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인승 (밀정)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인승(金麟昇)은 강화도 조약 체결 당시 일본 외무성에 고용되어 불평등 조약 체결에 도움을 준 사람이다. 그는 근대적 의미의 '친일파 제1호'로 불리고 있다[1].
함경북도 경흥 출생이다. 양반 출신으로 한학을 익혔다는 것 외에는 성장 과정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1869년 러시아 지역으로 이주하여 조선인 유민들을 대상으로 한학을 가르치다가 일본인과 사귀면서 1875년 일본 정부의 외국인 고문으로 채용되어 일본을 돕게 되었다. 일본은 이 무렵 외국인 고문들을 다수 채용하여 팽창 정책에 활용하고 있었다. 그는 계약 기간 동안 일급을 받으며 조선 지도의 제작에 도움을 주고 조선의 사정 등을 알려주었다.
그해 운요호 사건이 일어나면서 6개월 후인 1876년 초 불평등 조약인 강화도 조약이 체결되었는데, 김인승은 강화도 조약 체결 시에 일본 공사인 구로다 기요타카(일본어: 黑田淸隆) 일행과 동행하였다. 조약 체결 후에는 일본을 거쳐 러시아로 돌아가 활동 기간은 그리 길지 않았다.
2002년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이 선정한 친일파 708인 명단 중 밀정 부문에 포함되었다.
[편집] 각주
- ↑ 정운현, 〈강화도조약 체결을 도운 조선인 - '친일파 1호' 김인승〉, 《나는 황국신민이로소이다》 (개마고원, 1999)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