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또 다대포의 경우첨사(僉使) 윤흥신(尹興信)은 인종 1년(1545)에 사사(賜死)된 윤임(尹任)의 아들이라고 하니 혹시 그러한 인간 관계에서 온 것이 아닌가 생각되나 국사에 순국한 사람의 일이 이렇게 알려지지 않음은 역시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영조 33년(1757) 당시 동래부사를 역임한 부제학(副提學) 조엄(趙曮)의 다대포첨사 윤공전망사적서(尹公戰亡事蹟敍)에 보면 다음과 같다. 「내가《징비록》을 본 바에는 다대포첨사 윤흥신이 역전(力戰)하여 전사하였다 하고, 또《재조번방지》에는 왜적이 분병(分兵)하여 서평을 함락하고 다대포첨사 윤흥신이 역전하여 피찰되었다고 하였는 바《징비록》은 선조대의 상신(相臣) 유성룡(柳成龍)이 찬한 것이며,《재조번방지》도 동양위(東陽尉)의 윤자(胤子) 신영(申靈)이 찬한 바로 당시의 문헌을 필히 공증하였을 것이니 믿을 만한 것인데 임진난 후 영조 33년(1757) 본인이 동래부에 부임하여 충렬사에 참배한 즉 송부사, 정첨사만 모시어 있고 심지어 향리ㆍ노예까지 모시고 있으나 윤공 혼자만 참여되어 있지 않음을 이상하게 느껴 읍지(邑誌)를 상고(詳考)하고 변두리인본포(本浦)를 방문하였으나 세월이 오래되어 밝히지 못하였고 후예(後裔) 또한 할 수 없으니 아무도 아는
Page 14 제5절 임진ㆍ정유왜란과 부산14사람이 없다.」역시 그 뒤 영조 40년(1764) 당시 동래부사였던 강필리(姜必履)도《윤공사절기(尹公死節記)》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작년 가을 내가 동래부사로 와서 충렬비(忠烈碑)를 배독하고는 윤공이 실려있지 않음을 보고 애석하게여겼으며, 또 충렬사에 참배하였던 바 그 곳에도 참여되지 않고 있었으므로 슬퍼하였다. 그 유사를 찾아보았으나 성상(星霜)이 이미 지나 유적이 분명치 않았으며 촌리의 고로(古老)들에게 물어도 아는 이가 없었다. 금년 봄에 내가 금정산(金井山) 범어사(梵魚寺)에 출유(出遊)하였다가 우연히 국조전망인시식책자(國朝戰亡人施食冊字)를 볼 수 있었는데 거기에 다대포첨사 윤공의 이름이 송ㆍ정공의 이름 다음에 대서(大書)하여있으니 공의 정충(貞忠)으로서 유사(遺祀)에 상식하지 못하고 다만 범궁(梵宮 : 寺刹)의 초향(醮享)에 들어있으니 사림(士林)의 향모(向慕)하는 뜻이 승도의 숭상함만 못한 것인가?」하는 데서 임진난이 지난지 오랜 세월을 경과한 영조때까지 사적이 잘 전하여지지 않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임진난의 초전에 도체찰사(都體察使)로서 전국을 지휘하였던 유성룡의 《 징비록》에 기록이 있고 또 조의 신의《재조번방지》에도 기재되고 있으며, 편찬연대는 알 수 없으나 범어사의《국조전망인시식책자》에 다대포첨사의이름이 있음을 보아 다대포에서 항전이 었었음을 알 수 있다. 다대포성의 항전이 있었던 날은 상기한 《윤공사절기》에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삼가 고(故)의 이정헌(李庭憲)의 행장을 상고하면, '적이 먼저 부산을 함락하고 군사를 나누어 동래 및제포(諸浦)도 함락시키니 다대포첨사 윤공이 사절(死節) 하였다'고 하였으며, 조부제학(趙副提學 : 趙曮)의서문중에 인용한 구팔곡(具八谷)의 조망록(吊亡錄)에는 '적이 성을 포위하거늘 윤공이 싸워 물리치니 이틑날적이 크게 이르러 성이 함락되었다'고 하는데 이제 그 행장과 《조망록》을 참고하면 본부(本府 : 東萊)와양진(兩鎭)이 함락된 것이 모두 동시의 일이니, 부산은 임진 4월 14일, 본부는 15일인바 다대포의 함락도역시 부(府)와 같은 날이 아닐까? 만약에 같은 날이 아니라면 그 다음 날이 될 것이니 요컨대 15ㆍ16일은넘지 않을 것임에 틀림이 없다.」그러니 부사 강필리는 다대포성이 항전끝에 함락된 것은 동래부와 같은 날인 15일로 보고 있으나 단정은 못하고있다. 그리고 정조 5년(1782)에 찬한 동래부사 홍종응(洪鍾應)의〈첨사윤공흥신순절비문(僉使尹公興信殉節碑文)〉에는 침입한 날을 시사하고 있으며 전투의 양상에 대해 가장 자세하다. 그런데 이 사료(史料)를 어디에서 얻었는지 알 수없으나 그것을 보면「부산진성을 함락한 왜군이 군사를 나누어 그 선봉군이 다대를 포위하였다. 이에 첨사는 역전 끝에 적을 격퇴하였다. 대에 휘하의 한 군사가 앞으로 나와 말하며 가로되 '멀지 않아 적이 반드시 대거 침공하여올 것이니, 그 대는 막아내기가 어려울 것이니 피하는 길 밖에 딴 도리가 없을 것 같습니다'라고 아뢰니 공이 꾸짖어 말하기를 '오직 죽음이 있을 뿐이다'라고 대답하고 결사(決死)의 뜻을 피력하였다. 그 익일 드디어 적의 대군이 침공하여 오니 첨사는 휘하의 군사를 이끌고 동생 흥제(興悌)와 함께 적군에 뛰어들어 분투를 거듭하다가 장렬한 전사를 하고 성도 따라 함락되었다.」
Page 15 제5절 임진ㆍ정유왜란과 부산15라고 하고 있다. 이상의 사료를 종합하여 생각해 보면 14일 부산진이 함락된 후 일부의 적군 병력은 동래로 향하고, 한편으로 수의 병력으로 다대포를 포위하였으나 격퇴를 당하고 익일 15일 동래성과 함께 다대포성도 적의 대군의 공격을 받고윤첨사도 성 함락과 함께 사절하였다고 보아진다. 가. 윤흥신(尹興信) 본관은 파평(坡平)으로서 인종 때 권세가 윤임(尹任)의 아들이라고 한다. 진천현감(鎭天縣監)을 거쳐 1592년 임진난 때 다대포첨사로서 항전 순사하였다. 4) 좌수영성좌수영(부산시 수영동)의 항전은 동래ㆍ부산ㆍ다대의 경우와 상의하다. 그러나 이곳의 전적(戰蹟)도 다대포의 사적 이상으로 기록이 전하지 않는다. 상기한 바 있는《 징비록》에 의하면 “좌병사 박홍(朴泓)은 적세가 큰 것을 보고 성을 버리고 달아났다”고만 기록되고 있다. 그러니 적군이 이곳을 침공할 당시 즉각적인 군관민의 저항이 있었던 것 같지 않으며 적군이 침입한 날도 잘 알수 없다. 다행히 수영의 군민의 항전에 대해서는 정조 17년(1793)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 장인식(張寅植)이 찬한〈수영의용비명(水營義勇碑銘)〉에 가장 상세한데 이를 보면「동래가 먼저 적봉을 당하고 부진(府鎭)이 차례로 함락되어 순절하고 의(義)에 순한 사적(史籍)에 기재되어 일성(日星)과 같이 빛나거늘, 이 수영만은 주장(主將)이 전사하지 아니한 고로 왜의 명령에 위협을 받고말을 천하게 하는 사람이 있어도 과히 여길 것이 없다. 그러나 비록 이 같은 이가 충의를 분발하여 적을죽이더라도 사적이 민몰(泯沒)하여 전하지 아니하니 심히 애석하다. 난후 17년에 부사 이안눌(李安訥)이 7년의 수륙전진(水陸戰陣)의 사적에서 25명의 의사를 찾았다.」고 하고 있다. 이상의 것으로 추측컨대 당시의 수사 박홍은 부산에 침입한 적세가 너무 창궐하여 감당할 수 없음을 알고 진영을비우고 도망한 것이다. 연후에 군사는 흐트러지고 그러한 혼란 속에 적군이 침공하여 점령되었다고 생각한다. 그 후주둔하던 적군이 민재(民財)와 가축을 탈취하고 인신을 겁탈하는 등 만행을 감행하였다고 보아진다. 그러하자 이곳군민들은 스스로의 향토를 지키고 가족을 보호하기 의해 군을 형성하고 게릴라 전법으로 7년간 적과 투쟁하였다. 특히 그 활약은 임진 의병(義兵)과 같이 하나의 동지적(同志的)인 결합으로 부기와 식량을 자변(自辯)하고 적을 유인사살하며 혹은 기습전을 전개하고 적의 양곡을 탈취하는 등 왜군이 전주하던 장기간에 걸쳐 계속적인 항전을 전개한 것으로 믿어진다. 스스로 일어났던 민중의 항전이란 점에서 더욱 높이 평가되어야겠다. 지금 수영동 의용단(義勇壇)에 25의사의 비가 있으니 그 이름은 다음과 같다. 김옥계(金玉戒), 이희복(李希福), 정인강(鄭仁疆), 최한연(崔汗連), 최송엽(崔松葉), 최한손(崔汗孫), 최수만(崔守萬),최막내(崔莫乃), 박지수(朴枝樹), 최말양(崔唜良), 김팽량(金彭良), 김달망(金達亡), 박응복(朴應福), 김덕봉(金德奉), 심남(沈男), 이실정(李實貞), 이은춘(李銀春), 김허롱(金許弄), 정수원(鄭壽元), 주난금(朱難今), 박임(朴林), 김종수(金從守), 신복(辛福), 김진옥(金進玉), 이수(李壽). 부산 일원에서는 임진난을 당하고 타 고을과는 달리 군ㆍ관ㆍ민(軍ㆍ官ㆍ民)은 그들에게 주어진 여건 하에 최선
Page 16 제5절 임진ㆍ정유왜란과 부산16을 다하다가 미련없이 목숨을 나라에 바쳤으니 이는 이 고장의 역사에, 나라의 역사에 길이 빛날 사적일 것이며 후세 사람의 귀감(龜鑑)이라 하겠다. 임난때 활약하던 송암(松巖) 이로(李魯)의《 용사일기》에 있는 서명서(徐命瑞)의〈서문〉중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기록되어 있다. 「대개 100년 동안 태평하였던 백성들은 병란을 보지 못하였으므로 다만 송후(宋侯 : 宋象賢)가 순군한이외에는 별과 같이 널리 있는 모든 고을이 하루 아침에 바람에 쓰러지듯 하였으니 마치 '하복 24군(郡)에한명의 의사가 없었다'는 불행한 옛 고사와 비슷하다.」이렇듯 적의 대군이 북상할 대 그 많은 수령에는 송상현ㆍ정발ㆍ윤홍신과 같은 이가 없었다. 이들이 분전할 수있었던 것은 그 분들의 우국충정에도 기인하겠으나 한편으로는 목민관(牧民官)으로서 애민(愛民)의 정성으로 보살폈기 때문에 그곳 군ㆍ관ㆍ민의 뒷받침을 받았기 때문이다. 침략자에게 죽음을 무릅쓰고 싸운 이곳 민중의 사적은 길이 후손의 귀감이 되겠다. 5) 동래부민의 의병활동4월 15일 동래성의 항전에서 살아 남았던 장정(壯丁)들은 민족의 울분과 가족 친지의 죽음에 또 향토가 유린당한상황에서 적개심을 억누를 수 없었다. 그들 중에는 고향을 떠난 각지에 봉기하고 있던 의병군에 참가하여 항일투쟁에 참가 하였다. 영천(永川)에서 기병하여 좌도(左道)에서 활약하여 명성을 떨치고 있던 권응수(權應銖), 의령(宜寧)에서 거병하여 우도(右道)에서 활동하여 명망이 높던 곽재우(郭再祐) 휘하에 들어간 이도 있었다. 동래부 출신이 의병장 김정서(金廷瑞)ㆍ김일덕(金一德) 휘하에 참가하여 분전한 이도 있었다. 그 외에 여러 곳에서 전중에 활동하는이가 많았다. 그 중 임진난 후 녹권(錄券)에 실린 공신은 66명이나 되었는데 부사 이안눌(李安訥)이 부임하여 와서여러 부로(父老)에게 문의하여 66명중에서 두드러지게 뛰어난 24명을 선정하였다. 이들을 흔히 별전(別典)공신이라 일컫기도 하며 24공신이라 하기도 한다. 증직(贈職)과 성명을 들면 다음과 같다. 병조참의(兵曺參議) 김정서(金廷瑞)ㆍ정승헌(鄭承憲)ㆍ문세휘(文世輝)ㆍ정순(鄭順)ㆍ김일개(金一介)ㆍ송창문(宋昌文)ㆍ김근우(金根祐)ㆍ이언홍(李彦弘)ㆍ김달(金達)ㆍ송남생(宋南生)ㆍ황보상(皇甫祥), 장악원정(掌樂院正) 오홍(吳鴻), 훈련원정(訓練院正) 김기(金琦)ㆍ김흘(金屹)ㆍ김대의(金大義)ㆍ김복(金福)ㆍ이응필(李應弼), 군자감주부(軍資監主簿) 박인수(朴仁壽), 사재감첨정(司宰監僉正) 강개련(姜介連), 사도사첨정(司導寺僉正) 송계남(宋繼男), 사재감첨정(司宰監僉正) 오춘수(吳春壽), 군자감판관(軍資監判官) 이복(李福) 송의남(宋義男) 등이다. 6) 부산포해해전전(釜釜山山浦海戰) 임진년 4월 13일 왜의 대침이 있자 경상도의 해상 방비의 책임을 맡고 있던 경상좌수사(慶尙左水使) 박홍(朴泓)은사기를 잃고 도주해 버렸고, 경상우수사(慶尙右水使) 원균(元均)은 먼저 상륙한 적군의 세가 큰 것을 보고 아예 출격도 하지 않고 전함 100여척과 화포(火砲)ㆍ군기(軍器)를 모두 해중에 격심시키고 홀로 약간의 비장(脾將)ㆍ이영남(李英男)ㆍ이운룡(李雲龍) 등과 4척의 전함에 타고는 곤양(昆陽) 해구(海口)에 분주해서 육지에 내려 적을 피하고자하였다. 여기에 수군 만여명이 모두 해산되고 말았다. 수군이 스스로 무너진 것은 왜군의 상륙을 용이하게 한 원인이 되었다. 이런 일이 있자 율포만호(栗浦萬戶) 이영남은 원균에게 항언(抗言) 하기를「사도(使道)는 왕명을 받아 수사가 되었는데 이제 군사를 버리고 육지로 도망하면 후일 조정에게 죄를
Page 17 제5절 임진ㆍ정유왜란과 부산17물을 때 무슨 변명을 하려 하시오? 그러니 전라도에 구원을 청하여 임전한 다음에 승전(勝戰)하지 못하면그때 도주하여도 늦지 않을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또 옥포만호(玉浦萬戶) 이운룡도「이곳은 전라ㆍ충청 양도의 목[咽候]인데 이곳을 버리면 전라ㆍ충청이 위태로울 것입니다」라고 말하여 호남(湖南)으로 가서 원병을 청해와서라도 이곳을 고수(固守)할 것을 역설하였다. 이리하여 원균과 이운룡은 노량(露梁)에 물러가 있고, 이영남은 달려가서 전라좌수사(全羅左水使) 이순신(李舜臣)에게 원군을 요청하였다. 경상도로부터 구원요청을 받자 이순신은 휘하 장수(將帥)를 소집하여 이에 대책할 회의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낙안군수(樂安郡守)를 비롯한 대부분의 장수는 경상도의 출격을 반대하여 말하기를「본도(本道)의 수군은 마땅히 본도를 지켜야 할 것이며, 영남으로 들어온 적을 친다는 것은 우리의 책임이 아닙니다」라고 관할론(管轄論)을 들고 나왔다. 이순신까지도 상고(相顧)하면서 말이 없었는데, 이 광경을 지켜보던 광양현감(光陽縣監) 어영담(魚泳潭)이 분연(奮然)히 소리내며「경상도가 우리의 국토가 아니며 왜가 우리의 국적(國賊) 이 아니냐? 」고 하자 또 군관(軍官) 송희립(宋希立)이 강개체읍(慷慨涕泣)하면서「대적이 국경을 치고 들어와서 그 군세가 마구 뻗치는데 가만히 앉아서 외로운 성만 지킨다고 혼자 보전(保全)될 도리가 없으니 나아가 싸우는 것만 같이 못합니다. 그래서 다행히 이기면 적들의 기운이 꺾일것이고 또 불행히 전사한다 해도 신하된 도리로 후세(後世)에 부끄러움이 없을 것입니다」고 항언(抗言)하였으며, 또 녹도(鹿島, 전남 고흥군) 만호(萬戶) 정운(鄭運)도「신하로서 평소 국은(國恩)을 입고 국록(國祿)을 먹다가 이런 때에 죽지 않고, 어떻게 감히 앉아서 보고만 있을 것이오? 라고 극언역조(極言力調)하였다. 이러한 장수들의 의견을 들은 이순신은「적의 기세가 마구 뻗쳐서 국가가 위태롭게 된 이때, 어찌 다른 도(道)의 장수라고 핑계하고 물러나 자기 경계(境界)만 지키고 있을 것이냐 내가 시험 삼아 물어 본 것은 우선 여러 장수들의 의견을 들어보자는
Page 18 제5절 임진ㆍ정유왜란과 부산18것이었다. 오늘날 우리가 할 일은 다만 나아가서 싸우다 죽는 것 밖에 없다. 감히 반대하는 자가 있다면 목을 베리라」하고 경상도 출병을 결정하였다. 이를 두고 이항복(李恒福)은 이순신의 공은 관절(冠絶)할 바이나 경상도 함패(陷敗)를 듣고도 응원의 생각은 없고, 노량 앞바다에서 적의 퇴로를 막거나 전라도를 고수할 것에 저회(低徊)하고 있었는데 권준(權俊) 어영담(魚泳譚)의권고(勸告)로 출병을 정하였다고 말하고 있다. 이렇듯 이순신의 휘하에는 점진적이고 투지에 차있던 이들이 많았던것이다. 이들은 실로 우리 수군의 지주(支柱)였으며 상하가 화합하는 가운데 수군의 대승(大勝)이 이루어질 수 있었던 것이다. 한편 이순신은 4월 29일에 또한 우수사 원균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연락을 받았다. 「적선(賊船) 500여척이 부산ㆍ김해ㆍ양산강(梁山江, 양산에서 구포쪽을 흐르고 있는 강. 현재 이곳을 洛東江이라 함)ㆍ명지(鳴旨)섬 등 여러 곳에 정박하여 제 마음대로 육지에 올라가서는 연안(沿岸)을 점령하니각 고을과 포구(浦口), 우리 병영(兵營)과 수영(水營)이 거의다 함락되어 봉화(烽火)가 끊어진 것이 분통합니다. 그래서 본도(本道) 의 수군을 뽑아 출동시켜 적선 10여척을 분멸(焚滅)하였지마는 나날이 적병은 늘어그 형세가 더욱 성해져서 적수는 많고 우리는 적기 때문에 적대(敵對)할 수 없으며, 본영(本營)도 이미 함락되었으니 이제는 두 도(道)가 합세하여 적선을 공격하면 육지의 왜적들이 뒤를 염려하게 될 것이니, 귀도(貴道)의 군선(軍船)을 남김없이 거느리고 당포(唐浦) 앞바다로 급히 나와 주시오.」원균의 경상도 수군도 이때는 군사활동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하여 이순신은 4월 30일 출동하려하였으나 경상도의 전황이 함대를 움직이기에 극히 불리하여 부득이 연기되였다. 이때 이순신은 시대의 안타까움과 비장(悲壯)한 결의를 다음과 같이 피력하고 있다. 「지난날 부산ㆍ동래연안의 여러 장수들이 전함을 잘 정비하여 바다에 가득히 진(陣)을 치고 엄격(掩擊)할 위세를 보이며 서로 겨누어서 진퇴(進退)를 취하여 적을 육지에 오르지 못하게 했더라면 나라를 욕되게한 환난(患難) 이 이 지경에 달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생각이 이에 미치매 감개(感慨) 심히 간절하와, 원하건대 한번 죽음을 기약하고 호혈(虎穴)을 바로 두들겨 요기(妖氣)를 쓸어버리고 나라의 치욕을 만분(萬分)의일(一)이라도 씻으려 하옵는바, 성공하고 실패하는 것이야 신(臣)이 미리 계량(計量)할 바가 아닐까 하옵니다.」이와 같은 장계(狀啓)를 올리고는, 5월 4일 오전 2시[丑時]에 전라좌수영(全羅左水營)인 여수(麗水)를 출발하였다. 그때 올린 장계[赴援慶尙道狀]에 의하면「내륙(內陸)으로 향한 적이 곧 서울을 침범한다 하므로 신(臣)과 여러 장수는 발분(發憤)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칼날과 죽음을 무릅쓰고 귀로(歸路)를 차단하여 적선을 처부순다면 혹시 뒤가 염려스러워 바로 돌아갈 수도 있을 것이므로, 오늘 5월 4일 첫닭이 울 때 경상도를 향해 출발합니다」고 보고하고 출동하였다. 그리하여 그 유명한 옥포(玉浦), 적진포(赤珍浦), 당포(唐浦), 당항포(唐項浦), 등에서 대승하고 7월 6일 한산도(閑山
Page 19 제5절 임진ㆍ정유왜란과 부산19島)에서 임진 전세를 역전시킬 대성과를 거두었다. 이 대첩의 결과 적 수군의 서해 진출을 불가능케하고 동시에 그들 육군의 진출을 어렵게 하였으며, 또 한편으로는 수군의 주력이 궤멸됨에 따라 일본 본국과의 교통ㆍ보급이 위협을 당하게 되어 일본의 군사는 반도에서 고립하게 되었다. 한편 우리측으로는 전라ㆍ충청으로부터 황해ㆍ평안에 군량의 보급 수송로를 확보할 수 있게 하였으며, 국가의 전통로(傳通路)를 확보할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대승을 계기로, 각지에 의병 봉기가 활발하여졌다. 이 한산도패전(敗戰)의 소식을 접한 가등청정(加藤淸正)은 7월 14일 수군의 장 협판안치(脇坂安治)를 질책하고는거제도(巨濟島)에 축성하여 수군의 구귀가륭(九鬼嘉隆)ㆍ가등가명(加藤嘉明) 등과 같이 이를 수비하라는 명령을 내리고 있다. 그리고 16일에는 다시 수군의 등당고호(藤堂高虎)에게 성책(城柵)을 거제도 및 중요 포구(浦口)에 구축하고대포(大砲)를 분치하여 구귀ㆍ합판안치ㆍ가등가명ㆍ내도통총(來島通聰) 및 사국(四國) 등지의 함선(艦船)과 서로 연결하여 조선의 수군(水軍)에 대비만하고 해상에서 싸우는 것을 금하고 있던 상황이었다. 이렇듯 일본의 수군은 조선 수군과의 전쟁을 기피하고 있으며 해안 포구에서 대기하는 정도로 수세의 위치에 있었다. 그러니 거제도 및 김해ㆍ창원 등지는 그 곳 지방에 있던 육군과 상륙한 왜의 수군의 패잔병은 군집하여 이곳주민들을 약탈하면서 만행을 저지르고 있었다. 한산도해전에서 돌아온 7월 16일 이순신의 상소에서는「본영(本營)과 본도(本島)소속의 각 포구의 군량 원수량(元數量)은 세번이나 적을 토벌하노라고 오랫동안을 바다에 있어 많은 전선의 군사들이 기아(飢餓)하기 때문에 군량은 넉넉지 못하였지마는 다 나누어 주었는데, 적은 아직 물러가지 않고 계속해서 바다에 내려오니, 군량을 달리 변통할 길이 없으니 극히 염려스러워 부득이 순천부(順天府)의 군량 500여석(石)과 본병 및 첩입방답진(疊入防踏鎭)ㆍ흥양군량(興陽軍糧) 400석과 여도(呂島)ㆍ사도(蛇島)ㆍ발포(鉢浦)ㆍ녹도(鹿島) 등 4포(四浦)의 군량 100석을 우선 옮겼다가 불이의 사태에 준비하도록 할 것.」을 도순찰사(道巡察使)에게 공문으로 보내고 있다. 이와 같이 다음의 전투에 대비하여 1,000석의 군량을 확보하고 있다. 그러는 한편 8월 1일 이순신의 군은 전라우수사 이억기(李億祺)의 군과 합류, 여수(麗水, 좌수영) 앞바다에 집합하여 연합함대(聯合艦隊)를 구축하였다. 이때 편성된 함선(艦船)수는 전선(戰船) 74척ㆍ협선(挾船) 92척 도합 166척이었다. 이 전라수군은 연일 맹연습을 거듭하였다. 이때 경상우도 순찰사(巡察使) 김수(金晬)로부터「위로 쳐올라갔던 적의 무리들이 낮에는 숨고 밤이면 행군(行軍)하여 양산강(梁山江, 구포쪽으로 흐르고있는 낙동강)ㆍ김해강(金海江, 김해쪽으로 흐르고 있는 낙동강) 등지로 연속하여 내려오는데 짐짝들을 가득히 싣고 있으니 도망가려는 자취가 현저하다」하다는 통첩(通牒)이 전달되었다. 이 공문을 받은 이순신은 8월 24일 부산방면으로 출동을 결정하였다. 다음에 여수본영(麗水本營)을 떠나서 부산포해전을 치루고 다시 기환하는 일정(一程)을 《난중일기》ㆍ <부산파왜병장계> (釜山破倭兵狀啓) 및 기타 다른 문헌에서 추려 싣는다. 여기에서 유의해야 할 것은 이순신의 전라좌군사(全羅左軍士)에 관한 기록이 주가 되어 있으며 전라우군사(全羅右軍士)에 관한 기록이나 특히 경상우군사(慶尙右軍士)에 관한 기록은 없다는 점이다. 전라ㆍ경상도의 수군이 합동하여 치룬 전투가 부산해전이다.
Page 20 제5절 임진ㆍ정유왜란과 부산208월 24일, 우수사 이억기와 함께 이순신의 수군은 신시(申時, 오후 4시경) 여수를 떠나 사천(四川) 모사포(毛思浦)에 이르렀을 때는 동이 트기 시작하고 새벽안개가 자욱하여 지척을 분별할 수 없었다. 한산도 대첩 후 이순신은 잔여하고 있던 왜군을 섬멸하기 위해 군량의 비축과 군기의 정비 및 군사의 조련(操練)에 여념이 없었다. 8월 25일, 사량(蛇梁, 통영군 사량면) 앞바다에서 경상우수사 원균을 만났다. 이순신과 원균은 작전을 상의하고 이날 신시(申時, 오후 4시) 당포(唐浦)에 도착하여 여기서 정박하였다. 8월 26일, 견내량(見乃梁, 거제군)에 나아가서 그곳에서 전라좌수사 이억기ㆍ순천부사(順天府使) 권준(權俊)과 더불어 작전을 협의하였다. 저녁때 배를 옮겨서 각호사(角呼寺, 거제군) 앞바다에서 정박하였다. 8월 27일, 이순신이 거제군의 칠천도(漆川島)에 이르니 웅천(熊川)현감 이종인(李宗仁)이 와서 왜의 머리 35급(級)을 베었다는 이야기를 하였다. 다시 전라우수사와 작전을 협의한 후 함대를 거느리고 어두운 밤을 이용하여 안골포(安骨浦)에 나아가 부근의 제포(齊浦, 진해시 웅천) 서원포(西院浦)에서 밤을 세웠다. 적진(賊陳)에 접근하매 이순신은 몹시 긴장하였던 것 같다. 그의 일기(日記)에「저물 녘에 제포 서원포에 이른 즉 밤은 벌써 이경(二更, 오후 9시부터 11시 사이)이 되었다. 서풍(西風)은 쌀쌀하고 객회(客懷)는 실례하였다. 이날 밤 유달리 꿈이 어지러웠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이 무렵 함대의 진출은 주로 밤을 이용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아 군을 움직이는데 신중하였음을 알 수 있다. 8월 28일, 역시 이날도 이순신은 긴장상태에 있었던 것 같아 일기에「새벽에 앉아 간밤의 꿈을 생각하니, 처음은 흉한 듯 하였고 나중에는 길조(吉兆)인 듯도 하였다」고 적어놓고 있다. 이날 원포(院浦)에서 이순신은 육군의 병사인 체채인(體採人, 提報者)으로부터「고성(固城)ㆍ진해(鎭海)ㆍ창원(昌原)ㆍ병영(兵營) 등지에 주둔하고 있던 왜적이 금월(今月) 24ㆍ25일 모두도망하였다」는 새로운 정보를 입수하였다. 이 보고에 접하자 이순신은 이른 아침 함대를 거느리고 행동을 개시하여 수색작전을펴면서 양산강ㆍ김해 등지로 향하였다. 그 중 구곡포(九谷浦)에서 전복잡이를 한다는 포작(鮑作) 정말석(丁末石)이적에게 포로가 된지 사흘째 되는 날 김해강으로부터 탈출하여 와서「김해강에 정박해 있던 적전이 수삼일 동안 때를 지어 몰운대(沒雲台) 외양으로 노(櫓)를 재촉하여 떠났는데 도망가는 형상이 현저하므로 소인은 밤을 타서 도망해왔습니다.」라고 하였다. 이 정보를 입수한 후 우리 수군은 긴장하였다. 조심스럽게 앞으로의 작전을 대비하여 철저한 수색작전을 폈다. 이순신은 대부분의 전함을 가덕도(加德島) 북쪽 서편 기슭에 엄폐 시키고, 이순신(李純信)과 어영담(魚泳潭)으로 하여금 가덕 외양에 잠복케 한 후 채망선(採望船 : 偵察船)으로 양산 등지의 왜선을 정찰토록 하였다. 그러나 종일 적
Page 21 제5절 임진ㆍ정유왜란과 부산21정을 살폈으나 별다른 일은 없었다. 다만 오후 4시경에 들어온 채망선으로부터의 보고는「종일 관찰하여도 단지 적의 소선(小船) 4척이 두 강(김해ㆍ양산강) 앞바다로 나아가 바로 몰운대를 지나갔을 뿐이다」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일단 천성(天城) 선창(船艙)으로 함대를 집결시켜 밤을 세웠다. 철저한 수색과 함께 적의 동정을 살피어 다음 해전에 만전을 기하였던 것이다. 8월 29일 첫닭이 울 때 천성을 출발한 우리 수군은 날이 밝을 무렵 잔적(殘賊)이 출몰한다는 양산강ㆍ김해강 하구(河口) 앞바다에서, 대선(大船)ㆍ소선(小船) 6척에 분승(分乘)한 잔적 30여명이 양산강 어귀에 이르러 우리 수군을보고는 일제히 배를 버리고 육지로 달아나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시 경상수군의 전함과 좌별도장(左別都將) 우후(虞侯)ㆍ이몽구(李夢龜) 등이 추격하여 작은 배 4척과 큰 배 1척을 불태웠다. 이몽구는 큰 배 1척을 불사르고 잔병 일명의 목을 베었다. 이와 같은 전과를 올린 후 우리 함대는 좌우로 나누어 두 강을 진격하였으나 강구(江口)가 협소하여서 판옥선(板屋船)으로서는 싸울 수 없었다. 거기에 날도 어두워져 함대는 가덕 북방으로 돌아와 밤을 세웠다. 이날 밤 이순신ㆍ이억기ㆍ원균ㆍ조방장(助防將) 정걸(丁傑) 등 여러 장수는 밤을 세워 가면서 앞으로 수행해야 할 작전을 협의하였다. 그리고는 9월 1일 첫닭이 울자 출발하여 부산포를 향하였다. 아침 8시경 몰운대를 지나자 동풍이 갑자기 일어나고 파도가 넘돌아 간신히 함대를 정비하여 화준구미(花樽龜尾)에 이르렀다. 여기서 대선 5척을 만나고 다대포 앞 바다에 이르러선 대선 8선, 서대포(西大浦, 부산시 사하구) 앞바다에 이르러서는 대선 9척, 절영도(絶影島, 영도)에 이르러서는 대선 2척이 모두 기슭에 줄지어 대어 있었으므로, 삼도수사(三道水使)가 거느리는 여러 장사(將士)와 조방장(助防將) 정궐 등이 합심하여 남김없이 두들겨 부수고, 배에 가득 실린 왜의 물건과 전구(戰具)를 실은 채 모두격파해버렸다. 왜인들은 우리의 기세(氣勢)를 보고 감히 대항하지 못하고 산으로 도망해버려 살해하지는 못하였다. 다시 우리 수군은 절영도 안팎을 샅샅이 뒤져보았으나, 왜선을 발견할 수 없었다. 작은 채망선(採望船)을 부산 앞바다로 파견하여 수색케 하였는데, 얼마 후 약 500여 척이 신창 동쪽 가의 산기슭 아래 줄지어 정박하고 있었는데 왜의 선봉(先鋒) 대선 4척이 멀리 초량항(草梁項)으로 마주 나오고 있다는 보고를 받았다. 이때 적선 500여척이라는 정보는 아군을 흥분케 하였다. 곧 이순신은 이억기와 이 일을 협의하고는 여러 장수에게「우리 군사(軍事)의 위세를 가지고 지금 만일 치지 않고 그대로 돌아간다면 적은 반드시 멸시하는 생각이 들 것이다」라고 하여 사기를 높히고 결전의 결의를 포방하였다. 이에 아군은 독전기(督戰旗)를 휘두르면서 부산의 선장을 향해 돌진하였다. 이때 우리 함대의 수는 적에 비하여 3분의 1밖에 안되었고, 또 왜국은 높은 곳에 위치하여 있었기 때문에 아군으로서는 불리한 상황에 놓여 있었다. 위에서 말한 이순신의 결의도 이러한 점에서 피력한 것이었다. 해파(海波)를 헤치면서 우부장(右部將) 녹도만호(鹿島萬戶) 정운(鄭運), 구선돌격장(龜船突擊將) 군관(軍官) 이언량(李彦良), 전부장(前部將) 방답첨사(防踏僉使) 이순신(李純信), 중위장(中尉將) 순천부사(順天府使) 권준(權俊), 좌부장(左部將) 낙안군수(樂安郡守) 신호(申浩) 등이 맨먼저 돌진해 들어가 적의 선봉선(先鋒船) 대선 4척을 격파하였다. 그러자 그 배에 타고 있던 적병들이 헤엄쳐 올라가는 것이었다. 뒤에 있던 우리 함선들은 이 때를 타서 기를 날리고
Page 22 제5절 임진ㆍ정유왜란과 부산22북을 치면서 장사진(長蛇陣)으로 돌진하였다. 이때 적군은 부산진성의 동쪽 한 산에서 5리(里)쯤 되는 언덕 밑에 삼군(三軍)으로 나누어 진을 치고 있었는데, 그 적함의 수는 대(大)ㆍ중(中)ㆍ소(小) 합하여 470여척이나 되었다. 이곳의 왜선들은 우리 함대의 위세를 바라보고두려워서 감히 어찌할 바를 몰랐다. 여기에 우리 함선이 곧장 앞으로 쳐들어가자 배(船)안ㆍ성(城)안ㆍ산위ㆍ굴(窟)속에 있던 적들은 총과 활을 가지고산으로 올라가 여섯 군데로 나누어 진(陣)을 치고, 내려다보며 탄환과 화살을 빗발같이 퍼부어 왔다. 편전(片箭)을쏘는 것은 우리나라 사람과 같고 혹은 큰 철환(鐵丸)을 쏘기도 하였는데 크기가 목과(木瓜)만 하며 혹은 수마석(水磨石)을 던졌는데, 크기가 주먹덩이만 하였다. 이것으로 우리에 대한 왜적들의 저항도 만만치 않았던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한가지 통분(痛憤)한 일이 있었다. 그것은 적군속에 우리 부역자(附逆者)가 섞여 있었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이 싸움에서 우리의 노획품(鹵獲品) 중에서 장전(長箭)9개, 지자(地字)ㆍ현자총통(玄字銃筒) 각 2문(門), 낫 1개, 대포구(大砲口) 1문(門) 등도 있었는데, 그것은아마 적들이 우리의 것을 노획하여 사용했던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우리 군사들은 더욱 발분하여 죽음을 무릅쓰고 돌진해 들어가 천자총통ㆍ지자총통ㆍ장군전(將軍箭)ㆍ피령전(皮翎箭)ㆍ장편전(長片箭)ㆍ탄환(彈丸) 등을 일제히 쏘아대어 종일토록 접전하였다. 고지(高地)에 있던 강한 적병을 바다 위에서 대항하면서 적선을 격파하였으나, 지세(地勢)상 지극히 불리한 고전이었으나, 삼도(三道)의 장병은 용천을 거듭하여 포내(浦內)에서 적선 100여척을 격파하였다. 한편 우리 총과 화살에사살되는 적의 수도 헤아릴 수 없었다. 이 전투에서는 적을 사살하기보다는 적선을 깨뜨리는데 주력을 두었다. 한편 적들은 그들의 사상자를 토굴(土窟) 속으로 끌고 들어가기 바빴으며, 적들의 다른 배들은 기슭에 정박한 채겁을 내어 바다에 나오지도 아니하였다. 승전(勝戰)을 거듭한 아군은 적을 토벌하려하였으나, 중지하고 말았다. 그 이유를 이순신의 <장계(狀啓) 부산파왜병장(釜山破倭兵狀)>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여러 전함의 용사들을 뽑아서 육지로 올라가 모조리 섬멸시키도록 하려했으나, 성(城) 안팎 6ㆍ7군대진을 치고 있는 왜적들 중에는 말을 타고 용맹을 보이는 자도 많은데 말도 없고 고단한 군사가 경솔하게상륙하는 것은 만전(萬全)의 계책이 못될 뿐 아니라 여러 날도 저물었기로 적의 소굴에 머물러 있다가 혹시 앞뒤로 공격을 받을 걱정도 있었음으로, 부득이 여러 장수들을 거느리고 배를 돌리어 자정(子正)에 가덕도(加德島)에 되돌아와 밤을 지냈습니다… … 접전(接戰)한 이튿날 또 다시 쳐들어가서 그 곳 소굴을 불지르고 그 배들은 전부 깨뜨리려 하였으나 위로 올라간 적들이 여러곳에 꽉차 있는데 그들이 돌아갈 길을 끊는다면 막다른 골목에 몰린 도적이 되어 버릴 걱정이 있어 부득이 수륙(水陸)에서 함께 쳐야 섬멸할 수 있을뿐더러 더구나 풍랑(風浪)이 심해서 전선(戰船)이 서로 부딪쳐서 깨어지는 데가 많으므로 전선을 수리하고군량을 넉넉히 준비한 뒤에, 육전에서 크게 몰려나오는 날을 기다려 경상감사 등과 수륙으로 함께 진격하여 남김없이 토벌 선멸하기로 하고 초이일(初二日) 진(陣)을 파하고 본영으로 돌아왔습니다.」이 글에서 보듯이 당일 해상에서는 대승을 거두었으나, 육지에서 우리 수군을 공격하였는데, 이를 섬멸하려면 상륙하여 일전을 불사하여야 하는데 이를 그만 둔 것은 적은 기병을 가진 반면 우리 수군은 군마도 갖지 못하여 병력을 비교하여서도 약세였고, 거기에 장기간에 걸친 항해에다 아침부터 종일토록 항전한 군사의 피로도 겹쳐 있어 더이상 육지에서 전투가 어려웠던 것 같으며 또 날도 저물어 철군을 결심한 것이다. 더욱 승리의 여세를 몰아 그 익일이라도 공격을 하고 싶어했으나, 위에서 말한 육지에서의 전투의 불가능한 상황에다 풍랑(風浪)이 심하여 전함이 손실되고 그 위에 궁지에 몰린 적의 행동이 염려되었기 때문에 중지한 것 같다.
Page 23 제5절 임진ㆍ정유왜란과 부산23따라서 적의 육지의 소굴과 남은 적선을 완전히 소탕하지 못한 이순신은 못내 안타까움을 지니고서는 다음에 다시파손된 전함을 수리하고 군량을 넉넉히 준비한 후에 경상도감사군과 수륙양면으로 진격 섬멸하겠다는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9월 1일 밤[子正]에 가덕도에 되돌아와 밤을 세우고 익일(翌日) 아침 연합함대를 해체하고 이순신의 전라수군은 여수 본영으로 돌아갔다. 이 싸움의 성과에 대해서 이순신 자신은 통쾌히 생각하여 높이 평가하고 있다. 「전후 네차례 열번 접전에서 빈번히 승첩(勝捷)을 거두었으나 장사들의 공로로 논하면 70여척에 불과하였는데 이번 전쟁은 400여척이나 되는 적진(賊陣)속으로 군사의 위세를 갖추고 용감히 돌진하여 조금도 두려워함이 없이 종일토록 공격하여 적선 100여척을 깨뜨려 적으로 하여금 두려워하게 하였으니 비록 목을벤 것은 없겠으나 힘껏 싸운 공로는 먼저번보다 훨씬 더하기로ㆍㆍㆍㆍㆍㆍ」라고 하였다. <표 19>부산포 해전에 있어서 군함수 비교소속(所屬) 품종(品種) 수량(數量) 소속(所屬) 품종(品種) 수량(數量) 비고(備考) 아군측(我軍側) 전함(戰艦) 협선(挾船) 74 92 적군측(敵軍側) 대ㆍ중ㆍ소전함(大ㆍ中ㆍ小戰艦) 진성동안정박중전함(鎭城東岸定迫中戰艦) 대전함ㆍ화준구비(大戰艦ㆍ花樽龜屁) 대전함ㆍ다대포전양(大戰艦ㆍ多大浦前洋) 대전함ㆍ서평포전양(大戰艦ㆍ西平浦前洋) 대전함ㆍ절영도(大戰艦ㆍ絶影島) 470여척5척8척9척2척계 166척계 약500척이 부산포해전은 이순신의 평가에서 보듯이 약 3배에 가까운 적의 대 함대를 두고 전투를 전개하여 100여척을 격파한 전무후무한 대첩이다. 타 해전에 비해 적은 대 함대였다. 그 속에서 오랜 항해로 지친 군사들임에도 불구하고용감히 항전하였다. 이와 같은 대첩을 거두게 한 것은 이순신과 같은 탁월한 영도력을 가진 분이 있었다는데도 한원인이 있겠지만, 한편 그 휘하에는 정운(鄭運) 등과 같은 군사(軍事)에 노련하고도 뛰어난 장수들이 있었다는 점과군의 사기가 충만되고 있었는데도 있겠다. 말하자면 상하가 혼연일체가 되어 일사불난하게 용약항전한 결과가 대승을 가져오게 한 것이다. 가. 정운(鄭運) 본관은 하동(河東) 자(字)는 창진(昌辰), 훈련원참군(訓練院參軍) 응정(應禎)의 아들, 영암(靈巖) 출신, 무과에 급제거산도찰방(居山道察訪)ㆍ웅천현감(熊川縣監)ㆍ제주판관(濟州判官)을 거쳤다. 1592년 임진란 때 녹도만호(鹿島萬戶) 이순신의 선종장이 되어 각 곳에서 대전과를 올리고 부산포해전에서 분전 활약하다가 회군할 무렵 전사하였다. 병조참판(兵曹參判)에 추증되고, 시호는 충장(忠壯)이었다. 4. 임진ㆍ정유왜란 하의 부산의 실태
Page 24 제5절 임진ㆍ정유왜란과 부산24부산ㆍ동래는 임진ㆍ정유재란에 걸쳐 7년간 적의 침략하에 있었으며 한편 적의 교두보 역할을 하고 있었다. 부산을 함락시킨 후 적의 대군은 차례로 부산에 상륙하여 북진하고 5월 2일에는 서울을 침입 점령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도 남쪽의 중요 고을에는 일부 병력을 잔류시켜 북상하는 그들 군대의 후방의 교란 위협을 방어하였다. 따라서부산은 전투가 끝나고도 일부의 군사가 잔류하여 상륙군을 지원하며 경상우도ㆍ좌도쪽의 잔류군을 지원하고 있었고낙동강을 이용하는 군사의 지원도 함께 하고 있었다. 서울에 침입한 일본군은 금후의 작전계획을 다시하고 8도(道)를 분할하여 군사행동과 함께 군정(軍政)을 맡게 하였다. 경상도지방은 모리휘원(毛利輝元)이 맡았다. 임진년 4월말 부터 5ㆍ6월에 접어들면서 전국 각지에 의병(義兵)이 봉기하고 함께 관군도 재편성되고 항일전쟁은 본격화하였다. 이러한 사태의 변화에 따라 경상도의 거점인 부산의 역할은 자못 중요한 위치에 있었다. 그리하여 그들이 수비하고 있던 남부의 중요거점인 여러 고을에 축성을 서두르고 강력한 방위진지를 구축하고 있었다. 당시 일본군이 부산 여러곳에 축성한 성(城)은 다음과 같다. (1) 증산성(甑山城) : 우리측에서는 흔히 범천(凡川) 증산성이라고 하는데 일본국이 축성할 당시에는 소조천성(小早川城)이라 하였다. 이는 부산에서는 본성(本城) 역할을 하였다. 현 좌천동(佐川洞)의 산위에 있어서 자성대(子城台)를아래로 내려다보고 있으며 현재도 유구(遺構) 유지(遺地)가 남아 있어 당시 이 성의 구조를 살필 수 있다. 당시의부산진성은 그 동남기슭에 있었다. (2) 자성대성(子城台城) : 우리측에서는 자성대 또는 만공대(萬公臺)라 한다. 만공대의 유래는 이 성위에 명장 만세덕(萬世德)의 기공비(紀功碑)가 있었기 때문이다. 원래 소구산(小丘山) 위에 일본군이 증산성의 지성(支城)으로서 축조하였다. 성밖에 호(濠)를 삼면(三面)으로 둘렀다고 하며 이는 모리휘원이 축조하였다고 한다. (3) 절영도성(絶影島城)ㆍ용미산성(龍尾山城) : 절영도성은 영도에 축조된 성으로서 일명 추목도(椎木島)라 하며 용미산성은 현 부산시청 자리에 있었던 것으로 그곳은 원래 구릉지였다. 그러나 현재는 유지가 남아 있지 않다. 이들 성은 부산 내륙지방의 방위의 책임을 맡고 있기도 하였으나 부산의 앞바다를 지키는 역할을 하고 있었던 것같다. (4) 구포의성(龜浦義城) : 이 성은 감동포성(甘同浦城) 또는 구법곡(九法谷)ㆍ구법곡(仇法谷)성이라고도 한다. 구포의 북방 금정산의 한지맥이 걸치는 곳에 쌓여져 있으며 김해성(金海城)의 지성(支城)이다. 선편(船便)으로 낙동강을끼고 그 밑에 선박이 정박할 수 있으며 서쪽으로 김해 죽도성(竹島城)과 마주보고 있는데 낙동강 하류에 왕래하는왜군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였다고 보아진다. 그러면 부산ㆍ동래의 왜군상황을 도표화하면 다음과 같다. 부산지방 제성(諸城) 수비일람① 선조 25년(1592) 5월 20일경. 부산모리휘원(毛利輝元)兵力 不明② 선조 25년 7월 이후동래품기소전차(品崎小傳次)병력 불명. 부산우시수승(羽柴秀勝)병력 8,000 소서행장(小西行長)병력 7,000 종의지(宗義智)병력 5,000 ③ 선조 25년말2년초동래우시수승(羽柴秀勝)병력 불명. 부산〃〃
Page 25 제5절 임진ㆍ정유왜란과 부산25※ 甲午年 초두, 적의 잔류병력 43,000명 추산. 선조 26년 4월 화의의 진행에 따라 일본군 서울 철수 남하. (단위, 명) ④ 선조 26년 6월(진주성 2차 공격때) 부산모리휘원병력 3,000 증전장성(增田長盛)병력 1,624 전야장강(前野長康)병력 922 가등광태(加藤光泰)병력 1,097 조천장정(早川長政)병력 347 총 6,990. ※ 김해, 기장 방면에 증원이 필요하면 부산에서 파견.(단위, 명) ⑤ 선조 27년 초두동래성길천광가(吉川廣家) 부산성모리원강(毛利元康) 병력 5,000 지성(支城) 수전원청(穗田元淸) ※ 갑오년(선조 27년) 초도, 적의 잔류병력 43,500. (단위, 명) ⑥ 선조 28년 말부산성모리원강병력 불명. 지성수전원청※ 동래성에서 10월 길천광가 철퇴. ※ 웅천지성(熊川支城)에서 종의지 동래성으로 이동. (단위, 명) ⑦ 선조 30년 정유재란 재침입시(정월) 부산소조천중납언수추(小早川中納言秀秋) 병력 10,000 태전비탄수일길(太田飛彈守一吉)병력 390 ※ 수비 침략군 합계 141,490. (단위, 명) ⑧ 선조 30년 정유재란 초기. 부산성소조천수추(小早川秀秋) 병력 불명. 우희다수가(宇喜多秀家) 병력 불명. 모리수원(毛利秀元)병력 불명. (단위, 명) ⑨ 선조 31년 5월 22일 이후. 부산본성모리길성〈 (毛利吉成), 조진충풍(鳥津忠豊), 상량뢰방(相良賴房), 이동우병(伊東祐兵), 고종원종(高鍾元鍾) 〉병력 5,000 서생포성(書生浦城) 흑전장정(黑田長政)병력 5,000 추월종장(秋月種長) 울산성가등청정(加藤淸正)병력 10,000 ※ 잔류 총 병력 64,700(이해 왜란이 끝남). (단위, 명) 위의 도표에서도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왜군 상황은 그들 전황의 추세에 따라 다르다. 다만 그들은 상륙지인 부산진성을 본성으로 삼고 동래 등지에는 지성을 두어 점령하고 있었던 것은 틀림없다. 부산포에 있어서의 왜군이 주둔하고 있었던 실태를 임진년 9월 이충무공(李忠武公) 〈부산포해전의 상계〉에 보면 다음과 같다.
Page 26 제5절 임진ㆍ정유왜란과 부산26「・・・・・・(왜군들이) 모두 부산성 안으로 모여 관사를 전부 헐어버리고 흙을 쌓아서 집을 지어 이미 소굴을만든 것이 그 수가 100여호나 되며 성 밖 동ㆍ서쪽 산기슭에 민가들이 즐비하게 연이어 있는 것도 거의300여호인 바, 이것이 다 왜인들이 지은 집인데 그 중에 큰 집은 층계와 회벽이 마치 절간과 같으니 그들이 하는 짓을 생각해 보면 지극히 분하다」라고 하는데서 부산진성 내외는 거의 왜군이 군사(軍舍)로서 점유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면 이곳 민정(民政)은 어떠하였던가를 살펴보면 풍신수길은 임진년 6월 3일 서울을 점령중이던 왜장에게 민정에 대한 지시를 내렸는데 그들을 각 도에 감영(監營)과 기능이 비슷한 대관소(代官所)라는 것을 만들게 하여 군정에 임하도록 하였으며, 한편 전란으로 난을 피하여 도산(逃散)한 이민을 소집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천형(天荊)의《서정일기》에 다음과 같은 요지의 포고문이 실려 있다. 「경내에 있는 백성들과 홀아비와 과부 그리고 고아, 독신남녀에게 유시(諭示)하노라, 내가 우리전하(풍신수길을 뜻함)의 명령을 받들고 이 지방에 와서 폭정을 없애고 선정을 베풀어서 백성들을 구하고자 하니속히 옛집으로 돌아와 각각 가업을 다스릴 지어다. 의심하지 말고 또 의심하지 말라.」그들을 또 관원에게 다음과 같은 유고(諭告)를 내리고 있다. 「경내에 있는 문무관료들에게 정시(呈示)하노라. 우리 전하의 명령을 받들고 이 경내를 안무하는 바, 내비록 불민할지라도 선정을 경내에 펴려고 하나니 각각 본택(本宅)으로 돌아와 나의 정성을 밝혀준다면 반드시 그 기량에 응하여서 직을 줄 것이로다. 먼저 돌아와 복종하는 자는 상을 줄 것이며, 불복하는 자는 벌을 줄 것이니 청컨대 이것을 도모하라」는 것이었다. 그리고 한편으로 민간에 게시하여 군율을 엄하게 하는 한편 기민(飢民)을 진휼하고 방화를 금하며 남ㆍ녀포로는방치한다고 하여 회유책을 쓰고 있다. 이러한 풍신수길의 명에 따라 경상도민에게 밝힌 모리휘원의 금제에도「군내의 관민으로 산중에, 해외에 피난간 자들은 옛집에 돌아와 안거하라.」하고 또「일본인이 조선인의 처자, 해외에 피난간 자들은 옛집에 돌아와 안거하라.」하고 또「일본인이 조선인의 처자, 가재(家財)를탈취하는 자는 처벌하겠다」고 하며「권농하여 추수를 기다려라」하였으며 한편으로「조선인이 궁시(弓矢)를 휴대하여 왜병을 방해하는 자는 처벌한다」고 하고 있다. 특히 임진난 초기에는 명나라로의 진공을 목포로 삼고 있었던 만큼 이곳의 안무가 필요했던 것이다. 이러한 왜군의 회유책이 일부의 우리 백성에 자극이 되었던 것으로서 경상도순찰사였던 김성일의〈상계〉에 보면 다음과 같이
Page 27 제5절 임진ㆍ정유왜란과 부산27쓰여 있다. 「민심이 흩어진지 오래된 데다가 왜국에는 군역과 부역이 없다는 말을 듣고 즐거운 마음을 가지고 왜적또한 령을 민간에 내려 유시하니 어리석은 백성이 이를 믿고 행패를 하였다. 부산의 경우에도 전쟁이 장기화되자 일반 민중들 중에는 호구지책으로 농토를 떠나 살아갈 수 없었던 실정이었으니 불가피하게 왜군의 점령하에 들어가 고역을 치르면서 거주한 자들도 있었다. 그러나 왜군과 항전이 심하였던 곳이었고 가족의 인명 피해와 가산의 손실이 많고 보니 어느 지역보다 적개심이 높았을 것이며, 따라서 왜인의 회유책에서 호응하고 대국에 적대행위를 자발적으로 일삼는 자는 적었다고 보아진다.」선조 26년(1593) 즉 다음 해의 실태를 《선조실록》에 의하면「부산 등지의 아국인민은 다수 그들의 밑에 들어가 있다. 그들이 어찌 돌아올 것을 원하는 마음 없겠는가만은 혹시나 후환이 있을까 두려워하는 자 있을지니 방문(榜文)으로 명시하여 그들의 나옴을 전하여함부로 죽이지 않겠으며 또한 종신토록 면역하고 또 상직(賞職)할 것을 의논하였다.」고 말하고 있었는 데서 그 일단을 알 수 있다. 왜군은 점령하의 주민에게「사공육민(四公六民)」조세법을 정하여 즉 4할을 징수하는 것을 공포하였으나 실지로는 그 밖에 임시로 징수하는 것은 막대하였다. 임진난 초에 경상도에 부과된 분량은 2,887,790石이었다. 그 밖에 역역(力役)에의 동원도 막중한 것이었다. 상기한 바 있는 축성에도 이곳 주민이 강제적으로 동원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그러나 이 민정도 초기에는 좀 나은 편이었으나 전란이 점차 격화되는 가운데 그들의 군기도 날로 문란하고우리 국민에 대한 태도도 날로 가혹했다. 송암(松巖)의 《용사일기》중 김성일의 〈초유격문(招楡檄文)〉에 의하면「왜적들의 무리들은 우리 땅에 한번 들어오자 곧 웅거할 뜻을 가지고 부녀자를 잡아서 처ㆍ첩을 삼고장정을 잡아죽여서 한사람도 남기지 않으며 허다한 여염집은 불태워 버리고 공사의 축적물은 모두 자기의소유로 돌려서 독한 기운은 사방에 가득하고 피는 천리에 흐르니 생민의 화를 차마 말할 수 있으랴」하고 있다. 이렇듯 부산ㆍ동래는 왜적의 침략에서 가장 많은 희생자를 냈으며 잔류하였던 민중은 또한 가혹한 경제적 수탈ㆍ역력의 동원 등 가장 고통 희생을 강요 받았다. 때문에 수영은 성민의 장기간의 항전이 전개되었고 이곳 주민은의병활동으로 참가하게 된 것이다. Aug 25 2005 [9]
1592년 4월 14일 첨사 정발이 사수한 부산진성과 첨사 윤흥신의 결사 수비한 다대포진성을 함락시켰다. 다음날인 4월 15일에는 동래부사 송상현이 결사 항전한 동래성을 공격하기 전에 싸우지 않고 이기고자라는 나무판자를 성 앞에 세우니, 송상현이 <싸워서 죽기는 쉽다. 길을 비켜주기는 어렵다>라고 쓴 나무판자 대답을 해서 공방전이 시작되어 함락시켰다.
http://myhome.naver.com/ksmo2000/menu5.html
KW : Kaneda Castle (Korean Fortress style) - Tsushima 対馬 金田城 [11]
The fall of Balhae : KW:발해 거란 926 발해인들의 끈질긴 부흥운동
926년 발해는 거란군에게 패전하여 멸망하였다. 거란은 발해 유민들을 임황(臨潢) 부근으로 대량 이주시키고 변방의 부(府)나 주(州)들을 토벌하였지만, 발해인들은 기회가 있을 때마다 세력을 규합하여 끊임없이 부흥국을 세웠다. 발해인들이 세운 나라들의 실체을 보면 다음과 같다.
1. 후발해국
발해의 왕족들이 거란의 철군을 공격하다가 남으로 물러나 나라를 유지하고 있었다. 926년 7월 거란의 태조 야율아보기가 부여부에 이르렸을 때 갑자기 발병하여 운명하자 발해 왕이 그 동생을 시켜 공격하였으나 이기지 못하고 대중을 거두어 철수하였다는 기록이 있는 데, 이 때의 정황으로 보아 홀한성(忽汗城)쪽에는 거란의 대군이 있었으므로 필경 장령부(長 嶺府)를 거쳐 압록부 근처에 자리를 잡고 나라 회복을 꾀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은 점 령되지 않은 지역의 군마를 모으고, 또 중국과 통하면서 재기를 노렸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 나 935년 세자 대광현(大光顯)이 고려로 넘어가면서 종말을 고했던 것이다.
2. 안정국(定安國)
압록강 상류에 있던 발해의 유민국이다. 970년 정안국 왕 열만화(烈萬華)가 송나라에 표문을 보낸 것으로 보아 934년 대광현을 몰아낸 세력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973년에 송나 라에 보낸 표문에는 국왕이 오현명(烏玄明)으로 되어 있다. 이로 미루어 보아 그간에 열(烈) 씨에서 오(烏) 氏로 역성혁명(易姓革命)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세력이 자못 커져서 거 란에 위협이 되자 985년 거란군은 작전 5개월만에 정안국을 정벌하고 포로 10만, 말 20여 만 필을 노획하여 퇴군하였다.
3. 올야국(兀惹國)
발해 유민국의 하나이다. 그 위치는 홀한수(忽汗水) 상류에 있었으며 인구가 10,000여 호나 되었다. 995년 올야왕(兀惹王) 오소경(烏昭慶)과 연파(燕頗)가 철려국(鐵驪國)을 공격하 자 거란이 해왕(奚王) 화삭노(和朔奴)를 시켜 경략케 하였으나 패하고 돌아갔다. 올야는 비 록 승리하였으나 더 이상 버티기 어려워서 그 이듬해 항복하였다.
4. 흥요국(興遼國)
거란에서 벼슬살이했던 발해 유민이 세운 나라이다. 거란 호부사(戶部使) 한소훈(韓紹 勳)이 남경 중경지역에서 시행했던 세제를 요동지방에 시행하려 하자 백성들의 불만이 대 단하였다. 이런 분위기를 이용한 동경 사리군상은(舍利軍詳穩) 대연림(大延琳)이 1029년 부 중을 거느리고 거사하여 동경유수부마(東京留守駙馬) 소효선(蕭孝先)과 남양(南陽)공주를 구 금하고 호부사 등을 죽이고 흥요국을 세운 뒤 관부의 장을 임용하는 등 세력이 커지자 남북 여진이 모두 따라왔다. 그러나 건국 1년만에 거란군에 평정되고 말았다.
5. 대원국(大元國, 大渤海)
역시 거란에서 벼슬했던 발해 유민이 세운 나라이다. 발해인 고욕의 난이 평정된지 1 년만인 1115년 봉공관(捧供官)인 고영창(高永昌)이 발해의 용감한 군마 2000인을 거느리고 백초곡(白草谷)에 주둔하며 완안여진군(完顔女眞軍)을 막고 있다가, 1116년 정월 초하룻날 밤 학정을 일삼던 동경유수 소보선(蕭保先)을 죽이고 동경성을 탈취한 뒤 나라이름을 대원 (大元, 大渤海 皇帝)이라 하고 융기(隆基)라는 연호를 썼다. 거란은 대군으로 東京 회복전을 폈으나 고영창은 이들을 잘 막아내었다. 그러나 새로 일어난 완안여진(完顔女眞) 금(金)에게 패하여 살해되고 말았다.
KW : The story of Yi SUn-shin [13] Source :Lähde: "The History Of TaeKwonDo Patterns" Kirjoittanut Richard L. Mitchell
[편집] Interest
Real-time strategy computer games such as Warcraft, Dune (computer game) (Dune II and Emperor: Battle for Dune)
Historiography of the Far-East(Korea, Japan, China, Mongolia and Maritime Province of Russia) mainly :
-
- The Warring States period of China
- The Three Kingdom period of Korea and China
- The Sengoku period - Onin and Gempei Wars in Japan
- The Mongol Invasion of Korea and Japan
- The Imjin Waeran (studying on it since 1998)
- The Jurchen and the Mandchu invasion of Korea
[편집] 내가 쓴 글
Battle of Ch'ungju
Battle of Chilchonryang
Battle of Hansan
Battle of Myeongnyang
Battle of Noryang Point
Battle of Okpo
Battle of Sacheon (1592)
Chungju Campaign
Hamgyong campaign
Japanese Blitzkrieg in Korea
Japanese Left Army (1597)
Japanese Right Army (1597)
Kangwon Campaign
Korean Irregular Army
Seven-Year War
Siege of Busan
Siege of Jinju (1592)
Siege of Jinju (1593)
Siege of Namwon
Siege of Pusan
Siege of Pyongyang (1592)
Small Korean fleet
The Four Campaigns of Admiral Yi during the Imjin Year (1592)
Yi Sun-sin
Youngwon Castle
틀:User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