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위염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노화에 따른 위 점막의 위축이 주된 원인이라고 추축된다. 암이나 궤양같은 기질적 손상으로 발전되는 수도 있으며 폐결핵이나 신장염과도 관련이 있다. 외인성인자로는 알코올, 담배의 니코틴, 향신료, 약제 혹은 잘 씹지 않는 것 등이며, 내인성인자로는 여러 가지 정신적 혹은 심리적 인자, 위점막의 혈액 순환장애 등에 의한 영양장애 등이 있다.
[편집] 증상
설사와 식욕부진, 메스꺼움, 복부팽만감, 탈력감, 피로, 쇠약증상, 오래되면 철분 및 비타민B12흡수불량으로 빈혈을 일으킨다.
[편집] 식이요법
급성위염과 비슷하며, 규칙적인 식사를 하면서 음식은 잘 익힌 것을 천천히 먹는다. 식사는 당질을 주로 하고, 단백질과 지방을 과식하지 않도록 주의하며 강하게 조미된 식품을 피하고, 음식을 소화되기 쉽게 조리하여야 한다. 죽, 진밥, 국수, 빵, 오트밀, 채소류 으깬 것, 닭고기, 흰살생선, 우유, 달갹반숙 등이 권장된다.
- 위액의 분비를 촉진하는 식품: 탄산음료, 알코올 음료, 카페인이 많은 음료, 구운고기, 날고기, 신맛이 강한 과실, 너무 단음식이나 짠음식
- 위액의 분비를 촉진하지 않는 식품: 엽차, 설탕, 전분, 곡류, 우유, 감자, 두부, 삶은고기, 국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