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마리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마리아(金瑪利亞, 1891년 6월 18일 ~ 1944년 3월 13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다. 본명은 김진상(金眞常)이며, 김근포(金槿圃)라고도 하였다.
[편집] 생애
[편집] 학창시절=
황해도 장연에서 지주인 아버지 김윤방(金允邦)과 어머니 김몽은(金蒙恩)의 3녀로 태어났다. 김윤방은 일찌기 기독교에 입교하여 고향 마을에 초등학교를 세운 선각자였는데, 김마리아가 어릴때 사망했다. 그는 아버지가 설립한 소래보통학교를 졸업했고, 어머니도 곧 사망하여 김윤오, 김필순 등 숙부들의 슬하에서 자라났다.
그의 집안은 민족 의식이 투철한 명문가였다. 김마리아의 고모부인 서병호와 그의 아들인 서재현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일한 독립 운동가였으며, 김규식의 부인이며 역시 독립 운동가인 김순애에게는 김마리아가 나이 어린 종고모가 된다. 세브란스의전을 졸업한 숙부 김필순은 나중에 임시정부를 세운 노백린, 류동렬, 이동휘, 김규식 등과 가까운 사이로, 김마리아는 숙부의 집에서 연동여학교(정신여자고등학교의 전신)를 다니면서 민족정신을 갖고 있는 집안 어른들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
1910년 연동여학교를 졸업하고 광주의 수피아여학교(수피아여자고등학교의 전신)와 모교에서 교사로 근무했다. 1914년에는 일본으로 유학을 떠나 히로시마를 거쳐 도쿄여자학원(東京女子學院)에서 수학했다.
[편집] 독립운동
1919년 도쿄여자학원 졸업을 앞두고 도쿄 유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2·8 독립 선언이 일어나자 황애덕 등과 함께 적극 참가했다. 곧이어 3·1 운동이 일어났을 때도 미리 귀국하여 황해도 지역의 운동에 관여했다가 체포, 구금되었다. 이때 고문을 당해 몸을 상한 그는 평생 건강 문제로 고생하게 된다.
3·1 운동으로 민족 의식이 고양되면서 임시정부와 연계된 대조선독립애국부인회 등 여러 여성독립운동 단체가 생겨났다. 김마리아와는 연동여학교 시절부터의 친구인 오현주가 언니인 오현관과 함께 투옥된 인물들의 옥바라지를 위주로 하는 혈성부인회를 조직했고, 황애덕이 1913년부터 운영해온 비밀 결사 송죽회도 있었다. 이에 따라 여성 단체 통합 움직임이 자연스럽게 발생하면서 혈성부인회와 대조선독립애국부인회가 통합한 대한민국애국부인회(회장 오현주)가 결성되었다.
이후 오현주가 남편 강낙원의 권유로 여성독립운동에서 갑자기 발을 빼자, 3·1 운동 건으로 투옥되었다가 마침 출소한 김마리아가 정신여학교에서 가진 비밀 모임에서 대한민국애국부인회의 회장에 선출되었다. 그러나 오현주가 남편을 통해 이들을 밀고함으로써 김마리아를 비롯한 회원들이 모두 체포되고 전국 조직이 와해되었다. 이때 그는 또다시 심한 고문을 당하여 병이 깊어지자 병보석으로 풀려났으며, 가출옥한 상태에서 황애덕과 함께 주범으로 꼽혀 징역 3년형을 선고 받았다.
1920년 미국인 선교사의 도움으로 상하이로 탈출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황해도 대의원이 되었으며, 난징의 진링(金陵) 대학에서 수학하였다. 1923년에는 미국으로 유학하여 파크 대학교와 시카고 대학교에서 공부하여 석사학위를 받은 뒤 뉴욕에서 신학을 공부하였다. 그는 뉴욕에서 다시 만난 황애덕, 박인덕 등과 함께 재미 대한민국애국부인회(근화회)를 조직하고 회장을 맡았다.
1933년 귀국하였으나, 서울에 체류할 수 없고, 교사활동도 신학 이외에는 가르칠 수 없도록 하는 등 일본 경찰의 제약이 뒤따랐다. 그는 원산의 마르다 윌슨 신학교에서 교편을 잡고 신학 교육에 힘쓰다가, 1943년 오래전 고문으로 얻은 병이 재발하여 원산의 사택에서 졸도한 뒤 1944년 평양의 병원에서 사망했다. 미혼으로 자손은 없었고, 시신은 유언대로 화장하여 대동강에 뿌려졌다.
2ㆍ8 독립 선언에 함께 참가했던 이광수가 쓴 〈누이야〉(1933년)라는 시는 김마리아의 귀국을 기념하여 그를 소재로 쓴 것이며, 안창호가 김마리아같은 여성이 열명만 있었다면 한국은 독립이 되었을 것이라고 말했다는 이야기나 고문을 하던 일본 검사가 탄복할 정도로 의지가 강했다는 일화 등이 남아 있다. 그는 기독교인들이 1938년 가톨릭, 장로교, 감리교등 한국 기독교 주요교파들의 신사참배 동의로 대거 변절하던 시기에도 신사참배 거부 운동을 벌이는 등 불굴의 의지로 사람들의 존경을 받았다.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 받았으며, 1998년 7월 이 달의 독립 운동가로 선정되었다.
전기로 박용욱이 쓴 《김마리아: 나는 대한의 독립과 결혼하였다》(홍성사, 2003)가 있다.
1997년········1998년 선정, 이 달의 독립 운동가 ········1999년 | |||||||||||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신언준 | 민긍호 | 백용성 | 황병학 | 김인전 | 이원대 | 김마리아 | 안희제 | 장도빈 | 홍범도 | 신돌석 | 이윤재 |
분류: 1891년 태어남 | 1944년 죽음 | 한국의 독립 운동가 | 황해남도 출신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