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로리 제한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칼로리 제한은 음식물을 통한 에너지 흡수를 제한하는 것이다. 인간의 경우 칼로리 제한은 콜레스테롤, 공복기 포도당, 혈압등을 낮추는것으로 나타났다. 칼로리 제한은 지금까지 알려진 수명 연장 방법중 유일하게 효과가 입증되고 있는 방법이다. 아직까지 어떻게 해서 칼로리 제한이 수명 연장을 불러 일으키는지는 확실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칼로리 제한이 음식 제한과 다른 점은 칼로리 제한은 충분한 양의 비타민, 미네랄등을 섭취해야 한다는 것이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칼로리 제한은 NAMPT/PBEF/Visfatin이라고 하는 효소를 활성화시킨다. 이 효소들은 니코틴아마이드를 NAD라는 물질로 바꿔준다. (효모의 경우 PNC1이라는 효소가 니코틴아마이드를 분해한다.) 이러한 니코틴아마이드의 감소와 NAD의 증가는 SIRT1라고 하는 sirtuin 계열의 탈아세틸효소를 활성화시킨다. 이 SIRT1 효소가 어떻게 수명 연장을 시킬수 있는지에 대하여 현재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천연물중에서는 레스베라트롤이 SIRT1을 활성화시킨다.
![]() |
이 문서는 의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