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의 문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현대 일본어의 서기 언어(書記言語)는, 메이지 이후의 언문일치와 태평양 전쟁 이후 GHQ에 의한 일본어 간소화의 영향으로 인해, 구어에 비교적 가까워졌다. 그러나 태평양 전쟁 이전까지는 특히 공문서 등에서 문어(文語)가 널리 사용되었다.
목차 |
[편집] 종류
넓은 의미에서의 일본어 문어는 이하와 같이 나눌 수 있다.
- 화문체(和文體): 헤이안 시대 중기의 구어에 의거했다고 생각할 수 있는 것으로, 당시의 무라사키 시키부(紫式部)나 세이 쇼나곤(淸少納言)의 작품이 대표적이다. 중세 이후 오로지 서기 언어로서 문학 작품 등에 쓰인 것을, 특히 의고문(擬古文)이라고 부른다. 현재도 고문 교육의 중심으로서 다루어져, 단카(短歌)·하이쿠(俳句) 등에서 잘 쓰이고 있다.
- 소로분(候文): 문말(文末)에 정중의 조동사 '候(さうらふ, 소로)'를 사용하는 문체로, 가마쿠라 시대 이후 쓰였다. 와분타이에 대해 '데스·마스체(です·ます體)'와 같은 것으로도 생각되어, 서간문을 중심으로 메이지·다이쇼 시대까지 사용되었다.
- 한문: 본래는 중국어를 표기한 것이었으나, 일본에서는 오로지 일본어로 읽는(훈독) 것으로서, 공문서나 한시 등에서 쓰였다. 또 일본어를 한문퉁으로 한자만으로 쓰여진 변체 한문체(變體漢文體)도 쓰였다.
- 한문 훈독체(漢文訓讀體): 한문을 가나 혼용으로 내리쓴 것, 또는 처음부터 이 형태로 쓴 문체. 와분타이보다도 단순·정형적으로, 태평양 전쟁 전에 제정된 법률의 문체도 여기에 가깝다.
- 화한 혼효체(和漢混淆體): 한문 훈독체와 와분타이를 섞은 문체. 《헤이케 모노가타리(平家物語)》 등의 군기물(軍記物)이 대표적이다.
- 선명체(宣命體): 주로 나라 시대에 일본어의 선명(宣命; 조(詔))를 한자로 써서 표한 것. 조사나 어미 등은 만요 가나부다 작은 한자로 쓰였다. 그 후는 노리토(祝詞)에 선명 쓰기로서 이용된다.
- 보통문(普通文): 메이지 시대 이후에 사용된 문체. 종래의 한문 훈독체에 고문(古文)·의고문·소식문(消息文) 등을 합쳐 법령문·교과서나 신문·잡지 등에 사용되었다.
[편집] 개요
일본어의 문어는 헤이안 시대의 말 등이 토대가 되고 있어, 태평양 전쟁 이전에서도 일상 회화에 사용된 것은 아니었다. 문어는 원칙으로서 역사적 가나 표기법으로 쓰여졌다. 문어는 구어에 없는 어후나 문법을 가진다. 이것은 용언의 활용에 현저하지만 일본어를 모국어로 하는 사람이라면 어딘지 모르게 감각적으로 습득해 버리는 문어적 표현도 있다.
[편집] 장점
- 풍류에서 예술적이다.
- 장황하지 않다(속독에 적합하다).
- 구어와의 차이점에 의해, 중요한 것을 쓸 때 조금 생각해 표현하므로, 아무래도 신중하게 되는 점이 좋다.
- 구어와의 차이점에 의해, 시대의 변화가 적고, '말의 혼란'이 생기기 어렵다.
[편집] 단점
- 오래된 말이므로, 현대의 감각과 동떨어지고 있다. 구어와 같은 철자이지만 다른 의미를 지니는 말〔語〕도 있다.
- 일본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사람이나 지적(知的) 장애인 등에게 쉽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