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레르기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알레르기
목차 |
[편집] 어원
(Allergy)는 "과민 반응"이라는 뜻이다. 그리스어 낱말 allos가 어원이며, 이는 "변형된 것"을 뜻한다. 알레르기라는 용어는 1906년 프랑스 학자 폰 피케르가 처음으로 사용했다고 한다. 알러지 또는 앨러지는 영어 발음, 알레르기는 독일어식 발음으로 한국어에선 둘 다 혼용되어 통용된다.
[편집] 기전
알레르기는 면역 반응이다. 알레르기란 면역 시스템의 오작동으로 보통 사람에게는 별 영향이 없는 물질이 어떤 사람에게만 두드러기, 가려움, 기침 등의 이상 과민 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을 알레르겐 또는 항원이라고 한다. 꽃가루나 항생제가 한 예이다. 식품이 일으키는 알레르기를 식품 알레르기라고 한다. 항원이 우리 몸에 들어오면 항체가 만들어지고 항원항체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이로 인해 알레르기의 증상이 생긴다. 항체의 종류에 따라 I, II, III, IV, V 형 다섯가지로 분류한다.
항생제는 항원으로서 오히려 드물다.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물질이 항원이 될수 있다. 의료용 약물은 오히려 임상 검사를 한 후에 하므로 오히려 보통 물질보다 항원성이 약하다. 다만 많이 사용하기에 많은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의료용 약물은 항원성은 약하지만, 치명적인 경우가 보다 많다. 한냉 알러지 햇빛 알러지도 있다. 즉 차가우면 알러지가 생기거나 햇빛에 노출되면 알러지가 유발되는 것이다. 알러지는 접촉성 피부염이나 과민 반응, 혹은 독반응이나 부작용과 구별되어야 한다. 면역 과민 반응에는 알러지 반응, 접촉성 피부염, 과민성 쇽 반응 등 5가지로 나누며 약간씩 유발의 원인이 되는 항원-항체 반응이 다르다. 그러나 치료는 비슷하다. 면역 과민 반응이란, 보통 사람은 항원으로 인식하지 않는 것을 항원으로 인식하는 것을 말한다. 즉 인체는 해로운 물질을 항원으로 인식하고 항체를 만들어 이를 제거하려고 하는데, 보통사람은 항원으로 인식하지 않는 물질을 항원으로 인식하여 항원-항체 반응을 일으키는 것이다. 심한 경우에는 모든 육류, 즉 단백질에 항원-항체 반응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런 사람은 고기만 먹으면 항원-항체 반응, 알러지가 유발된다. 가장 많은 항원 물질은 단백질이다. 두드러기라고 하기도 한다.
진화론적인 시각으로는, B세포나 T세포가 분자적인 방법으로 외부의 물질을 제거할 수 없을 때, 물리적인 힘을 이용해서 외부의 병원균을 없애기 위해 만들어진 기전으로 보기도 한다. 즉, 외부에서 유해한 물질이 들어 왔는데 분자적인 기작을 통해 제거할 수 없으므로 물리적으로 제채기 등을 하게 하여 밖으로 방출하기 위해 만들어 졌다고 보는 것이다.
[편집] 분류
- I 형 급성반응과 초급성반응, 아나필락시스, 혈관부종,기관지경련
- II 형 : 항체 의존 세포독성-용혈성 빈혈, 간질성신염
- III 형: 면역 복합체 질병-혈청병
- IV 형: 세포매개,혹은 지연성 과민 반응-접촉성피부성
- V 형 : idiopathic: Maculopapular rash, Stevens-Johnson syndrome
[편집] 치료
- 1. 유발 항원 회피=항원이 될수 있는 물질과 접촉하지 않는 것이 최선의 예방
- 2. 항히스타민 주사. 정주, 근주, 피하 주사, 혹은 경구 투여
- 3. 스테로이드 주사
- 4. 심하게 가려워 잠을 못잘 정도면 수면제 처방을 할수도 있다
- 5. 예외는 있으나 피부를 시원하게 해주면 덜 가렵다.
[편집] 유의 사항
대개의 두드러기는 처음 주사 맞으면 곧 좋아지지만, 다시 하루 이틀내에 재발 하기도 한다. 그리고 옻이 항원이면 한달이상 증상이 계속 되기도 하므로 유의하여야 한다.
[편집] 식품 알레르기
우유 알레르기, 옥수수 알레르기, 호박 알레르기등이 있다. 그중 옥수수 알레르기는 유치원생 또는 초등학교 1학년부터 생기는 특수한 알레르기이고 옥수수밥이나 옥수수 또는 옥수수가 든 음식은 먹으면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