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수 (1832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기수(金綺秀, 1832년 - ?)는 조선 말기의 문신이다. 자(字)는 "년지"(秊芝)이고 본관은 연안(延安)이다.[1]
현감(縣監)을 지내다가, 1875년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 응교(應敎)로 뽑혔다. 1876년 예조참의로 있을 때, 강화도조약의 결과 파견하기로 한 수신사의 대표로 결정되어 일행 75명과 함께 일본 기선 고류[黃龍]호를 타고 일본으로 건너가 온갖 극진한 대접을 받으며 근대화한 일본의 문물을 둘러보고 왔다. 1876년 6월 귀국하여 《일동기유》(日東記游), 《수신일기》등의 썼다. 이를 계기로 조정의 일본에 대한 관념이 호전되어 뒤에 신사유람단을 보내게 된 동기를 만들었다. [2]
[편집] 가족 관계
- 아버지: 김준연(金駿淵)
- 할아버지: 김선
- 증조부: 김재칠(金載七)
- 외조부: 신재관(申在寬)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