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 한국어 낱말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어떤 낱말이 가장 긴 한국어 낱말인지에는 논란이 있다.
국립국어원에서 편찬한 표준국어대사전에 수록된 낱말 중에서는 ‘작고 단단한 물건이 약간씩 튀면서 잇따라 굴러 가는 모양’이라는 뜻의 북조선 말 딱따그르르딱따그르르의 동사형 딱따그르르딱따그르르하다가 12자로 가장 길다. ‘북한’ 표시가 쓰여 있지 않은 것으로는 고운점박이푸른부전나비, 모시금자라남생이잎벌레, 송곳벌레살이납작맵시벌, 어리등에살이뭉툭맵시벌이 각각 11자로 가장 길다.
표준국어대사전에 실려 있지 않은 것 중에는 작은홍띠점박이푸른부전나비(13자)가 있다.
[편집] 고유 명사
대한민국에서 가장 긴 이름을 가진 학교는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이화·금란고등학교(21자)이다. 이외 긴 이름을 가진 학교는 링크를 참조하도록한다.
천수경의 한 종류인 천수천안관자재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대다라니경은 23자이다.
영조실록의 원래 이름은 영종지행순덕영모의열장의홍륜광인돈희체천건극성공신화대성광운개태 기영요명순철건건곤녕익문선무희경현효대왕실록((英宗至行純德英謨毅烈章義弘倫光仁敦禧體天建極聖功神化大成廣運開泰基永堯明舜哲乾健坤寧翼文宣武熙敬顯孝大王實錄)) 55자이다. 대한민국의 법률 가운데는 대한민국과아메리카합중국간의상호방위조약제4조에의한시설과구역및대한민국에있어서의합중국군대의지위에관한협정의시행에따른국가및지방자치단체의재산의관리와처분에관한법률(82자)이 있다. 이는 하나의 낱말이 아니라 낱말을 띄어 쓰지 않아서 길어진 것이다. 2005년부터 제정되는 법률 제목에는 띄어쓰기가 들어가므로 이런 예는 더이상 나오지 않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