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몬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플라스몬(plasmon)이란 금속 내의 자유전자가 집단적으로 진동하는 것을 말한다. 금속 나노입자에서는 플라스몬이 표면에 국부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표면 플라스몬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그 중에서도 금속 나노 입자에서는 가시~근적외선의 광전장과 플라스몬이 짝지어져 광흡수가 일어나서 선명한 색을 띄게 된다. 이 현상이 표면 플라스몬 공명 (surface plasmon resonance) 이며, 국소적으로 매우 증가된 전기장을 발생시킨다. 즉, 빛 에너지가 표면 플라스몬에 변환되게 되어 금속 나노 입자 표면에 빛의 에너지가 축적되는 것 뿐만 아니라 빛의 회절 한계보다 작은 영역에서 광 제어가 가능하게 됨을 의미한다.
이런 금속 나노입자와 광의 상호작용이 최근의 광 과학기술의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표면 플라스몬의 설계, 제어, 응용기술은 전자공학(Electronics)와 광공학 (Photonics)에서 플라스모닉스 (Plasmonics)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