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눈트륨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
일반적 성질 | ||||||
---|---|---|---|---|---|---|
이름, 기호, 번호 | 우눈트륨, Uut, 113 | |||||
화학 계열 | 전이후 금속 | |||||
족, 주기, 구역 | 13, 7, p | |||||
모양 | 모름. 아마도 은백색 또는 회색 금속 | |||||
원자 질량 | (284) g/mol | |||||
전자 배열 | 아마도 [Rn] 5f14 6d10 7s27p1 | |||||
껍질 별 전자 수 | 2, 8, 18, 32, 32, 18, 2 | |||||
상태 | 아마도 고체 | |||||
CAS 등록번호 | 54084-70-7 | |||||
참고 자료 |
우눈트륨(Ununtrium)은 화학 원소로 기호는 Uut, 원자 번호는 113이다. 초우라늄 원소의 일종으로서, 다른 초우라늄 원소에 비해 반감기가 길다고 생각된다. 우눈펜튬의 알파 붕괴 과정에서 실험적으로 약 1.2초간 관측되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일본 이화학연구소의 보고에 따르면, 344마이크로초에 붕괴한다고 한다.
이 원소는 주기율표에서 탈륨의 아래에 위치해 있으므로 탈륨과 비슷하게 상온에서 고체일 거라고 추측된다.
[편집] 발견
- 2004년 2월 1일, 러시아의 도브나 원자핵공동연구원(JINR)과 미국의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에 의한 합동 연구팀이 115번 원소 우눈펜튬의 합성에 성공하고, 우눈펜튬의 알파 붕괴 과정에서 113번 원소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므로 명명권은 얻지 못했다.
- 2004년 9월 28일, 일본의 이화학연구소가 발견에 성공했다고 발표했지만 미확정이다. 선형가속기 리니액으로 1초에 2.5조개의 아연 원자핵의 광선을 비스무트 원자핵에 조사하는 실험을 80일간 반복하고, 약 1.7×1019여 회 충돌시킨 결과, 7월 23일의 실험에서 양 원자의 융합으로 인한 우눈트륨 원자를 하나 발견했다고 한다.
[편집] 이름 제안
우눈트륨은 IUPAC이 부여한 임시 이름이다. 일본의 과학자들은 일본에서 발견된 최초의 원소 이름으로 "자포늄"(Japonium, Jp)이나 "리케늄"(Rikenium, Rk; 일본 이화학연구소의 약어인 리켄(理研, りけん)에서 유래)을 후보로 거론하고 있다. 일부 연구자들은 이 원소를 "에카-탈륨"이라는 이름으로 부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