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릴 문자를 사용하는 언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래의 언어들은 키릴 문자를 사용하는 언어이다.
목차 |
[편집] 지리적 구분
[편집] 동유럽
[편집] 구소련 내
- 슬라브어계: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벨라루스어, 루테니아어
- 비슬라브어계:몰도바어, 압하스어, 인구시어, 체첸어, 아바르어, 타바사란어, 칼미크어, 코미어, 둥간어, 카자흐어, 타지크어, 키르기스어, 부랴트어, 몽골어, 추코트어, 오세트어, 발카르어, 체르케스어, 루툴어, 타타르어, 크림타타르어, 아디게어, 카렐리야어, 우드무르트어, 추바슈어, 바슈키르어, 모르도바어, 사미어 일부 등
아래의 목록은 각각 언어에서 사용되는 키릴 문자의 변종이다.
[편집] 슬라브어계
[편집] 불가리아어
А а | Б б | В в | Г г | Д д | Е е | Ж ж | З з | И и | Й й | К к |
Л л | М м | Н н | О о | П п | Р р | С с | Т т | У у | Ф ф | Х х |
Ц ц | Ч ч | Ш ш | Щ щ | Ъ ъ | Ь ь | Ю ю | Я я |
특징은 다음과 같다.
- (Е)는 /ɛ/소리가 나며 "е" [e]로 불린다.
- (Щ)는 /ʃt/소리가 나며 "щъ" [ʃtə]로 불린다.
- (Ъ)는 /ə/소리가 하며 "ер голям" [ˈer goˈlʲam](큰 er)로 불린다.
[편집] 러시아어
- 이 부분의 본문은 러시아 문자입니다.
А а | Б б | В в | Г г | Д д | Е е | Ё ё | Ж ж | З з | И и | Й й |
К к | Л л | М м | Н н | О о | П п | Р р | С с | Т т | У у | Ф ф |
Х х | Ц ц | Ч ч | Ш ш | Щ щ | Ъ ъ | Ы ы | Ь ь | Э э | Ю ю | Я я |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요 (Ё ё) /jo/
- 경음 기호 (ъ)
- 예루 (ы) /ɨ/
- 에 (Э э) /ɛ/
러시아어 문자의 개혁 이전에는 ы의 이름이 달랐다. 역사적으로 경음 기호는 지금은 사라진 모음의 소리를 내지만 이 모음은 불가리아어에 살아 있다.
1918년 이전의 역사적 문자: Іі (Ии로 대체), Ѳѳ (Фита "피타", Фф로 대체), Ѣѣ (Ять "야트", Ее로 대체), Ѵѵ (ижица "이지차", Ии로 대체)
[편집] 벨라루스어
А а | Б б | В в | Г г | Д д | Е е | Ё ё | Ж ж | З з | І і | Й й |
К к | Л л | М м | Н н | О о | П п | Р р | С с | Т т | У у | Ў ў |
Ф ф | Х х | Ц ц | Ч ч | Ш ш | Ы ы | Ь ь | Э э | Ю ю | Я я |
- Г는 /ɦ/ 소리를 가진다.
- Ё, Э, Ы를 사용하지 않는다.
- I는 라틴 문자 I (І, і)와 같은 형태이다.
- (Ў, ў) 짧은 U는 U와 Ef 사이의 소리를 갖는다. /w/ 소리가 난다.
- (ШЧ, шч) 같은 합자들은 러시아어와 우크라이나어의 시챠 자리에 온다.(Щ, щ)
- Дж дж와 Дз дз 같은 Д д 다음에 오는 합자가 있다. 이는 다음과 같은 하나의 소리를 나타낸다. Дж /ʤ/, Дз /ʣ/.
[편집] 우크라이나어
А а | Б б | В в | Г г | Ґ ґ | Д д | Е е | Є є | Ж ж | З з | И и |
І і | Ї ї | Й й | К к | Л л | М м | Н н | О о | П п | Р р | С с |
Т т | У у | Ф ф | Х х | Ц ц | Ч ч | Ш ш | Щ щ | Ю ю | Я я | Ь ь |
- Г는 /ɦ/ 소리를 가진다.
- (Ґ, ґ)는 /g/소리를 가진다. 이 글자는 소련에서 1933년 이전에는 쓰이지 않았다.
- (Е, е)는 /e/소리를 가진다.
- E 다음에 오는 (Є, є)는 /je/ 소리를 가진다.
- (И, и)는 /ɪ/ 소리를 가진다.
- Y 다음에 오는 (І, і)는 /i/ 소리를 가진다.
- I 다음에 오는 (Ї, ї)는 /ji/ 소리를 가진다..
- (Й, й) 는 /j/ 소리를 가진다.
- (Щ, щ)는 ʃʧ 소리를 가진다.
[편집] 루신어
루신어는 트란스카르파티아 우크라이나, 슬로바키아, 폴란드 등지의 렘코 루신인들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А а | Б б | В в | Г г | Ґ ґ | Д д | Е е | Є є | Ё ё | Ж ж | З з |
И и | I і* | Ы ы* | Ї ї | Й й | К к | Л л | М м | Н н | О о | П п |
Р р | С с | Т т | У у | Ф ф | Х х | Ц ц | Ч ч | Ш ш | Щ щ | Ъ ъ |
Ю ю | Я я | Ь ь | Ъ ъ* |
*보이보디나 루신어에는 없는 문자들
[편집] 세르비아어
А а | Б б | В в | Г г | Д д | Ђ ђ | Е е | Ж ж | З з | И и | Ј ј |
К к | Л л | Љ љ | М м | Н н | Њ њ | О о | П п | Р р | С с | Т т |
Ћ ћ | У у | Ф ф | Х х | Ц ц | Ч ч | Џ џ | Ш ш |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 Е는 /ɛ/ 소리가 난다..
- Д와 Е 사이에 Dje (Ђ, ђ)가 있으며 /ʥ/ 소리를 갖는다.
- И와 К 사이에 Je (Ј, ј)가 있으며 /j/ 소리를 갖는다. 라틴 문자 J와 흡사하다.
- Л과 М 사이에 Lje (Љ, љ)가 있으며 /ʎ/ 소리를 갖는다.
- Н와 О 사이에 Nje (Њ, њ)가 있으며 /ɲ/ 소리를 갖는다.
- Т와 У 사이에 Tshe (Ћ, ћ)가 있으며 /ʨ/ 소리를 갖는다.
- Ч와 Ш 사이에 Dzhe (Џ, џ)가 있으며 /dʒ/ 소리를 갖는다.
- Ш는 마지막 글자이다.
[편집] 마케도니아어
А а | Б б | В в | Г г | Д д | Ѓ ѓ | Е е | Ж ж | З з | Ѕ ѕ | И и |
Ј ј | К к | Л л | Љ љ | М м | Н н | Њ њ | О о | П п | Р р | С с |
Т т | Ќ ќ | У у | Ф ф | Х х | Ц ц | Ч ч | Џ џ | Ш ш |
세르비아어와 다음 차이가 있다.
- Ze와 I 사이에 Dze (Ѕ, ѕ) 글자가 있다. 라틴 문자 S와 비슷하며 /dz/ 소리를 갖는다.
- Djerv 대신 Gje (Ѓ, ѓ)가 사용되며 /gʲ/ 소리를 갖는다.
- Tjerv 대신 Kja (Ќ, ќ)가 사용되며 /kʲ/ 소리를 갖는다.
[편집] 비슬라브어계
이들은 대개 러시아어 문자와 비슷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대개 이 언어 사용자들이 러시아의 영향을 받게 되면서 이러한 종류의 문자가 생겨냤다.
[편집] 이란어군
[편집] 오세티아어
오세티아어는 1937년 이후부터 키릴 문자를 사용해 왔다.
А а | Ӕ ӕ | Б б | В в | Г г | Гъ гъ | Д д | Дж дж | Дз дз | Е е | Ё ё |
Ж ж | З з | И и | Й й | К к | Къ къ | Л л | М м | Н н | О о | П п |
Пъ пъ | Р р | С с | Т т | Тъ тъ | У у | Ф ф | Х х | Хъ хъ | Ц ц | Цъ цъ |
Ч ч | Чъ чъ | Ш ш | Щ щ | Ъ ъ | Ы ы | Ь ь | Э э | Ю ю | Я я |
[편집] 타지크어
타지크어는 키릴 문자로 쓰인다.
А а | Б б | Г г | Д д | Е е | Ё ё | Ж ж | З з | И и | Й й | К к |
Л л | М м | Н н | О о | П п | Р р | С с | Т т | У у | Ф ф | Х х |
Ч ч | Ш ш | Ъ ъ | Э э | Ю ю | Я я | Ғ ғ | Ӣӣ | Қ қ | Ў ў | Ҳ ҳ |
Ҷ ҷ |
[편집] 몰도바어
몰도바어는 1946-1989년까지는 키릴 문자를 써 왔다. 트란스니스트리아 공화국에서는 이 문자가 공식적으로 사용된다.
[편집] 몽골어
몽골어는 다양한 변종이 있다.
[편집] 칼카 몽골어
А а | Б б | В в | Г г | Д д | Е е | Ё ё | Ж ж | З з | И и | Й й |
К к | Л л | М м | Н н | О о | Ө ө | П п | Р р | С с | Т т | У у |
Ү ү | Ф ф | Х х | Ц ц | Ч ч | Ш ш | Щ щ | Ъ ъ | Ы ы | Ь ь | Э э |
Ю ю | Я я |
- В в = /w/
- Е е = /jɛ/, /jœ/
- Ё ё = /jo/
- Ж ж = /ʤ/
- З з = /dz/
- Н н = /n-/, /-ŋ/
- Ө ө = /œ/
- Ү ү = /y/
- Ы ы = /iː/
- Ь ь = /ĭ/
- Ю ю = /ju/, /jy/
키릴 문자 Кк, Фф, Щщ는 러시아어 단어에만 쓰인다.
[편집] 부랴트 몽골어
칼카 몽골어와 비슷하지만 연음 기호는 그대로 연음 기호가 된다. Вв, Кк, Фф, Цц, Чч, Щщ, Ъъ를 순수 자국어에는 쓰지 않는다.
А а | Б б | В в | Г г | Д д | Е е | Ё ё | Ж ж | З з | И и | Й й |
Л л | М м | Н н | О о | Ө ө | П п | Р р | С с | Т т | У у | Ү ү |
Х х | Һ һ | Ц ц | Ч ч | Ш ш | Ы ы | Ь ь | Э э | Ю ю | Я я |
- Е е = /jɛ/, /jœ/
- Ё ё = /jo/
- Ж ж = /ʤ/
- Н н = /n-/, /-ŋ/
- Ө ө = /œ/
- Ү ү = /y/
- Һ һ = /h/
- Ы ы = /ei/, /iː/
- Ю ю = /ju/, /jy/
[편집] 칼미크어
칼카 몽골어와 비슷하다. 칼미크어의 장모음은 모음 기호를 두 번 써서 나타낸다.(нөөрин)
А а | Ә ә | Б б | В в | Г г | Һ һ | Д д | Е е | Ж ж | Җ җ | З з |
И и | Й й | К к | Л л | М м | Н н | Ң ң | О о | Ө ө | П п | Р р |
С с | Т т | У у | Ү ү | Х х | Ц ц | Ч ч | Ш ш | Ь ь | Э э | Ю ю |
Я я |
- Ә ә = /æ/
- В в = /w/
- Һ һ = /ɣ/
- Е е = /ɛ/, /jɛ-/
- Җ җ = /ʤ/
- Ң ң = /ŋ/
- Ө ө = /œ/
- Ү ү = /y/
[편집] 카프카스어족
[편집] 압하스어
압하스어는 그루지야에서 사용된다.
А а | Б б | В в | Г г | Гь гь | Ҕ ҕ | Ҕь ҕь | Д д | Дә дә | Џ џ | Џь џь |
Е е | Ҽ ҽ | Ҿ ҿ | Ж ж | Жь жь | Жә жә | З з | Ӡ ӡ | Ӡә ӡә | И и | Й й |
К к | Кь кь | Қ қ | Қь қь | Ҟ ҟ | Ҟь ҟь | Л л | М м | Н н | О о | Ҩ ҩ |
П п | Ҧ ҧ | Р р | С с | Т т | Тә тә | Ҭ ҭ | Ҭә ҭә | У у | Ф ф | Х х |
Хь хь | Ҳ ҳ | Ҳә ҳә | Ц ц | Цә цә | Ҵ ҵ | Ҵә ҵә | Ч ч | Ҷ ҷ | Ш ш | Шь шь |
Шә шә | Щ щ | Ы ы |
[편집] 투르크어족
[편집] 아제르바이잔어
아제르바이잔어는 1939년부터 1991년까지 키릴 문자를 사용했다.
[편집] 바슈키르어
1938년 겨울부터 바슈키르어 키릴 문자가 사용되었다.
А а | Б б | В в | Г г | Ғ ғ | Д д | Ҙ ҙ | Е е | Ё ё | Ж ж | З з | |
И и | Й й | К к | Ҡ ҡ | Л л | М м | Н н | Ң ң | О о | Ө ө | П п | |
Р р | С с | Ҫ ҫ | Т т | У у | Ү ү | Ф ф | Х х | Һ һ | Ц ц | Ч ч | |
Ш ш | Щ щ | Ъ ъ | Ы ы | Ь ь | Э э | Ә ә | Ю ю | Я я |
[편집] 추바시어
19세기 후반부터 키릴 문자가 사용되었다.
А а | Ӑ ӑ | Б б | В в | Г г | Д д | Е е | Ё ё | Ӗ ӗ | Ж ж | З з |
И и | Й й | К к | Л л | М м | Н н | О о | П п | Р р | С с | Ҫ ҫ |
Т т | У у | Ӳ ӳ | Ф ф | Х х | Ц ц | Ч ч | Ш ш | Щ щ | Ъ ъ | Ы ы |
Ь ь | Э э | Ю ю | Я я |
[편집] 카자흐어
카자흐어는 라틴 문자로 쓰이기도 한다.
А а | Ә ә | Б б | В в | Г г | Ғ ғ | Д д | Е е | Ё ё | Ж ж | З з |
И и | Й й | К к | Қ қ | Л л | М м | Н н | Ң ң | О о | Ө ө | П п |
Р р | С с | Т т | У у | Ұ ұ | Ү ү | Ф ф | Х х | Һ һ | Ц ц | Ч ч |
Ш ш | Щ щ | Ъ ъ | Ы ы | İ і | Ь ь | Э э | Ю ю | Я я |
- Ә ә = /æ/
- Ғ ғ = /ʁ/
- Қ қ = /q/
- Ң ң = /ŋ/
- Ө ө = /œ/
- У у = /uw/, /yw/,/w/
- Ұ ұ = /u/
- Ү ү = /y/
- Һ һ = /h/
- İ і = /i/
키릴 문자 Вв, Ёё, Цц, Чч, Щщ, Ъъ, Ьь, Ээ는 러시아어 단어에만 쓰인다.
[편집] 키르기스어
키르기스어는 키릴 문자와 아랍 문자로 쓰인다.
А а | Б б | Г г | Д д | Е е | Ё ё | Ж ж | З з | И и | Й й | К к |
Л л | М м | Н н | Ң ң | О о | Ө ө | П п | Р р | С с | Т т | У у |
Ү ү | Х х | Ч ч | Ш ш | Ы ы | Э э | Ю ю | Я я |
- Ң ң = /ŋ/
- Ү ү = /y/
- Ө ө = /œ/
[편집] 우즈베크어
키릴 문자가 자주 사용되지만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라틴 알파벳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А а | Б б | В в | Г г | Д д | Е е | Ё ё | Ж ж | З з | И и | Й й | К к |
Л л | М м | Н н | О о | П п | Р р | С с | Т т | У у | Ф ф | Х х | Ч ч |
Ш ш | Ъ ъ | Э э | Ю ю | Я я | Ў ў | Қ қ | Ғ ғ | Ҳ ҳ |
- В в = /w/
- Ж ж = /dʒ/
- Ф ф = /φ/
- Х х = /χ/
- Ъ ъ = /ʔ/
- Ў ў = /ø/
- Қ қ = /q/
- Ғ ғ = /ʁ/
- Ҳ ҳ = /h/
[편집] 독일어
- 이 부분의 본문은 독일어 키릴 문자입니다.
칼리닌그라드(쾨니히스베르크)가 소련에 합병되었을 때 독일어의 키릴 문자 체계가 연구되었다. 아주 적은 수의 문서만이 이 문자 체계를 사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독일 사람들은 로마자를 사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