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대덕구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목차 |
[편집] 역사
- 1963년 1월 1일 충청남도 대덕군 유천면, 회덕면 대화리, 오정리 및 용전리와 산내면 옥계리, 가평리, 삼정리 및 호동리가 대전시로 편입되었다.[1]
- 1973년 7월 1일 대덕군 북면이 신탄진읍으로, 유성면이 유성읍으로 각각 승격하였다.[2]
- 1983년 2월 15일 대덕군 유성읍 일원, 구즉면 원촌리·문지리·전민리 및 용산리 중 일부, 탄동면 신성리·가정리·도룡리·장동리·내동리·화암리·덕진리·하기리, 기성면 관저리·도안리·가수원리, 대덕군 진잠면 내동리·교촌리·대정리·용계리·학하리가 대전시 중구에 편입되었고, 회덕면 일원이 동구에 편입되었다.[3]
- 1989년 1월 1일 1읍 6면 81법정리 중 진잠면 남선리를 제외한 대덕군 일원 모두 편입과 동시에 신탄진 지역의 4개동과 오정동, 대화동, 회덕1동, 회덕2동의 8개 행정동을 관할하는 대덕자치구를 설치하였다.[4]
- 1990년 1월 1일 회덕2동을 회덕2동과 중리동으로 분동하여 9개 행정동이 됨.[5]
- 1991년 9월 1일 중리동을 중리동과 법동으로 분동하여 10개 행정동이 됨.[6]
- 1995년 1월 1일 대전직할시 대덕구를 대전광역시 대덕구로 개칭.[7]
- 1996년 1월 1일 법동을 법1동과 법2동으로 분동하여 11개 행정동, 25개의 법정동을 관할함.[8]
- 1997년 12월 26일 신탄진동사무소 관할구역내의 석봉동을 신탄진동으로 법정동 명칭변경.[9]
- 2003년 1월 16일 회덕1동을 회덕동으로 변경, 회덕2동을 송촌동과 비래동으로 분동하여 12개 행정동, 26개의 법정동이 됨.[10]
[편집] 하위 행정구역
|
|
|
|
|
[편집] 교육 기관
|
|
|
|
|
|
|
|
|
- 각종학교
|
- 특수학교
|
[편집] 각주
- ^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제정 1962년 11월 21일 법률 1175호)
- ^ 읍설치에관한규정 (제정 1973년 3월 12일 대통령령 6543호)
- ^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제정 1983년 1월 10일 대통령령 제11027호) 제4조
- ^ 법률제4049호로 대전직할시 편입과 대덕구 설치
- ^ 대덕구 조례 제107호
- ^ 대덕구 조례 제171호
- ^ 법률 제4789호, 지방자치법 개정
- ^ 대덕구 조례 제296호
- ^ 대덕구 조례 제271,372호로
- ^ 대전광역시 조례 제574호(2003.1.16 공포)
대전광역시의 행정 구역 |
---|
대덕구 | 동구 | 서구 | 유성구 | 중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