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허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경허(鏡虛)스님(1849∼1912)은 한국 근현대 불교를 개창했다고 일컬어지는 대표중에 대표인 대선사이다. 1849년 전주에서 태어났고, 9세때, 경기도 과천 청계산에 있는 청계사로 출가하였다. 속가의 이름은 송동욱(東旭)이고, 아버지의 이름은 송두옥(斗玉)이다. 법호는 경허(鏡虛), 법명은 성우(惺牛)이다.
1879년 11월15일, 동학사 밑에 살고 있던 진사인, 이처사(李處士)의 말한마디, "소가 되더라도 콧구멍 없는 소가 되어야지." 이 한마디를 전해듣고는, 바로 깨달아 부처가 되었다. 1대 조사인 인도의 마하가섭존자 이래 75대 조사이다. 콧구멍 없는 소(牛無鼻孔處: 우무비공처)는 중국 법안종의 종주 법안(法眼) 선사의 어록에 실려 있는 선어다. 당시 경허의 시봉을 받들던 사미승 원규는 경허의 사제인 학명의 제자였고, 이처사는 사미승 원규의 속가 아버지였다.
1886년 6년 동안의 보임(保任)을 마치고 옷과 탈바가지, 주장자 등을 모두 불태운 뒤 무애행(無碍行)에 나섰다.
한동안 제자들을 가르치다가, 돌연 환속하여 박난주(朴蘭州)라고 개명하였고, 서당의 훈장이 되어 아이들을 가르치다가, 함경도 갑산(甲山) 웅이방(熊耳坊) 도하동(道下洞)에서 1912년 4월 25일 새벽에 임종게를 남긴 뒤 입적하였다. 나이 64세, 법랍 56세이다. 저서에는 경허집이 있다.
경허선사의 수제자로 흔히 "삼월(三月)"로 불리는 혜월慧月(1861~1937), 수월水月(1855-1928)ㆍ월면月面 (만공滿空)(1871~1946) 선사가 있다. 경허 선사는 “만공은 복이 많아 대중을 많이 거느릴 테고, 정진력은 수월을 능가할 자가 없고, 지혜는 혜월을 당할 자가 없다”고 했다. 삼월인 제자들도 모두 깨달아 부처가 되었다. 이들 역시 근현대 한국불교계를 대표하는 선승들이다.
현재, "북송담 남진제"의 두 큰스님의 경우에, 송담스님은 경허(75대)-만공(76대)-전강(77대)-송담(78대)의 계보이고, 진제스님은 경허(75대)-혜월(76대)-운봉(77대)-향곡(78대)-진제(79대)의 계보이다.
[편집] 소설
최인호, 길없는 길 : 1980년대에 발표된 최인호의 대표작으로, 발간 10년만에 100만부가 팔린 불교소설이다. 주인공은 경허스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