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소라 히바리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미소라 히바리 | |
---|---|
![]() 후쿠시마 현 이와키 시에 설치된 미소라 히바리 유영비(遺影碑) |
|
본명 | {{{본명}}} |
국적 | 일본 |
출생 | 1937년 5월 29일 |
사망 | 1989년 6월 24일 |
장르 | 엔카, J-pop |
활동 시기 | 1949년 ~ 1989년 |
그룹 활동 | {{{그룹활동}}} |
미소라 히바리 공식 사이트 |
미소라 히바리(일본어: 美空ひばり, 1937년 5월 29일 ~ 1989년 6월 24일)는 일본의 쇼와 시대를 대표하는 가수이자 여배우로 가나가와 현 요코하마 시 이소고 구에서 태어났다. 세이카 학원(精華学園) 고등부를 졸업했으며, 본명은 가토 가즈에(加藤和枝)다. 사후에 일본 여성 최초로 국민영예상을 수상했다.
목차 |
[편집] 약력
[편집] 전성기
1949년 7월에 〈갓파 부기우기〉(河童ブギウギ)를 통해 가수로 데뷔하고, 1960년에 〈애수 부두〉(哀愁波止場)로 일본 레코드대상 가창상을 수상했다.
1962년에 당시 인기 영화배우였던 고바야시 아키라와 결혼했지만, 2년만인 1964년에 이혼하게 된다. 이혼 직후인 1964년 12월에 텔레비전 드라마 《유도》(柔)의 주제가로 사용된 동명의 곡을 발표해 크게 인기를 얻어 180만 매의 음반을 판매하고, 일본 레코드대상을 수상한다. 곧 이어 발표한 1966년의 〈슬픈 술〉(悲しい酒)은 145만 매, 1967년의 〈새빨간 태양〉(真赤な太陽)은 140만 매를 판매해 크게 인기를 끌었다.
[편집] 후기
1980년대에 접어들면서 친어머니였던 가토 기미에(加藤喜美枝)가 사망하고, 곧 이어 친동생과 친우마저 차례로 사망하는 비운을 맞게된다. 인기 또한 전성기와는 다르게 눈에 띄게 떨어져 술과 담배에 의존하는 정도가 높아졌고, 몸은 나빠지기 시작했다.
1987년 4월 22일에 후쿠오카 제생회 병원에 급하게 입원, “만성 간염 및 양측 대퇴골골두괴사”라는 진단이 내려졌다. “재기 불가능”이라는 평을 받았지만, 수 개월간 요양한 뒤 8월 3일에 퇴원하고, 10월에 신곡 〈흐트러진 머리〉(みだれ髪)를 레코딩 해 복귀한다. 1988년 4월 11일에는 도쿄돔에서 5만명이 운집한 가운데 복귀 콘서트 《불사조~날아라 새로운 하늘을 향해》를 가져 완전 복귀를 선언한다. 하지만 이미 상한 몸으로 인해, 전국 공연을 가지던 도중에도 수차례 극비 입원 하는 등, 위험한 징조는 이미 나타나고 있었다.
쇼와 천황이 죽으면서 연호가 헤이세이로 바뀐 1989년 1월 11일에는 인생이라고도 할 수 있는 〈흐르는 강물처럼〉(川の流れのように)을 발표한다. 곧 전국 투어 콘서트를 시작하지만, 입원과 일시퇴원을 반복했다. 결국 3월 21일에 자택에서 닛폰방송에서의 라디오 특집 생방송 〈미소라 히바리, 감동의 이 한 곡〉을 방송하고 난 뒤 급격히 악화되어 준텐도병원(順天堂病院)에 입원하게 된다. 이로 인해 이 후 예정되었던 콘서트나 전국투어도 모두 중지되었다.
1989년 6월 13일에 결국 의식불명으로 인공호흡을 시작했고, 6월 24일에 간질성 폐렴으로 인한 호흡부전으로 인해 향년 52세로 사망했다.
[편집] 사후
1989년 7월 4일에 일본 여성 최초로 국민영예상을 수상했다. 이 후 7월 22일에 장례식이 행해졌고, 요코하마 시 고난 구(港南区)에 안장되었다. 이 후에도 수년간 가요제의 특별상 등을 여러차례 수상하였다.
1993년에 교토 시에 “미소라히바리관”이 개관하였으나, 이용자 수의 감소로 2006년 11월 30일에 폐관되었다. 2005년에 공개된 영화 〈오페레타 너구리 저택〉에서 컴퓨터 그래픽 기술로 복원되어 출연하기도 했다. 그외에도 상영회 등이 각지에서 주기적으로 개최되고 있다.
최후의 곡인 〈강물의 흐름처럼〉는 NHK에서 조사한 "일본의 명곡"에서 1위로 선정되기도 했다.
[편집] 미소라 히바리 이야기
미소라 히바리 영면 17주기인 2005년에는, TBS에서 특별 드라마 〈미소라 히바리 이야기〉(美空ひばり物語-おでことおでこがぶつかって)에서 우에토 아야가 미소라 히바리 역을 맡았다. 어머니인 기미에 역에는 이즈미 핀코가 선택되었다.
[편집] 주요 작품
대표적인 작품만 기술하였음. 상세한 내역은 공식사이트를 참조하시오.
[편집] 싱글 앨범 - 판매량
- 유도(柔) (1964년) - 180만 장
- 흐르는 강물처럼(川の流れのように) (1989년) - 150만 장
- 슬픈 술(悲しい酒) (1966년) - 145만 장
- 새빨간 태양(真赤な太陽) (1967년) - 140만 장
- 사과 오이와케(リンゴ追分) (1952년) - 130만 장
- 흐트러진 머리(みだれ髪) (1987년)
- 항구 13번지(港町十三番地) (1957년)
- 부두에요, 아빠(波止場だよ、お父つぁん) (1956년)
- 도쿄 키드(東京キッド) (1950년)
- 슬픈 휘파람(悲しき口笛) (1949년)
- 판매량은 재발매된 경우를 포함해, 일본 콜롬비아에서 조사한 것.
[편집] 주요 곡
- 1949년 갓파 부기우기 (河童ブギウギ)
- 1949년 슬픈 휘파람 (悲しき口笛)
- 1950년 도쿄 키드 (東京キッド)
- 1950년 에치고 사자의 노래 (越後獅子の唄)
- 1950년 나는 거리의 아이 (私は街の子)
- 1951년 그 언덕 넘어서 (あの丘越えて)
- 1952년 축제 맘보 (お祭りマンボ)
- 1952년 쓰가루의 고향 (津軽のふるさと)
- 1952년 사과 오이와케 (リンゴ追分)
- 1954년 히바리의 마도로스씨 (ひばりのマドロスさん)
- 1954년 이즈의 무희 (伊豆の踊り子)
- 1956년 부두에요, 아빠 (波止場だよ お父つぁん)
- 1957년 항구 13번지 (港町十三番地)
- 1958년 인력거꾼 (車屋さん)
- 1960년 애수 부두 (哀愁波止場)
- 1962년 히바리의 사도 정화 (ひばりの佐渡情話)
- 1963년 슬픈 출항선 (哀愁出船)
- 1964년 유도 (柔)
- 1966년 슬픈 술 (悲しい酒)
- 1967년 새빨간 태양 (真赤な太陽)
- 1967년 예도 일대 (芸道一代)
- 1968년 자주빛 새벽 (むらさきの夜明け)
- 1968년 열도 (熱濤(いのり))
- 1970년 인생 한 길 (人生一路)
- 1972년 어느 여자의 노래 (ある女の詩)
- 1974년 한 자루 연필 (一本の鉛筆)
- 1976년 벚꽃의 노래 (さくらの唄)
- 1976년 잡초의 노래 (雑草の歌)
- 1980년 너에게 반했어 (おまえに惚れた)
- 1982년 뒷 골목 술집 (裏町酒場)
- 1983년 웃어요 문라이트 (笑ってよムーンライト)
- 1983년 잔협 자장가 (残侠子守唄)
- 1986년 아이산산 (愛燦燦)
- 1987년 흐트러진 머리 (みだれ髪)
- 1989년 흐르는 강물처럼 (川の流れのように)
[편집] 바깥 고리
- 미소라 히바리 공식 사이트 미소라 히바리의 전 출연작과 음반은 여기를 참조.
- 미소라히바리관 2006년 11월 30일에 폐관.
- 후쿠시마 현 이와키 시의 미소라 히바리 〈흐트러진 머리〉 노래비, 유영비, 시설의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