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흥식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박흥식(朴興植, 1903년 8월 6일 ~ 1994년 5월 10일)은 화신백화점 사장으로 유명한 일제 강점기의 친일 기업인으로, 광복후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가 조직되었을 때 첫번째로 체포된 인물이다.
평안남도 용강군 출신이다. 소학교를 졸업하고 십대의 나이에 인근의 진남포(현 남포특급시)에서 미곡상을 시작한 뒤 인쇄업, 지물업 등으로 사업이 계속 번창해 나갔다. 그는 사업에 대한 감각과 탁월한 상술을 갖추고 있었다.
1926년 서울로 올라와 선일지물주식회사(鮮一紙物株式會社)를 설립한 뒤 1931년에는 종로에 화신백화점을 개설했다. 화신백화점의 성공과 함께 1934년 화신연쇄점을 설립해 또다시 대성공을 거둠으로써 그는 '조선 최고의 갑부'로 불리게 되었다.
박흥식은 일찍부터 조선총독부와 밀착하여 사업을 확장했으나, 본격적인 친일 행적은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 지원 과정에서 드러난다. 이 무렵 그는 친일 단체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의 이사를 맡았고, 전조선배영동지회연맹에도 가담했다. 전쟁 말기 친일 인사들의 총본산이었던 임전대책협의회와 조선임전보국단의 이사를 지내고 고액을 기부하기도 했다. 이 기간 중 조선총독부 기관자인 《매일신보》에 대한 기고 활동과 각종 간담회 참여로 전쟁을 지원했다.
그는 1944년 전투기 생산 기업인 조선비행기공업주식회사를 설립했고 1945년 종전 직전에는 전투기 생산을 위한 자신이 운영 중이던 광신학교를 조선비행기공업학교로 바꾸어 전투기 생산 인력을 양성할 정도로 군수 산업 분야에서 적극적인 친일 활동을 했다. 조선비행기공업주식회사가 조선총독부와 일본군의 지원을 받았음은 물론이다. 공장의 인력은 강제 징용된 노동자로 채워졌다.
1949년 1월 8일 반민특위 제1호 검거자로 구속되었으나 곧 보석으로 풀려났고, 공민권 2년 정지형이라는 낮은 구형에도 무죄 판결을 받아 방면되면서 별다른 처벌을 받지 않았다. 박흥식이 제일 먼저 체포된 이유는 미국 도피를 준비 중이라는 소문과 함께, 재계의 오랜 실력자로 정계에 끈을 많이 갖고 있던 그가 미군정 수도경찰청 청장을 지낸 장택상의 형 장직상(전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과 만나거나 현직 경찰 최란수에게 수사금을 지원하여 반민특위의 활동을 방해하려는 의도가 포착되었기 때문이다 [1].
반민특위 재판에서 풀려난 이래 그는 사업가로 돌아갔으나, 한국 전쟁과 5·16 군사정변 와중에 피해가 겹치면서 재기에 어려움을 겪었다. 그가 일군 화신그룹은 1980년 10월 23일 부도를 내어 지금은 사라졌다.
2002년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이 광복회와 함께 선정한 친일파 708인 명단과 2005년 민족문제연구소에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친일파 목록에 모두 수록되었다.
두번째 부인은 경희대학교 교수를 지낸 피아니스트 한인하이며, 두 사람 사이에서 태어난 딸 박봉숙은 이화여자대학교 교수를 지냈다. 첫 부인과의 사이에서 얻은 맏아들 박병석은 광신학원 이사장이다.
[편집] 각주
- ↑ 《오마이뉴스》 (2004.5.8) 반민특위에 제1호로 검거된 '매판자본가'
분류: 1903년 태어남 | 1994년 죽음 | 친일인명사전 수록 예정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