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창호 (군인)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창호(1932년 ~ 2006년 11월 19일)는 대한민국의 군인이다.
1932년 부유한 가정에서 7남매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1950년 연세대학교에 입학하던 해에 한국 전쟁이 발발했다. 그는 대한민국 국군에 자원 입대하여 육군본부 직속 포병 101대대 관측담당 소위로 참전하였다가, 1951년 5월 강원도 인제 전투에서 중공군에 포로로 붙잡힌 뒤 북조선으로 끌려갔다.
이후에 북조선의 인민군에 편입되었으나, 동료 포로들과 탈출을 계획하다가 정치부에 발각되어 '월남기도'와 '반동분자'의 혐의로 13년간 서흥, 덕천, 함흥, 아오지, 강계 광산등지의 강제 노역소에 복역하였다. 대한민국 국군에서 그는 전사자로 처리되어 국립묘지에 위패가 봉인되기도 하였다.
13년 동안의 강제 노역소 생활을 마친 후에는 자강도에 광부로 배치되어서 노역에 동원되었으며, 오랜 광산에서의 노역을 통해 지병인 규폐증을 얻게 된다. 하루 10시간여의 중노동에 동원되었으나 일일 식량 배급량은 300그램 정도였다고 한다.
규폐 증세가 심해져서 산간마을로 보내지게 되는데 이때에 알게된 중국상인을 통해서 귀환을 결심하게되고, 목선을 타고 중국을 통해 북조선을 탈출, 해상을 표류하다 1994년 10월 23일 새벽 대한민국 수산청 어업지도선에 의해 구출됐다. 이후 국방부에 귀환을 보고하였고, 43년만에 대한민국 국군 중위로 예편하였다.
그는 한국 전쟁 당시에 포로로 잡힌 많은 국군포로들이 여전히 북조선에 생존하고 있음을 증언하였고, 이는 북조선에 생존해 있을 많은 국군포로들과 강제 납북자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을 환기시키는 계기가 되었으며 그들이 처한 참혹한 인권환경에 대한 논의를 불러 일으키기도 하였다. 말년에 그는 미국 하원 국제관계위원회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 북조선에 남아있는 국군포로와 납북자들의 생활상을 증언하고 그들의 귀환을 위한 활동을 벌여왔다.
2006년 11월 19일, 북조선에서의 오랜 노역으로 얻은 지병이 악화되어서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망하였다.
조창호 예비역 중위를 시작으로 대한민국으로 돌아온 국군포로는 2006년 현재 40여 명에 이른다.
대한민국 정부가 파악한 북조선 생존 국군 포로만 540여 명, 휴전 후 납북된 민간인도 400여 명으로 추산된다. 남한에서는 대한민국 정부가 이들의 귀환 문제를 북조선과의 대화 의제에도 포함시키지 못하고 있다는 비난이 보수층을 중심으로 상당하다. 국군포로 문제에 관심을 보이는 이들은, 2000년 6.15 남북정상회담 1년 후에 김대중 대통령이 비전향장기수 64명을 전원 북송하는 조치를 취하였으나, 이후 2006년까지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을 지나면서도 대한민국 정부는 국군포로와 납북자들을 송환 시키기 위한 어떤 뚜렷한 노력도 보이지 않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북조선에서는 비전향장기수와 국군포로 문제는 전혀 별개라 주장하고 있으며, 포로 문제는 1953년 이승만 대통령의 반공포로 석방 사건때 남한이 먼저 포로송환협정을 위반함으로서 더이상 재론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북조선 측은 한국 전쟁 이후 북조선에 남은 국군포로는 모두 스스로 원하여 북조선을 택함으로써 '해방전사'로 편입되었다고 밝히고 있다.
[편집] 바깥 고리
- 코리아스코프, 사진으로 보는 남북관계 55년사 - 조창호 소위
- 《조선일보》 (2006.11.19.) '돌아온 사자' 조창호 예비역 중위 별세
- 《동아일보》 (2005.10.24.) 책갈피 속의 오늘 - 1994년 조창호 소위 탈북 귀환
- 《자유아시아방송》 (2006.5.2.) 국군포로 이야기: 귀환 국군포로 1호 조창호 씨
이 문서는 군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