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시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편집] 역사
- 공주는 삼국시대에는 웅진(熊津)으로 불렸으며 475년부터 538년까지 백제의 수도였다.
- 538년 백제 성왕은 수도를 사비 (현대의 부여군)으로 옮겼다.
- 1983년 2월 15일 이인면 봉정리·주미리·태봉리·오곡리, 계룡면 신기리·소학리·상왕리, 장기면 무릉리·월송리·신관리·금흥리, 우성면 쌍신리·월미리가 공주읍으로 편입되었고, 공주군 탄천면 복룡리·반송리·이곡리·운암리 및 대학리 일부가 이인면으로 편입되었고, 사곡면 동해리가 유구면으로 편입되었다.[1]
- 1986년 1월 1일 공주읍에 공주시가 설치되었다.[2]
- 1995년 1월 1일 공주시 일원과 공주군 일원을 관할로 도농복합형태의 공주시가 설치되었다.[3]
- 2004년 8월 11일 대한민국 국무총리 이해찬이 2007년부터 시작될 신 행정수도로 선정되었다고 발표했다. 행정수도 이전계획은 2030년 완성될 예정이다.
[편집] 바깥 고리
[편집] 각주
- ^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제정 1983년 1월 10일 대통령령 제11027호) 제4조
- ^ 구리시등11개시설치와군관할구역의조정및금성시명칭변경에관한법률 (제정 1985년 12월 28일 법률 제3798호)
- ^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제정 1994년 8월 3일 법률 4774호)
충청남도의 행정 구역 |
---|
계룡시 | 공주시 | 논산시 | 보령시 | 서산시 | 아산시 | 천안시 |
금산군 | 당진군 | 부여군 | 서천군 | 연기군 | 예산군 | 청양군 | 태안군 | 홍성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