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사 이사금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파사 이사금(婆娑尼師今, ? - 112년, 재위 80년 - 112년)은 신라의 제 5대 왕이다.
목차 |
[편집] 생애
성은 박씨이며 유리 이사금의 둘째 아들, 혹은 유리 이사금의 동생인 나로(柰老)의 아들이다. 비는 김씨 사성(史省)부인이다. 본래 유리 이사금의 맏아들 일성 이사금(逸聖)이 즉위하게 되어 있었으나, 삼국사기에 따르면 "어떤 이가 말하기를 '일성이 비록 적자이기는 하지만 위엄과 총명이 파사에 미치지 못한다'라고 하여, 마침내 파사를 왕위에 오르게 하였다"라 해, [1] 파사와 일성 사이에 후계자 자리를 놓고 투쟁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81년 봄 2월에 몸소 시조묘에 제사지내고, 3월에는 주, 군을 돌며 위무하고 창고를 열어 구휼하며 교수형 및 참수형이 아니면 모두 용서하였다. [2] 82년 봄 정월에 영(令)을 내려 말하였다. "지금 창고는 텅 비었고 병기는 무디어져 있다. 만약 수재(水災)나 한재(旱災)가 있거나 변방에 변고가 있으면 무엇으로써 그것을 막겠는가? 마땅히 담당 관청으로 하여금 농사와 누에치기를 권장하게 하고 병기를 벼리어서 뜻밖의 일에 대비하라!" [3] 84년 봄 2월에 명선(明宣)을 이찬으로 삼고 윤량(允良)을 파진찬으로 삼았다. 여름 5월에 고타군주(古抒郡主)가 푸른 소[靑牛]를 바쳤다. 남신현(南新縣)에서 보리줄기가 가지를 쳤다. 크게 풍년이 들어 여행하는 사람이 양식을 가지고 다니지 않아도 되었다. [4]
85년 정월에 백제가 변경을 침입하였으나 [5] 기록이 자세하지 않은 걸로 보아 곧 격퇴된 것으로 생각된다. 87년 7월에 가소성과 마두성을 쌓았다. [6] 94년 가야군이 마두성을 포위하였으나 아찬 길원(吉元)에게 기병 1천기를 보내 쫓게 하였다. 96년 9월 가야군이 다시 습격해 왔으나 이때 왕이 5천기를 거느리고 친정, 대승을 거두었다. 97년 정월에 가야를 치러 하였으나 그 나라 왕이 사신을 보내 사죄하여 용서하였다.
102년 8월, 음즙벌국과 실직곡국 사이의 영토 분쟁을 해결해줄 것을 요청받았으나, 금관가야의 수로왕(首露王)에게 맡겼다. 수로가 판결을 내 땅을 음즙벌국에 귀속되게 하였다. 파사이사금이 진한 6부에 명해 수로왕을 위해 연회를 베풀게 하였는데, 모두 이찬을 보내 접대하게 했으나 한기부(漢祇部)만이 하급 관리를 보내 수로가 노하여 종을 시켜 한기부주 보제(保濟)를 죽이게 했다. 보제를 죽인 종 탐하리(耽下里)는 음즙벌의 왕 타추간(타鄒干)의 집에 숨었다. 파사이사금이 노해 음즙벌국을 치니 타추간이 항복하고, 실직(悉直), 압독(押督)의 두 왕도 항복하였다.
104년 7월 실직이 배반하여 토벌하고 그 무리를 남쪽으로 옮겼다. 105년 백제와 화친했고, 106년 8월 마두성주에 명해 가야를 치게 하였다. 108년 비지국, 다벌국, 초팔국을 쳐 병합했다.
[편집] 가계
[편집] 참고
앞선 왕 탈해 이사금 |
제 5 대 80년 -112년 |
다음 왕 지마 이사금 |
신라의 역대 국왕 |
---|
신라 : 박혁거세 거서간 | 남해 차차웅 | 유리 이사금 | 탈해 이사금 | 파사 이사금 | 지마 이사금 | 일성 이사금 | 아달라 이사금 벌휴 이사금 | 내해 이사금 | 조분 이사금 | 첨해 이사금 | 미추 이사금 | 유례 이사금 | 기림 이사금 | 흘해 이사금 | 내물 마립간 실성 마립간 | 눌지 마립간 | 자비 마립간 | 소지 마립간 | 지증 마립간 | 법흥왕 | 진흥왕 | 진지왕 | 진평왕 | 선덕여왕 | 진덕여왕 태종무열왕 | 문무왕 | 신문왕 | 효소왕 | 성덕왕 | 효성왕 | 경덕왕 | 혜공왕 | 선덕왕 | 원성왕 | 소성왕 | 애장왕 | 헌덕왕 | 흥덕왕 희강왕 | 민애왕 | 신무왕 | 문성왕 | 헌안왕 | 경문왕 | 헌강왕 |정강왕 | 진성여왕 | 효공왕 | 신덕왕 | 경명왕 | 경애왕 | 경순왕 |
[편집] 주석
- ↑ 유리 이사금의 둘째 아들~: 《삼국사기》<신라본기 제1권 파사 이사금 條>, 婆娑尼師今 立 儒理王第二子也 <或云儒理弟 奈老之子也> 妃金氏史省夫人 許婁葛文王之女也 初脫解薨 臣僚欲立儒理太子逸聖 或謂 逸聖雖嫡嗣 而威明不及婆娑 遂立之
- ↑ 81년 봄 2월에~: 《삼국사기》<신라본기 제1권 파사 이사금 條>, 二年 春二月 親祀始祖廟 三月 巡撫州郡 發倉賑給 慮獄囚 非二罪悉原之
- ↑ 82년 봄 정월에~: 《삼국사기》<신라본기 제1권 파사 이사금 條>, 三年 春正月 下令曰 今倉廩空匱 戎器頑鈍 儻有水旱之災 邊鄙之警 其何以禦之 宜令有司 勸農桑 練兵革 以備不虞
- ↑ 84년 봄 정월에~: 《삼국사기》<신라본기 제1권 파사 이사금 條>, 五年 春二月 以明宣爲伊湌 允良爲波珍湌 夏五月 古陁抒郡主獻靑牛 南新縣麥 連歧 大有年 行者不䝴糧
- ↑ 85년 정월에~: 《삼국사기》<신라본기 제1권 파사 이사금 條>, 六年 春正月 百濟犯邊
- ↑ 87년 7월에~: 《삼국사기》<신라본기 제1권 파사 이사금 條>, 八年 秋七月 ... 是月 築加召·馬頭二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