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투어군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반투어군은 서아프리카와 남아프리카 일대에 널리 사용되는 언어 집단으로 '사람'을 의미하는 단어 '반투'를 공유하는 데서 유리했다.
[편집] 분류
- 북서 반투어군
- A 유형
- B 유형
- 미에네어
- 시라어 : 룸부어, 바라마어, 부누어, 붐부어, 브위시어, 상구어, 시라어
- 얀지어 : 딩어, 보마어, 얀시어, 음푸오노어, 음피누어, 티에네어
- 은제비어 : 두마어, 완지어, 은제비어, 창기어
- 음베레어 : 양고어, 옴밤바어, 은두무어, 음베레어, 응굴어, 카닝기어
- 초고어 : 부비어, 심바어, 초고어, 칸데어, 핀지어
- 켈레어 : 마홍궤어, 사케어, 세키어, 시구어, 웜부어, 은다사어, 음방궤어, 응곰어, 켈레어, 코타어
- 테케어 : 야카어, 응궁궬어, 이발리테케어, 차이테케어, 치체게어, 테케랄리어, 테케에부어, 테케은지쿠어, 테케쿠쿠야어, 테케테게어, 테케푸무어, 티에테케어
- 미분류 : 몰렝그어
- C 유형
- 몽고어 : 랄리아어, 몽고응쿤두어, 옴보어, 응간도어
- 방기은톰바어
- 로발라어
- 루셍고어 : 루셍고어, 링갈라어, 바방고어, 방갈라어, 볼로키어, 부자어, 은돌로어
- 마발레어
- 모이어
- 밤웨어
- 방기어
- 보자바어
- 보코어
- 볼론도어
- 볼리아어
- 봄보마어
- 봄볼리어
- 사카타어
- 셍겔레어
- 야몽게리어
- 은톰바어
- 응기리어 : 리빈자어, 리킬라어, 발로이어, 은도보어
- 잔도어
- 부숑어 : 뎅게세어, 렐레어, 부슝어, 송고메노어, 웡고어
- 음보시어 : 리콸라어, 리쿠바어, 아콰어, 음보시어, 음보코어, 코요어
- 응간도어 : 야카어, 응간도어
- 응곰베어 : 리겐자어, 브와어, 브웰라어, 응겔리마어, 응곰베어, 캉고어, 템보어, 파기베테어
- 응군디어 : 디볼레어, 보미타바어, 봉길리어, 음바티어, 응군디어, 판데어
- 켈레어 : 롬보어, 소어, 음베사어, 포케어, 켈레어, 포마어
- 테텔라어 : 옐라어, 은쿠투어, 켈라어, 쿠수어, 테텔라어
- 중부 반투어군
- D 유형
- 니앙가어
- 레가칼랑가어 : 레가므웽가어, 레가샤분다어, 리카어, 발리어, 베케어, 송구라어, 짐바어, 카누어, 콰미어, 함바어, 홀로홀로어
- 벰베어 : 벰베어, 부유어
- 비라후쿠어 : 니알리어, 바누마어, 베라어, 벨레어, 보도어, 부두어, 빌라어, 암바어, 은다카어, 음보어, 카이쿠어, 캉고어, 코모어, 호마어
- 에니아어 : 렝골아어, 미투쿠어, 에니아어, 음볼레어
- E 유형
- 니카어
- 말라코테어
- 미지켄다어 : 기리아마어, 두루마어, 디고어, 세게유어, 초니어
- 타이타어 : 사갈라어, 타이타어
- 포코모어 : 상부 포코모어, 하부 포코모어
- 차가어 : 궤노어, 로보어, 르와어, 분조어, 마차메어, 모치어, 카헤어
- 쿠리아어 : 구시어, 수바어, 시자키어, 와레어, 응구리미어, 이코마어, 이키주어, 자나키어, 카브와어, 쿠리아어, 테미어
- 키쿠유캄바어
- 기쿠유어
- 다이소어
- 메루어 : 메루어, 므윔비무탐비어, 추카어, 타라카어
- 엠부어
- 캄바어
- 니카어
- F 유형
- 닐람바랑기어 : 니아투루어, 닐람바어, 랑기어, 음부궤어
- 수쿠마니암웨지어 : 니암웨지어, 붕구어, 수쿠마어, 숨브와어, 코농고어, 킴부어
- 통궤어 : 맘브웨룽구어, 벤데어, 룽과어, 통궤어, 피파어, 핌브웨어
- G 유형
- H 유형
- J 유형
- 니오로간다어 : 간다어, 궁구어, 궤레어, 니앙코레어, 니오로어, 룰리어, 소가어, 싱가어, 케니어, 치가어, 투로어, 헤마어
- 르완다룬디어 : 룬디어, 르완다어, 빈자어, 슈비어, 하어, 항가자어
- 마사바루이아어
- 니올레어
- 루이아어 : 니알라어, 니오레어, 로굴리어, 루이아어, 부쿠수어, 이다코이수카티리키어
- 마사바어
- 시하부어 : 닌두어, 시어, 조바어, 카브와리어, 템보어, 풀리루어, 하부어, 훈데어
- 콘조어 : 난데어, 콘조어
- 하야지타어 : 니암보어, 수비어, 지타어, 진자어, 카라어, 케레웨어, 콰야어, 탈링가브위시어, 하야어
- K 유형
- 디리쿠어
- 살람파수은뎀보어 : 룬다어, 룬드어, 살람파수어
- 수비아어 : 수비야어, 토텔라어, 프웨어
- 음발라어
- 쾅과어 : 루야나어, 마시어, 시마어, 음보웨어, 음부쿠슈어, 쾅갈리어
- 초퀘루차지어 : 니엠바어, 니엥고어, 루발레어, 루임비어, 루차지어, 음분다어, 음브웰라어, 응캉갈라어, 초퀘어
- 훌루어 : 삼바어, 퀘세어, 펜데어, 홀루어
- L 유형
- 루바어 : 루바카사이어, 루바카탕가어, 르왈루어, 상가어, 카니오크어, 헴바어
- 브윌레어
- 송기에어 : 루나어, 방구방구어, 빈지어, 송게어, 케테어
- 응코야어
- 카온데어
- M 유형
- 니아키우사어
- 니카사프와어 : 니아므왕가어, 니하어, 람비아어, 말릴라어, 사프와어, 완다어, 은달리어
- 레니에통가어
- 레니에어
- 통가어 : 돔베어, 살라어, 솔리어, 일라어, 통가어
- 벰바어 : 벰바어, 아우시어, 타브와어
- 비사람바어
- 람바어
- 비사어 : 랄라비사어, 세바어
- N 유형
- 치체와어 (니안자어)
- 만다어 : 마텡고어, 음포토어, 응고니어, 통가어
- 셍가세나어
- 세나어 : 니웅궤어, 바르웨어, 세나어, 쿤다어, 핌비어
- 셍가어 (은셍가어)
- 툼부카어
- P 유형
- 마쿠아어 : 나템보어, 롤로어, 롬웨어, 마인도어, 마니아와어, 마렌제어, 마쿠와마레보네어, 마쿠와메토어, 마쿠와모니가어, 마쿠와사카어, 마쿠와시리마어, 마쿠와어, 추와부어, 코콜라어, 코티어, 타콰네어
- 마툼비어 : 닌디어, 루피지어, 마툼비어, 은덴데울레어, 은뎅겔레코어, 음붕가어, 응긴도어
- 야오어 : 마칭가어, 마콘데어, 므웨라어, 야오어, 은돈네함바어
- R 유형
- 남 음분두어 : 니아네카어, 움분두어, 은돔베어, 응쿰비어
- 예예어 (예이어)
- 은동가어 : 은동가어, 음발란후어, 응간디에라어, 콰니아마어, 크왐비어
- 헤레로어 : 젬바어, 헤레로어
- S 유형
- 미분류 (중부 반투어군) : 그바티리어, 니앙갈리어, 마예카어, 보구루어, 송고어, 응그비어, 응그빈다어, 이산주어, 카리어
- D 유형
- 미분류 (반투어군) : 벰바어, 송가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