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돌석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신돌석(申乭石, 1878년 11월 3일 ~ 1908년 음력 11월 18일)은 구한말의 의병장이다. 초기 의병 운동이 주로 유학자들을 중심으로 일어났기 때문에, 평민 출신이었던 그는 최초의 평민 의병장으로 유명하다.
경상북도 영덕의 평범한 농가에서 출생했다. 본명은 신태호(申泰浩)이며, 신태을(申泰乙)이라고도 한다.
을미사변으로 전국적으로 의병 운동이 일어날 때 19세의 나이에 영덕에서 처음 의병을 일으켰다. 그는 경상북도 동해안 지방을 차례로 점령하는 큰 전과를 올렸고, 이에 경북 출신으로 경기도 일대에서 활동하던 김하락 부대에 안동의 유시연과 함께 합세하였다. 그러나 김하락의 의병 연합 부대가 영덕에서 일본군에게 대패하여 김하락이 중상을 입고 투신 자살하면서 그의 의병대도 해산되었다.
신돌석은 1905년 을사조약의 강제 체결 이후 동생 신우경과 함께 재차 의병을 일으켰다. 울진군에서 일본 선박을 여러척 격침시키고 강원도 동해안 일대, 경상북도 내륙 지방, 원주 등 강원 내륙 지방까지 세력을 확대했다. 이때부터 그는 '태백산 호랑이'로 불릴만큼 신출귀몰한 전공으로 이름을 날렸고 여러 구전 전설들도 만들어졌다.
이강년의 의병대와 순흥(영주시)을 공격하는 연합 작전을 시도하는 등 계속되는 전과를 올리면서 경북 일대의 대표적인 의병장으로 부상하여, 이인영의 연합 의병 13도창의대진소가 결성되었을 때도 영남 지방을 담당하는 교남창의대장에 선임되는 등 양반 출신의 유학자 의병대장들도 그를 완전히 무시하지는 못할 정도의 세력을 형성하게 되었다.
1908년부터는 유시연의 부대와 연계하면서 주로 유격전 위주로 의병 항쟁을 펼치다가, 그해 겨울 영덕의 눌곡(訥谷)에서 암살되었다. 그를 살해한 사람에 대해서는 기록에 따라 내용이 조금씩 다르다. 가장 널리 알려진 설은 살해범이 김상렬(金相列) 삼형제라는 것이다[1]. 신돌석에게 걸려 있던 거액의 현상금을 노린 김상렬이 형제인 김상태(金相泰), 김상호(金相浩)와 함께 그에게 술을 먹인 뒤 도끼로 살해하였으며, 이들은 신돌석의 부하였으며 외사촌 또는 이종사촌들로 가까운 친척이었다는 설이다. 살해범의 이름이 김도윤, 김도룡(또는 김도용) 형제라는 설[2], 범인은 김자성이고 그가 신돌석의 고종 사촌이었다는 설[3]도 있다.
1963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고, 1995년 생가인 초가집이 복원되었다.
전기로 김희곤의 《신돌석 - 백년 만의 귀향》(푸른역사, 2004)이 있다.
[편집] 각주
- ↑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민족정기선양센터, 독립유공자 공훈록 - 신돌석
- ↑ 김희곤, 《신돌석 - 백년 만의 귀향》(푸른역사, 2004) 중 대구 헌병 분대장의 보고서 인용 부분 (228 페이지)
- ↑ 대한민국 문화관광부 e뮤지엄, 전쟁기념관 신돌석 흉상 설명
1997년········1998년 선정, 이 달의 독립 운동가 ········1999년 | |||||||||||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신언준 | 민긍호 | 백용성 | 황병학 | 김인전 | 이원대 | 김마리아 | 안희제 | 장도빈 | 홍범도 | 신돌석 | 이윤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