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회영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회영(李會榮, 1867년 3월 17일 ~ 1932년 11월 16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다. 아호는 우당(友堂).
서울의 명문가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이조판서를 지낸 이유승이다.
그는 개방적이고 호탕한 성격이었으며 일찍부터 개화 사상을 받아들인 것으로 전해진다. 결혼식을 교회에서 신식으로 올렸고, 여성의 재가를 꺼리는 당시 분위기에도 불구하고 남편을 잃은 누이 동생은 거짓으로 부고를 낸 뒤 다시 결혼시켰다.
독립협회에 참가하고 장훈학교를 설립하는 등 계몽 운동을 벌이다가, 1905년 을사조약 체결 이후 일본의 국권 침탈이 차츰 가시화되자 형제들과 함께 해외에서 독립 운동을 하기로 결정하고 1910년 만주로 망명했다. 이때 국내에 있던 재산은 처분하였으며, 대가족이 함께 만주로 이주했다. 이상룡, 허위의 집안과 함께 기득권을 버리고 온 가족이 독립 운동에 나선 대표적인 가문이다. 그는 6형제 중 넷째로, 대한민국 초대 부통령을 지낸 이시영은 바로 밑의 동생이었다.
이회영 일가는 지린에 정착하여 경학사, 신흥강습소를 설치하고 독립 운동을 위한 기반 닦기에 들어갔다. 이후 국내에서 가지고 온 자금이 바닥나면서 가족들은 극도로 어려운 생활을 하였으나, 이회영은 블라디보스토크, 베이징, 상하이 등지를 돌며 독립 운동을 계속했다.
1921년에는 상하이의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내분이 일어났는데, 이때 신채호와 함께 조정 역할을 맡았다. 1925년에는 비밀 결사 조직인 다물단을, 1931년에는 한중일 아나키스트들의 합작 독립 운동 단체인 항일구국연맹, 테러 조직 흑색공포단을 결성했다. 이때의 그는 사상적으로는 아나키즘에 입각한 이상주의, 실질적으로는 테러 활동을 통한 독립 운동을 추구하고 있었다.
1932년 상하이에서 다롄으로 이동하던 중 일본 경찰에게 체포되었고, 이때 이미 65세였던 그는 고문을 이기지 못하고 옥사했다. 당시 일본 당국은 체포된 노인이 유치장에서 목을 매어 자결했다고 발표했으나, 서둘러 그의 시신을 화장해 버리는 등 수상한 정황 때문에 고문 치사한 것이라는 소문이 무성했다.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고, 서울 신교동에 우당기념관이 세워져 있다.
2남인 이규창도 일제 강점기에 오랜 기간 옥고를 치른 독립 운동가이다. 국가정보원 원장을 지낸 이종찬과 국회의원 이종걸이 이회영의 손자이다.
[편집] 참고 자료
- 이덕일, 《아나키스트 이회영과 젊은 그들》 (웅진닷컴, 2001)
[편집] 바깥 고리
(없음)········1992년 선정, 이 달의 독립 운동가 ········1993년 | |||||||||||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김상옥 | 편강렬 | 손병희 | 윤봉길 | 이상룡 | 지청천 | 이상재 | 서일 | 신규식 | 이봉창 | 이회영 | 나석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