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사익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홍사익(洪思翊, 1889년 3월 4일 ~ 1946년 9월 26일)은 일본군 중장을 지낸 한국의 친일파 인물이다.
경기도 안성에서 태어나 을사조약 체결 후 육군무관학교에 입학했다. 이 학교에 재학 중 능력을 인정 받아 1909년 이응준, 김석원과 함께 국비 유학생으로 뽑혔다. 영친왕의 일본 중앙유년학교 유학을 위해 동반자로 선발된 것이다.
그는 중앙유년학교를 거쳐 일본육군사관학교를 1914년 5월 28일 졸업(제26기)하고 임관했다. 이때 일본 육사를 같이 다닌 학우로는 지청천이 있었다. 1941년 소장이 되었고 1944년에는 중장으로 진급했다.
태평양 전쟁 중에 중국에서 여단장으로 근무하다가, 1944년 필리핀에 주둔한 일본 남방군 총사령부의 병참총감에 임명되었고, 연합군 포로수용소 소장을 겸직했다. 이때문에 종전 후에 필리핀에서 열린 전범 재판에 회부되어 포로 학대 혐의로 사형 선고를 받은 뒤, 교수형에 처해졌다.
일본군 중장이 된 한국인은 영친왕과 홍사익 둘 뿐이다. 그는 종전 당시 일본군에서 가장 높은 직위에 있었던 한국인이었으며, 유일한 한국인 출신의 태평양전쟁 A급 전범이기도 했다. 2005년 민족문제연구소에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친일파 목록에 포함되었다.
홍사익에 관한 책으로는 이기동의《비극의 장군 홍사익》(1982)이 있다.
[편집] 행적에 대한 논란
홍사익은 친일파였지만, 독립군에 정보를 빼 주거나, 창씨개명은 끝까지 거부하는 등의 행동을 보이기도했다는 점에서 평가가 엇갈리기도 한다.
![]() |
이 문서는 사람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