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성찬례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성공회 |
|
![]() |
|
서론 | |
---|---|
인물 | |
교회법 | |
캔터베리 대주교 |
|
전례와 예배 | |
각국의 성공회 | |
영국 성공회 |
감사성찬례는 성공회의 감사성찬예배를 말한다. 이전에는 미사라고 불렀지만, 지금은 감사성찬례가 정식용어이다. 성공회 감사성찬례는 말씀의 전례와 성찬의 전례(성체성사)로 구분되어 있지만 엄밀하게 말하면 입당예식, 말씀의 전례, 성찬의 전례, 파송예식으로 구분된다. 기도서는 성공회기도서(대한 성공회 출판부)를 사용한다.
[편집] 감사성찬례 순서
다음은 성공회 기도서에 나온 감사성찬례 순서이다.
1. 말씀의 전례
2. 성찬의 전례
- 평화의 인사
- 봉헌성가
- 성찬기도
- 거룩하시다
- 주의 기도
- 하느님 어린양
- 영성체 성가
- 성체후 기도
3. 파송예식
- 축복기도
- 교회소식
- 파송성가
참고로 기리에(Kyrie,주여, 우리를 불쌍히 여기소서)는 사순절기간동안 회개의 뜻으로 고백한다.
[편집] 용어설명
- 본기도 : 본 기도는 집전자 즉, 사제의 공적인 기도를 말한다. 교회력에 근거한 절기에 맞춘 내용으로 기도하기도 한다.
- 성시 : 구약성서의 시편에 곡을 붙여서 부르는 성시를 말한다.
- 복음성경 : 복음서를 예전봉사자가 나와서 읽는 예전을 말하는데, 성서말씀은 성서정과표에 따른다.
- 신자들의 기도 : 봉사자가 나와서 기도문에 따라 교회와 세상을 위한 기도를 하는 것을 말한다.
- 평화의 인사 : 그리스도께서 십자가로 평화를 이루셨음을 고백하는 뜻으로 서로 인사하는 신앙예절이다.
- 성찬기도 : 성체성사는 영적으로 임한 그리스도의 몸과 보혈을 모시는 성사이므로,성찬기도를 통해 자신의 부족함을 고백해야 한다. 기도내용은 "주님을 모시기를 감당치 못하오니, 한 말씀만 하소서.내 영혼이 곧 나으리이다."인데, 이는 복음서에 나오는 백인대장의 겸손한 기도에 근거한다. 그전에 사제는 성체를 영한후 "세상의 죄를 없애시는 하느님의 어린양이 여기 계시니, 이 성찬에 초대받은 이는 복되도다"라고 선언하면서 성체와 보혈을 들어올린다.
- 하느님의 어린양 : 하느님의 어린양이신 주님께 불쌍히 여겨주시기를 간구하는 고백이다.
- 영성체 성가 : 사제가 영한 성체와 보혈을 모신후 드리는 성가를 말한다.
- 성체후 기도 : 성체와 보혈로 신자를 먹여주심에 감사하는 기도이다. 이때는 사랑안에서 상통(相通)하게 해 주실 것을 기도한다.
- 축복기도 : 사제가 교우들을 축복하는 기도이다.
- 교회소식 : 신자 회장 즉,선거로 선출된 평신도 대표가 교회소식을 알리는 것을 말한다.
- 파송성가 : 교회밖에서 주님의 복음을 전하거나, 그분의 평화를 이루기를 다짐하는 성가이다.이때 부제나 사제의 선포로 이를 다짐하는데, 교우는 "아멘"으로 화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