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
|
기본 교의 | |
불교의 삼보 : 법보 불보 승보 삼과설 연기설 법인설 사제설(팔정도) |
|
주요 대승경전 | |
반야경 화엄경 금강경 법망경 유마경 법화경 |
|
주요 소승경전 | |
아함경 법구경 | |
유명한 인물 | |
석가모니 십대제자 조사 달마 원효 | |
불교의 분류 | |
사상: 소승불교 대승불교 선불교 시대: 원시불교 부파불교 대승불교 지역: 남방불교 북방불교 |
|
한국의 불교 종단 | |
조계종 천태종 태고종 관음종 원효종 진각종 |
|
법보 (法寶, 산스크리트어: धर्म, 영어: Dharma)는 불보, 승보와 더불어 삼귀의로서 둘째 가르침이다. 법(영어: Dharma)은 고대 인도의 사상에서 유래한 말로 '우주의 진리', '실체'를 뜻한다. 불교에서는 '법'에 대한 부처의 말을 뜻하기도 하며 부처의 말을 적고 풀이한 불교의 경전을 말하기도 한다.
목차 |
[편집] 삼장 (三藏, Tripitaka)
산스크리트어의 pitaka(한문 번역: 藏)는 "둥우리, 모음집"을 뜻하며, 부처의 제자들이 부처의 직접적 혹은 간접적 가르침을 모아서 그 성격에 따라 세가지 모음집으로 편성하여 'Tripitaka'라 불렀다. 부처의 말씀을 아함(阿含, Āgama)이라 일컬으며, 이를 직접 받아 적은 글들을 경(經, Sūtra)이라 부르고 있다. 이 경전을 부처의 제자들이 후에 해설한 글들을 논(論, Sāstra)이라는 이름 하에 모아 편성하였다. 그리고 불교의 여러가지 규칙과 의식 등에 관해 설명한 글 들은 율(律, Vinaya)이라고 부르고 있다. 흔히 대장경, 일체경이라는 낱말은 위의 세가지 불교의 경전을 총칭하는데 쓰이고 있다.
[편집] 경장 (經藏, Suttapitaka)
- 장 (長, Dīghanikaya): 34 경
- 중 (中, Majjhimanikāya): 152 경
- 상응 (相應, Samyuttanikāya): 2872 경
- 증지 (增支, Anguttaranikāya): 2198 경
- 소부 (小部, Khuddakanikāya): 15 경
[편집] 율장 (律藏,Vinayapitaka)
- 경분별 (經分別): 율을 나누어 설명한 것.
- 대분별 (大分別): 남자 수행승이 지켜야할 것
- 비구니분별 (比丘尼分別): 여자 수행승이 지켜야할 것.
- 건도부 (揵度部): 종단의 제도와 그에 따른 여러가지 규칙.
- 대품 (大品): 10 편
- 소품 (小品): 12 편
- 부록 19 장
[편집] 논장
[편집] 같이 보기
[편집] 바깥 고리
- ((영어)) 법보 - 앎의 자유 모든 앎은 법보의 발현이라는 에드먼드 챈 박사의 법칙.
![]() |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