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잉 F-15K 슬램이글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F-15K 슬램 이글(F-15K Slam Eagle)은 F-15E 스트라이크 이글(F-15E Strike Eagle)의 최신 파생형로서, 미국 보잉 사가 제작하고 대한민국 공군이 운용하는 최신예 전투기이다. 2002년 4월 차기 전투기(FX)사업의 기종으로 선정되어 총 40기가 발주됐으며, 2005년 10월에 3, 4호기가 한국에 인도된 것을 시작으로 2008년까지 도입 완료될 예정이다. 2005년 12월 현재, 총 4기가 한국에 인도되었다. 2005년 12월 12일, F-15K는 '슬램 이글(Slam Eagle)'로 정식 명명되었다.
목차 |
[편집] 역사
[편집] FX 사업 선정
FX 사업은 당초 120기의 차기 전투기를 도입할 계획이었으나, 90년대 말 외환 위기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으면서 총 구입 대수는 40기로 줄었다. 프랑스 다소(Dassault) 사의 라팔, 유럽 4개국 콘소시엄의 유로파이터, 러시아의 Su-35, 그리고 미국 보잉 사의 F-15K 등 4개 기종이 FX 사업에 응찰하여, 최종적으로 라팔과 F-15K가 경합을 벌였다. 대한민국 공군이 요구했던 장거리 타격 능력의 우위 및 무장의 호환성, 한미연합군의 체계에서의 운용성등을 고려하여 F-15K가 최종 선정되었다. FX 사업 참조.
[편집] 제작 및 도입 일정
차기 전투기로 선정된 F-15K 슬램 이글은 미국 세인트루이스의 보잉 공장에서 제작되기 시작해서, 2005년 3월 제 1호기가 첫 시험 비행에 성공했다. 시험 비행 성공 이후, 보잉 사는 같은 해 3월 16일 공식적인 F-15K 출고식을 가졌다.
1호기와 2호기는 미국 세인트루이스에 남아서 2006년 5월까지 각각 비행 시험용과 지상 시험용으로 각종 테스트에 활용되고 있으며, 모든 테스트 완료 이후 한국에 인도될 예정이다. 한편 3호기와 4호기는 2005년 10월에 한국에 인도되는 최초의 F-15K가 되었으며, 2005년 서울 에어쇼에 첫 선을 보였다. 뒤이어 2005년 12월에 5, 6호기가 도입되었고, 2006년에 8기, 2007년에 16기, 2008년에 12기 등 총 40기의 도입이 완료될 예정이다.
공군은 2006년까지는 도입된 F-15K를 주로 조종사 기종 전환 훈련에 활용할 예정이며, 2007년 1월부터 제한적으로 운용하기 시작해서 2007년 9월부터 본격적으로 작전에 운용할 예정이다. 다만, 2007년 9월의 정상 작전 투입 이전에도 독도 지역 방위 임무에는 투입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편집] 추가 도입 계획
공군은 최초 40기의 F-15K 도입에 이어, 2009년부터 2차 FX 사업을 통해서 추가로 40기를 더 도입할 계획을 추진하였다. 하지만,2006년 5월에 의결된 '2007년-2011년 국방중기계획안'에 따르면, 예산 부족으로 20기만 추가로 도입하여 총 60기의 F-15K 슬램 이글로 비행단을 구성하게 되었다. 추가 도입은 대통령의 재가를 받아서 확정된 후, 최초 발주분 40기가 도입된 직후인 2009년부터 시작될 예정이다.
[편집] 훈련 중 실종
2006년 6월 7일 대구기지에서 이륙해 동해안에서 훈련 중이던 F-15K 1대가 실종되었다.
[편집] 향상된 능력
F-15K 슬램 이글은, 미 공군이나 타 국가 공군에서 운용하는 F-15E 기체들에 비해 많은 면에서 개선된 최신예 전투기이다. 다른 F-15E 기체들에 비해 개선된 주요한 점으로는, 향상된 엔진 추력, 적외선 탐색 및 추적 장비(IRST, InfraRed Search and Track), 3세대 주야간 정밀 침투 장비(LANTIRN)인 Tiger Eyes, 헬멧 장착 시현 장치(JHMCS, Joint Helmet Mounted Cueing System), 이전 F-15의 중앙 컴퓨터들보다 10배 이상 향상된 ADCP(Advanced Display Core Processor), 그리고 SLAM-ER(Stand-off Land Attack Missile-Extended Response)을 비롯한 각종 최신 공대지 무기 등을 들 수 있다.
슬램 이글은 미국 레이시온(Raytheon) 사의 AN/APG-63(V)1 기계식 스캔 레이다를 장착하고 있는데, APG-63(V)1은 미 공군의 F-15E에 장착된 APG-70의 모든 공대공, 공대지 모드를 통합하고, 지상 이동 목표물 추적, 해상 수색/추적을 위한 추가 기능 및 향상된 고해상도 지형 매핑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추후 전자식 스캔 레이다(AESA, Active Electronically Scanned Array)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도록 기체 내에 배선이 설치되어 있다.
F-15K 슬램 이글에는 F-15 기종들 중에서는 최초로 미국 제네럴 일렉트릭(General Electric) 사의 F110-GE-129 엔진이 2대 장착되었다. F110-GE-129 엔진은 다른 F-15에 장착됐던 프랫 & 휘트니(Pratt & Whitney) 사의 F100 엔진에 비해서 더 높은 추력을 낼 수 있다.
적외선 탐색 추적 장비(IRST)는 다른 F-15에는 없었던, F-15K에 최초로 장착된 장비이다. 이것은 야간에 상대편 레이다 감시에 걸리지 않도록 자체 레이다를 끈 상태에서 적외선으로 상대편 공대공 목표물을 탐지할 수 있게 해준다. Tiger Eyes Suite는 앞서 기술한 IRST 이외에도, 야간 침투/공대지 공격을 위해 지형 추적 장비(Terrain Following System), 전방 감시 적외선 장비(FLIR, Forward Looking Infra-Red), 조준용 포드 등을 포함하고 있다. 미 공군의 F-15E에 장착됐던 LANTIRN에 비해서 성능이 향상된 3세대 장비이다.
F-15K의 항공 전자 장비(Avionics)는 기존의 F-15E나 F-15에 비해 많은 향상이 있었다. 향상된 항공 전자 장비의 핵심은 ADCP(Honeywell Advanced Display Core Processor)인데, ADCP의 성능은 이전 F-15E에 내장됐던 중앙 컴퓨터에 비해 10배 이상 향상되었다. 또한 상용 데이타 처리 기술을 이용해서 개발되었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개발/유지/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ADCP는 헬멧 장착 시현 장치(JHMCS)와 공대공 미사일을 연동시키는 일도 담당한다. 따라서 공대공 전투시에 상대편에게 미사일을 발사하기 위해서, 조준할 수 있는 위치로 비행기를 이동시킬 필요 없이, 조종사가 상대편 비행기를 쳐다보는 것으로만으로 자동 조준이 된다. F-15K에 장착된 헬멧 장착 시현 장치는 이외에도 조종사의 헬멧 바이저(Visor)에 목표 포착 정보 및 비행 속도/고도 등 각종 비행 정보를 표시해주므로, 주변 상황 인식(Situation Awareness)에 많은 도움을 준다.
[편집] 독도지역 전투임무 가능시간
구분 | 이착륙기지 | 전투임무가능시간 | 산출기준 |
---|---|---|---|
중원 | 5분 |
이륙~임무지역: 고도 25M, 속도 마하 0.9 |
|
강릉 | 20분 | ||
F-15K |
대구 | 70분 | |
강릉 | 80분 |
[편집] F-15K와 관련된 논란
[편집] 4세대 전투기인가
FX 사업은 본래 4세대 전투기 도입 사업이었다. 그런데, 1974년 개발된 F-15는 3세대 전투기이지, 4세대는 아니라는 지적도 있다. 즉, 3세대 하드웨어에 4세대 디지털 소프트웨어를 결합한 기종으로 3.5세대라는 평가가 있으며, 한국군 고위 관계자는 “3세대 전투기와 4세대 전투기는 적용된 기술 차원이 다른 것”이라면서 “F-15E에 첨단 레이더와 전자장비를 아무리 많이 탑재해도 3세대 전투기를 100% 4세대 전투기로 개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1]
[편집] SLAM-ER 공대지미사일 주파수 문제
2005년 9월, 국회의 국정감사 과정에서, 공대지 미사일 SLAM-ER과 F-15K 사이의 데이타 링크를 위한 주파수 대역이 한국 국내의 PCS와 IMT2000 주파수 대역과 겹친다는 문제점이 공개되었다. 혼선이 생길 경우, 전투기에서 발사한 미사일을 통제할 수 없는 것은 물론, 표적에 관한 정보 파악도 어렵게 되는 등, SLAM-ER의 정상적인 운영이 불가능해진다. 공군은 미국 보잉 사와 SLAM-ER의 주파수 대역 변경을 협의하였으나, 보잉 사는 1년 정도의 소요 기간 및 1백만 불의 추가 비용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따라서, 공군은 평시 공대지 유도탄 훈련에는 주파수를 사용하지 않는 방식으로 항공기에 데이터링크 송수신기와 모의 훈련탄을 장착하는 방안을 보잉측과 협의하기로 하였다.
[편집] 주석과 참고 자료
- ↑ 차세대 전투기, 낙점(落點) 어디로? [주간조선]2001-04-19
[편집] 연관된 항목
[편집] 비교 기종
[편집] Designation series
[편집] 파생 기종들
[편집] 더 읽어보기
[편집] 바깥 고리
- 대한민국 공군 F-15K 홈페이지 (한국어)
- Boeing F-15K 홈페이지 (한국어)
- Deagel.com F-15K Slam Eagle (영어)
수송기 |
폭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