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정선군 |
 |
자료 |
세대 |
가구 |
총인구 |
명 |
남자 |
명 |
여자 |
명 |
면적 |
Km2 |
정선군은 강원도의 군이다.
남북국 시대부터 줄곧 '정선'이라는 이름으로 불려 왔으며, 한국 민요 아리랑의 발상지로 유명하다. '아라리'라고도 불리는 이 지역의 민요 정선아리랑은 고려시대 말부터 불려 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정선아리랑은 한강 뗏목을 타고 강원도의 다른 지역은 물론 서울까지 전해져, 이후 전국 각지에서 각기 독특한 아리랑이 불리는 계기가 되었다. 20세기 후반에 석탄 산업의 중심지로 대한민국의 경제성장에 크게 이바지하였으며, 곳곳에 명승고적이 많이 강원도의 대표적인 관광지로 손꼽힌다. 정선군 북면의 아우라지는 백두대간에서 발원한 골지천과 송천이 합쳐져 조양강을 이루는 곳인데, 이 물줄기가 한강의 본류이다. 조양강은 동강, 남한강 등으로 이름이 바뀌며 흐르다가 경기도 양평군 양수리에서 북한강과 만나 한강을 이룬다.
[편집] 역사
[편집] 하위 행정구역
- 정선읍(旌善邑): 정선군의 군청소재지이다. 1973년에 읍이 되었으며, 1000년 가까이 정선군의 행정, 문화 중심지 역할을 해 왔다. 읍사무소 소재지는 봉양리이다. 1912년에 개교한 정선초등학교를 비롯하여 여러 교육기관이 자리잡고 있으며 42번 국도와 59번 국도, 정선선 철도가 지나는 교통의 요지이기도 하다. 특산물로는 메밀, 황기, 옥수수 등이 있으며 평창군 대화면과의 경계에 있는 가리왕산은 자연휴양림으로 지정되어 있다. 읍 중앙부를 조양강이 북에서 남으로 가로지르며 흐른다.
- 고한읍
- 사북읍
- 신동읍
- 동면
- 남면
- 북면
- 북평면
- 임계면
[편집] 각주
- ^ 읍설치에관한규정 (제정 1973년 3월 12일 대통령령 6543호)
- ^ 경기도시흥군의왕읍등35개읍설치에관한규정 (제정 1980년 10월 21일 대통령령 제10050호)
- ^ 경기도양주군회천읍등읍설치와읍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제정 1985년 9월 26일 대통령령 제11772호)
[편집]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