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대가 없는 나라 목록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음의 25개 나라는 군대를 보유하고 있지 않다. 여기서 나라는 독립국임을 말한다. 따라서 다른 나라가 방위를 책임지는 보호령 등의 나라는 제외되었다.
나라 | 설명 |
---|---|
![]() |
1983년 미국이 주도한 그레나다 침공 이후 군대를 보유하지 않는다. 방위는 미군이 책임지고 있다. |
![]() |
공식적이지는 않지만 오스트레일리아가 방위를 책임진다. |
![]() |
1981년 군사반란 이후 군을 폐지하였다. 방위는 미군이 책임지고 있다. |
![]() |
비용상의 문제로 1868년 군을 폐지하였다. |
![]() |
미군이 방위를 책임지고 있다. |
![]() |
1968년 이후 군을 보유하지 않는다. |
![]() |
17세기에 군 보유를 포기하여 프랑스가 방위를 책임지고 있다. |
![]() |
1968년 이후 군을 유지하지 않는다. 1988년 침공당했을 때 인도군의 도움을 받았다. |
![]() |
미군이 방위를 책임지고 있다. |
![]() |
군 조직과 유사한 기동대가 전부다. |
![]() |
스위스 근위대가 파병되어 지키고 있다. |
![]() |
의장대와 경찰, 국경수비대를 갖고 있다. |
![]() |
뉴질랜드가 방위를 책임지고 있다. |
![]() |
|
![]() |
|
![]() |
국내 문제로 소규모의 군 유사조직을 갖고 있다. |
![]() |
1998년과 2006년에 종족 갈등을 겪었고 오스트리아와 주변국이 간섭하여 질서를 회복하였다. 정규군은 없다. |
![]() |
NATO의 회원국이면서 군대 수준의 상비군이 없다. 미국과 방위협정을 맺고 1951년부터 군사기지를 제공하고 있다. 원정 평화 유지군과 해안경비대와 특수 경찰조직이 임무를 맡는다. |
![]() |
군 조직을 갖고 있지 않으나 경찰조직에 군 유사조직이 있다. |
![]() |
에스파냐와 프랑스가 방위를 책임진다. |
![]() |
헌법에 의해 평화시에 군을 보유하지 못하여 1949년 이후 군대가 없다. |
![]() |
정식으로 군을 보유하지 않으며 경찰과 해안경비대가 임무를 대신한다. |
![]() |
군대를 보유하고 있지 않으며 경찰이 해양구조 임무 등을 맡고 있다. |
![]() |
1990년에 군대를 폐지하였고 1994년 헙법을 개정하면서 이를 다시 명시하였다. 몇몇 정부 조직이 제한된 능력의 전투력을 갖고 있다. |
![]() |
미군이 방위를 책임지고 있고 비핵(anti-nuclear)을 헌법에 보장한 유일한 국가이다. |
- 군대가 없는 이유
- 마셜 제도, 미크로네시아 연방, 모나코, 팔라우는 지정학적으로 방위에 대한 중요성이 덜하며 또한 국제 관계에서도 영향력이 덜하다. 이러한 까닭으로 경제적인 문제와 더불어 군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
- 안도라는 방위에 대한 주변국에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
- 아이슬란드는 미국과의 방위협정으로 군을 보유하지 않는다
- 이 밖의 19개 나라는 나라의 독립과 방위를 자국이 책임져야 하는 국가이면서 정상적인 군 조직이 없는 나라이다.
- 이중 일곱 나라(그레나다, 도미니카, 리히텐슈타인, 모나코, 아이티, 코스타리카, 파나마)는 과거에 군을 해체한 나라이다. 다른 20개 나라는 주변 강대국으로부터 보호를 받으며 독립하여 현재에 이른 경우이다.
[편집] 같이 보기
![]() |
각종 순위 나라 목록 |
---|---|
지리 | |
인구 통계 |
인구* (그래프 · 인구밀도) · 평균수명* · 영아 사망률* · 임신률* · 출산률* · 사망률* · 인간개발지수* · 분배* |
경제 |
국내총생산 : 명목 GDP* (일인당*) · PPP* (일인당)* · (노동시간 일인당) 과거 GDP : 명목 · PPP |
정치와 사회 |
정치자유* · 언론자유* · 사형제* · 동성애* · 낙태* · 국가독립연도* · 부패지수* · 사업용이도* · 경제활동자유도* |
환경 |
이산화탄소 배출량* (일인당*) · GDP 대비 이산화탄소 배출량* (일인당) |
[편집] 참고
- C. Barbey, "La non-militarisation et les pays sans armée : une réalité", APRED, Switzerland, 2001. AP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