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라드 2세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무라드 2세 | |
---|---|
![]() |
|
재 위 | |
1421년 ~ 1444년 1446년 ~ 1451년 |
|
왕 비 | {{{왕비}}} |
황 후 | {{{황후}}} |
왕 후 | {{{왕후}}} |
부 군 | {{{부군}}} |
앞선 왕 | 메메드 1세 |
앞선 황제 | {{{이전 황제}}} |
다음 왕 | 메메드 2세 |
다음 황제 | {{{다음 황제}}} |
오스만 제국의 술탄 |
무라드 2세 (1404년 - 1451년 2월 3일) (오스만 터키어: مراد ثانى , 터키어:II. Murat)는 오스만 제국의 술탄으로 1421년부터 1451년 죽을 때까지 술탄으로 있었다. 중간에 2년(1444년 - 1446년)은 그의 아들 메메드 2세에게 권좌를 내주고 은퇴생활을 했다. 무라드 2세의 통치기간은 발칸의 기독교 세력과 아나톨리아의 오랜 전쟁과 투르크 연합국과의 25년에 걸친 투쟁으로 점철되어 있다.
그는 통치초기에 비잔티움의 황제 마누엘 2세 팔라이올로고스와 아나톨리아의 많은 투르크멘 공국의 지원을 받는 몇몇 술탄 요구자들을 물리쳐야만 했다. 1425년까지 정적들을 거의 제거하고 아나톨리아 서부의 투르크멘 공국에 대한 오스만 제국의 지배권을 재확립했으며 다시 비잔티움에 공물을 바치게 했다. 1430년에는 발칸 반도로 관심을 돌려 5년간의 싸움 끝에 베네치아의 지배를 받던 북부 그리스의 살로니카(지금의 테살로니키)를 점령했다. 오스만 제국군은 처음에는 헝가리·세르비아·카라만 연합군에 잘 대항했지만 1441년 이후 독일·폴란드·알바니아 군이 연합군에 가세하게 되자 오스만 제국은 니시와 소피아를 잃고(1443) 잘로와즈에서는 크게 패했다(1444). 1444년 6월 12일 에디르네에서 무라드는 발칸의 제국과 10년간 강화조약에 서명하고, 당시 12세 된 아들 메메드 2세에게 술탄의 지위를 양위하고 자신은 아나톨리아로 남부로 돌아가 은둔생활을 하였다.
유럽의 기독교 세력은 교황 에우제니오 4세의 지원하에 곧 강화협정을 깨뜨리고 오스만을 침략했다. 아들 메메드의 간곡한 요청에 의해, 무라드는 다시 복귀하여 오스만 군대를 이끌고 1444년 11월 바르나 전투에서 헝가리-폴란드 기독교 연합군을 무찔렀다. 외부의 위협에 궁정 귀족들의 압력까지 받자 무라드는 1446년 다시 오스만 제국의 통치권을 쥐게 되었다. 1448년 10월 17일 제2차 코소보 전투에서 헝가리인들을 물리쳤다
아나톨리아에서는 티무르 왕조의 샤 로흐의 서진정책(西進政策) 때문에 신중한 정책을 폈다. 샤 로흐는 자신을 투르크멘 공국의 수호자로 자처하고 있었다. 오스만 제국은 초룸·아마시아 지역과 아나톨리아 서부에 대한 종주권을 확보했으나, 발칸의 그리스도교도 통치자들과 동맹관계를 맺어 오스만 제국에 위협 요인이 되었던 카라만 공국에게만은 계속 자치권을 행사하게 두었다.
1450-51년 겨울, 무라드는 병으로 쓰러졌고 에디르네에서 죽었다. 그의 아들 메메드 2세가 뒤를 이었다.
전 임 메메드 1세 메메드 2세 |
오스만 제국의 술탄 1421 - 1444 1446 - 1451 |
후 임 메메드 2세 메메드 2세 |
분류: 1404년 태어남 | 1451년 죽음 | 오스만 제국의 술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