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지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전지(電池)는 전류를 흘려주는 일을 하는 화학 물질이다. 전해질에 금속 이온이 녹게 되면 금속의 특성에 따라 전위차가 생겨 전류를 흘린다. 따라서 두 극판을 만들고 이에 전선을 연결하여 전류를 공급받는다. 볼타가 처음 만들었다.
[편집] 1차 전지와 2차 전지
1차 전지는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건전지와 같이 한번 쓰고 나면 다시 충전해서 쓸수 없는 전지를 의미하며, 2차 전지는 다시 충전해서 사용할수 있는 충전지를 통칭하는 말이다. 1차전지에는 알카라인전지, 건전지, 수은전지, 리튬전지 등이 있으며, 2차전지에는 니켈-카드뮴(NiCd), 니켈수소전지(NiMH), 리튬이온전지(Li-ion), 리튬폴리머전지(Li-polymer) 그리고 납축전지(Lead Acid) 전지가 대표적이다.
[편집] 전지의 수명
전지를 산 뒤에 기존의 포장을 그대로 놔두었다고 하더라도 전지는 해마다 2% 에서 25%까지 기존의 충전량을 잃을수 있다. 이 양은 온도에 따라서 바뀌며 온도가 높을수록 잃는 양이 더 늘어난다. 전지는 방전되는 양을 줄이기 위해 시원한곳에 보관하는것이 좋다. 그런 이유로 사람들은 건전지를 냉장고에 보관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너무 높거나 너무 낮은 온도 또한 전지의 수명을 줄인다.
충전지는 방전되는 속도가 더욱 빠르고 하루에 3%까지 잃을수 있다(온도에 따라 다르다). 그렇기 때문에 충전지는 옷장이나 창고에 보관하고 있다가 위급시 랜턴이나 라디오에 사용하려고 하면 안된다. 이런 이유로 인해 항상 일반 전지를 가지고 있는것이 좋다. 니켈-카드뮴 전지는 살때 항상 거의 방전되어있기 때문에 사용하기전에 꼭 충전을 하고 사용해야한다.
![]() |
이 문서는 과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