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행어사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암행어사(暗行御史)는 조선에서 지방관의 감찰을 비밀리에 수행했던 국왕의 직속 관리이다. 전국 지방행정의 감찰은 본래 사헌부의 임무이지만 교통과 통신수단의 불편으로 지방관의 악정을 철저히 적발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 따라서 국왕이 비밀리에 어사를 임명하여 각 지방에 파견하여 변복을 하고 비밀감찰의 임무를 맡게 하였다.
암행어사라는 말이 처음 쓰인 것은 명종 5년인 1555년이지만 최초의 실질적 암행어사는 중종 4년인 1509년부터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암행어사는 주로 당하관 관리 가운데 왕이 임의로 추생(抽牲: 임의로 추첨하는 것)하여 임명했지만 당상관을 암행어사로 임명하는 경우도 종종 있었다. 암행어사 제도는 고종 때인 1892년까지 유지되었다.
목차 |
[편집] 암행어사의 임명
암행어사는 봉서(封書)와 사목(事目), 마패(馬牌)와 유척(鍮尺)을 받았다. 봉서는 암행어사에 임명되었음을 알리는 문서이고, 사목은 자세한 임무와 파견 지역이 적힌 문서이다. 마패는 역참에서 역졸과 역마를 징발할 수 있는 증빙이었으며, 이는 중앙에서 파견된 관리만이 휴대할 수 있었으므로 암행어사의 신분증명이 되기도 하였다. 유척은 놋으로 만든 자로, 암행어사가 시체를 검시할 때 표준 자로 쓰였다.
이 물품들은 국왕이 비밀리에 직접 주거나 하급관리를 통해 사택으로 직접 전달하였고, 선발된 암행어사는 봉서를 받는 즉시 출발하였다. 봉서 표면에는 도남대문외개탁(到南大門外開坼: 남대문 밖에 도달하면 열어볼 것) 또는 도동대문외개탁(到東大門外開坼: 동대문 밖에 도달하면 열어볼 것)이라고 써서 그 내용은 서울 밖에서만 열어볼 수 있도록 하였다.
[편집] 암행어사의 임무
암행어사가 임명받은 지방에 도착하면 지방행정을 살피기 위해 변복하고 지방을 관찰하였다. 그렇게 염탐을 마치면 고을에 들어가 관가의 대청에 올라 공문서와 관가 창고를 검열하였는데, 이를 출도라고 하였다. 암행어사가 출도할 때는 역졸이 마패를 손에 들고 "암행어사 출도야"라고 크게 외쳤다. 억울한 죄인이나 재판 사례가 있으면 재심하여 해결하고 관리의 부정이나 파행이 발견되면 봉고(封庫: 창고를 봉인함)·파직(罷黜: 수령의 직책을 박탈함)하였다.
임무를 마치고 귀환한 암행어사는 서계(書啓: 보고서)와 별단(別單: 부속문서)을 국왕에게 제출하였다.
[편집] 예술작품에 등장하는 암행어사
[편집] 암행어사 설화
평민의 행색을 하고 지방행정을 감찰하는 암행어사는 지방관의 횡포로부터 민중을 구원하는 존재로서 백성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때문에 암행어사는 이야기의 소재로 많이 등장하는데, 암행어사가 주인공인 민담들을 가리켜 암행어사 설화라고 일컫는다.
암행어사 설화의 모델은 대체로 이시발, 박문수, 성이성과 같은 실존인물이지만 구전으로 전해지는 민담의 성격상 이야기의 과장과 각색도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편집] 춘향전
《춘향전》은 암행어사 설화에서 영향을 받은 대표적인 판소리계 소설이다. 남주인공 이몽룡은 작품 속에서 과거에 급제하고 암행어사가 되어 고향인 남원으로 돌아오는 것으로 묘사된다. 거지의 모습으로 변복을 하고 돌아온 그는 변학도의 학정으로부터 춘향과 마을 사람들을 구원하는 역할을 맡는다.
춘향전에 등장하는 이몽룡의 직접적인 모델이 실존하는 암행어사 성이성이라는 설이 있다.
[편집] 신 암행어사
윤인완이 쓰고 양경일이 그린 현대의 만화작품 《신 암행어사》는 춘향전의 주인공 성춘향과 실존했던 암행어사 박문수를 주인공으로 기존의 고전 암행어사 설화를 비틀어 새로운 이야기를 펼치고 있다.
[편집] 어사 박문수
2002년 MBC에서 방영한 드라마 《어사 박문수》는 영조 때의 암행어사 박문수의 일화를 현대적으로 재구성한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