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자호란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병자호란 (丙子胡亂)은 1636년 12월부터 1637년 1월에 사이에 벌어진 전쟁으로 청나라의 조선에 대한 제2차 침입으로 발발하였다. 병자호란은 조선 역사상 가장 큰 패전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데, 몽고에 대한 항쟁이 40여 년간 지속되었고, 임진왜란에서는 7년간의 싸움 끝에 왜군을 격퇴한 데 반하여, 병자호란은 불과 두 달만에 조선의 굴복으로 끝나고 말았다.
국호를 청(淸)이라 고친 후금의 숭덕제는 10만 대군을 거느리고 압록강을 건너 왔다. 이들에게 쫓겨 남한산성으로 조정을 옮긴 인조는 끝까지 대항했으나, 식량부족과 추위로 인해 패하여 1637년 1월 30일 삼전도(三田渡)에서 숭덕제에게 굴욕적인 항복 의식을 거행하였다. 그리고 소현세자 부부와 봉림대군도 청나라에 끌려간다. 병자호란은 임경업을 영웅으로 묘사한 《임경업전》, 박씨라는 부인이 청나라 군대를 물리친다는 영웅담인 《박씨전》의 소재가 될 정도로 조선인들에게 상처를 주었다.
목차 |
[편집] 명의 쇠퇴와 여진족의 번영
여진족은 그들이 세운 금나라가 몽골의 침략을 받아 멸망한 후 만주 일대에 흩어져 살고 있었다. 통일된 세력을 형성하지 못하고 있던 이들은 명과 조선 모두에 대하여 이중적인 관계를 맺고 있었다. 그러던 중 여진의 누르하치가 여진족을 규합, 16세기 말에 이르러서는 여진을 통일하기에 이르렀다. 그에 비해 명의 국력은 날로 쇠약해져 갔는데, 잦은 군대 동원과 이에 따른 경제적 손실은 명의 몰락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편집] 광해군의 중립 외교정책
누르하치가 명에 대하여 전쟁을 선포하고 공격해 수세에 몰리자 명은 조선에게 소총수 7000명을 준비할 것을 요구했다. 그러자 누르하치는 군대를 파견하지 말것을 조선 정부에 강력히 요구했다. 당시 조선 정부는 광해군과 그의 즉위를 도운 대북이 정권을 장악하고 있었는데, 이들은 조선이 국내 수비에 치중하는 것이 후방 수비라는 차원에서 유익하다며 명의 요구에 미온적인 태도를 취했다. 그러나 임진왜란때 명이 원군을 파병해 도운 일을 감안하면 원병을 파병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에 광해군은 명에 원군을 보내되 싸움이 시작될 경우 항복해 조선의 파병이 부득이 했음을 설명하도록 하여 화평을 성립시켰다.
[편집] 정묘호란
1623년 서인들의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이 폐위되면서 조선의 대외정책은 급반전을 이루게 되었다. 서인들은 실리보다는 명분을 중요시했고, 이들은 광해군의 중립적인 대외정책을 기존의 친명배금 정책으로 바꾸어 명에 대한 전통적 의리를 지키려 했다. 또한 후금에서 조선에 대한 강경책을 주장해 왔던 홍타이지가 왕위에 오름으로써 후금의 조선에 대한 정책도 변하였다. 그는 광해군을 보복한다는 명분으로 3만 명의 군사를 일으켜 조선을 공격해왔는데, 이를 정묘호란이라 한다. 조선은 수세에 몰렸고 조선 정부 내에서도 화의론이 대세를 이루고 후금또한 장기적인 출병이 어려웠기 때문에 강화서약을 맺고 철수했다. 이로 인해 조선은 후금과 '형제지맹'을 맺게 되었다.
[편집] 병자호란
정묘호란이후 후금은 조선에 대하여 여러 요구를 하였다. 이 요구에는 식량지원과 명 정벌에 사용할 병선의 제공등이 포함 되었다. 그리고 조선에 대하여 형제지맹을 군신지의로 바꿀 것을 요구했는데 이것은 조선을 신하의 나라로 삼으려는 굴욕적 요구였다. 후금의 무리한 요구로 조선 내에서는 척화론이 대두했고, 후금과의 관계는 악화되었다. 이에 따라 홍타이지는 국호를 청이라 바꾸고 10만명의 병력을 앞세워 조선을 공격했다. 청의 기병은 우수한 기동력으로 순식간에 수도를 위협했고 조선 정부는 종묘와 비빈들을 먼저 강화도로 피난시키고 인조는 세자와 대신들과 함께 남한산성으로 피신했다. 그러나 갑작스런 전쟁으로 남한산성내에는 식량이 부족했고 식수도 마찬가지 였다. 청군에게 포위당한채 뾰족한 방법을 생각해 내지 못하다가 강화도 마저 함락되자 조선정부는 전의를 상실하고 청에 항복하였다. 인조 15년 인조는 세자와 함께 삼전도에서 청 태종에게 세 번 절하고 아홉 번 머리를 조아리는 항복의식을 치루었고 청군은 소현세자와 봉림대군을 인질로하고 돌아감으로써 병자호란은 끝이 났다.
[편집] 북벌 운동
두 차례의 호란으로 큰 피해를 입은 조선은 정부나 백성 모두가 청에 대한 적대 감정과 복수심에 불탔다. 이에 청을 쳐서 원수를 갚아야 한다는 북벌론이 일어났다. 특히, 청에 인질로 잡혀 있었던 효종은 북벌을 나라의 가장 중요한 정책 목표로 삼았다. 효종은 송시열, 이완등과 함께 남한산성및 북한산성을 수축하고 군대의 양성에 힘을 기울였으나, 북벌을 실천에 옮기지는 못하였다. 이는, 청이 한족의 반발을 누르면서 중국에 대한 지배를 확고히 하고, 강력한 군사력을 유지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조선으로서는 강대국으로 부상한 청과의 관계 개선이 불가피하였고, 이에 따라 경제적 문화적 교류도 빈번해졌다. 18세기 후반에는 청의 발달한 문화를 받아들여야 한다는 주장도 설득력을 얻어가고 있었다. 이 무렵, 러시아가 침략해오자 청은 이를 물리치기 위해 조선에 원병을 요청하였다. 이에 조선은 두 차례에 걸쳐 조총부대를 출병시켜 큰 전과를 올리기도 했다.
이 문서는 역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