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연의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는 중국의 대표적 고전으로, 명나라 때 나관중이 쓴 책이다. 서진(晋)의 진수가 집필한 《삼국지》와 배송지의 《삼국지주(三國志註)》에 수록된 야사와 잡기를 근거로, 《전상삼국지평화(全相三國志平話)》의 줄거리를 취하여 쓰여진 작품이다. 최초 판본은 1522년에 판각한 "가정본(嘉靖本)"으로, 원래 이름은 《삼국지통속연의(三國志通俗演義)》라 하여 모두 24권 240칙(則)으로 이루어졌다. 참고로, 중화권에서는 삼국연의(三國演義)라고 하며, 영미권에서는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이란 영문타이틀로 잘 알려져 있다.
이야기는 184년(후한 영제 중평(中平) 원년)으로부터 280년(진 무제 태강(泰康) 원년)에 이르기까지의 이른바 삼국 시대를 배경으로 하여, 황건적의 난을 시작으로 유비, 관우, 장비의 도원결의, 황건적 토벌, 동탁 타도를 위한 제후 연합군의 봉기, 여포와 원술의 횡행, 조조와 원소의 대결, 강동(江東)의 영웅 손책의 등장, 유비와 제갈량의 만남, 적벽대전, 유비의 촉나라 획득, 유비-손권 간의 형주 귀속 문제, 관우와 장비의 잇따른 죽음, 삼국 정립, 유비의 죽음, 제갈량의 남만정벌, 출사표, 촉한과 위나라의 숙명적 대결, 제갈량의 죽음과 사마의의 낭패, 삼국의 단말마 등이 극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특히 제갈량은 후대 독자들에게 인상적으로 남아 있다. <수호전>, <금병매>, <홍루몽> 과 함께 중국 4대 기서의 하나로 꼽힌다.
삼국지연의는 한국과 일본에서도 대단히 인기가 높으며 일본 만화가 요코야마 미츠테루(橫山光輝)가 이를 만화화, 나아가 애니메이션으로까지 제작되었다. 왕부림 감독이 제작한 삼국연의라는 드라마가 있는데, 이는 요코야마 미츠테루의 만화 삼국지와 더불어 최고의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편집] 삼국지연의의 등장인물
- 이 부분의 본문은 삼국지 인물 목록입니다.
[편집] 연표
- 155년 - 조조 탄생.
- 156년 - 손견 탄생.
- 161년 - 유비 탄생.
- 162년 - 관우 탄생.
- 167년 - 장비 탄생.
- 175년 - 손책, 주유 탄생.
- 181년 - 제갈량 탄생.
- 182년 - 손권 탄생.
- 184년 - 황건적의 난 발발. 도원결의.
- 189년 - 후한 영제의 사망. 십상시의 난.
- 190년 - 반동탁 연합군 결성. 한왕조, 동탁에 의해 낙양에서 장안으로 천도.
- 192년 - 연환지계. 여포, 동탁을 살해.
- 200년 - 관도 전투.
- 207년 - 삼고초려.
- 208년 - 적벽대전.
- 219년 - 유비의 한중왕 등극. 관우의 사망.
- 220년 - 조조의 사망. 후한의 멸망. 위나라의 성립.
- 221년 - 촉한 성립.
- 222년 - 이릉 전투.
- 223년 - 유비의 사망. 제갈량의 남만 정벌.
- 227년 - 출사표. 제갈량의 북벌 시작.
- 229년 - 손권이 황제가 됨. 오나라 성립.
- 234년 - 오장원 전투. 제갈량의 사망.
- 263년 - 촉나라 멸망.
- 265년 - 위나라 멸망. 진나라(서진)의 성립.
- 280년 - 오나라 멸망. 삼국통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