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불교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
|
기본 교의 | |
불교의 삼보 : 법보 불보 승보 삼과설 연기설 법인설 사제설(팔정도) |
|
주요 대승경전 | |
반야경 화엄경 금강경 법망경 유마경 법화경 |
|
주요 소승경전 | |
아함경 법구경 | |
유명한 인물 | |
석가모니 십대제자 조사 달마 원효 | |
불교의 분류 | |
사상: 소승불교 대승불교 선불교 시대: 원시불교 부파불교 대승불교 지역: 남방불교 북방불교 |
|
한국의 불교 종단 | |
조계종 천태종 태고종 관음종 원효종 진각종 |
|
한국의 불교는 삼국시대에 육상 경로와 해상 경로를 통해 전해졌다. 기록 상 최초의 불교 전래는 고구려 소수림왕 때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소수림왕 전 시기에 불교가 상당 부분 고구려 각처에 퍼져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삼국시대의 나라들이 불교를 받아들인 것은 율령체제 정비 그 궤를 같이한다. 불교는 도입된 이래 삼(사)국의 주요 통치 이념이었으며, 고려 시대에는 정치 이념이었던 유교와 함께 가장 강력한 통치 이념이었다. 남북국시대 신라 말기에 중국의 선종이 전파되었으며 고려 시대 이후 한국 불교는 선종을 중심으로 한 통불교, 즉 선-교 양종의 통합 불교가 주축을 이루었다. 근세 이후 한국 불교의 주종은 선종이다. 해방이후 비구-대처분쟁이후 비구 종단은 조계종을 중심으로 정립되었고, 조계종은 2007년 현재까지 한국 불교의 대표 종단이다. 불교 대승 종단은 소의 경전을 중심으로 나눌수 있다.
목차 |
[편집] 한국의 불교 종단
[편집] 대승불교 종단
[편집] 밀교 종단
[편집] 사찰 현황
[편집] 대한민국 사찰 현황
문화관광부의 2005년 5월 자료에 따르면, 대한민국에는 907개의 사찰이 있으며, 시도별, 종단별 현황은 다음과 같다.
[편집] 시도별 사찰 현황
시도별 | 사찰수 | 시도별 | 사찰수 | 시도별 | 사찰수 | 시도별 | 사찰수 |
서울특별시 | 54 | 부산광역시 | 27 | 대구광역시 | 19 | 인천광역시 | 8 |
광주광역시 | 5 | 대전광역시 | 4 | 울산광역시 | 11 | 경기도 | 99 |
강원도 | 42 | 충청북도 | 80 | 충청남도 | 80 | 전라북도 | 112 |
전라남도 | 95 | 경상북도 | 171 | 경상남도 | 93 | 제주도 | 7 |
[편집] 종단별 사찰 현황
종단별 | 사찰수 | 종단별 | 사찰수 | 종단별 | 사찰수 | 종단별 | 사찰수 |
조계종 | 735 (81%) | 태고종 | 102(11%) | 법화종 | 22 (2%) | 선학원 | 16 (2%) |
원효종 | 5 (1%) | 기타 | 27 (3%) |
[편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찰 현황
이 문서는 불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
이 문서는 한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