림진강 (시)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림진강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시인 박세영이 지은 시이다. 1957년 고종환이 노래로 작곡하여 오늘날에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일본 내 총련계 한국 동포들 사이에서 널리 불리고 있다. 박세영은 본래 남한 출신인데, 광복 후 월북하였다. 모두 2연으로 되어 있는 림진강은 박세영이 고향인 남한을 그리워하면서 지은 시로, 둘째 연에서 사회주의를 채택한 북조선의 경제 상황이 남한보다 우월하다는 것을 드러내고 있다. 실제로 1950년대 후반에는 북조선의 국민 소득이 남한보다 높았다.
<림진강> 전문은 다음과 같다.
림진강 맑은 물은 흘러흘러 내리고
뭇새들 자유로이 넘나들며 날건만
내 고향 남쪽 땅 가고파도 못 가니
림진강 흐름아 원한 싣고 가느냐
강 건너 갈밭에선 갈새만 슬피 울고
메마른 들판에선 풀뿌리를 캐건만
협동벌 이삭바다 물결 우에 춤추니
림진강 흐름을 가르지는 못하리라
전월선이 '내 고향 남쪽 땅'을 내 고향 어머니 품으로 바꾸어 부르기도 했으나, 총련에서 발행한 음악 교과서 등에는 '내 고향 남쪽 땅'으로 되어 있으며 북조선 성악가 조청미도 '내 고향 남쪽 땅'이라고 노래불렀다. 일본 영화 "박치기"의 OST로도 사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