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Tank, Light Mk VII, Tetrarch I
테트라크 I 경전차는 영국이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개발한 경전차로 수색용으로 주로 사용되었으나 나중에 공수부대용으로 이용되었다.
[편집] 개발
- 1938년, 빅커스-암스트롱 사에서 시험형 개발
- 1940년, 생산 개시
- 전투에서 경전차 차체의 빈약한 성능때문에 생산이 중단됨
- 1941년 공수부대용으로 생산 재개
- 1943년, 테트라크(Tetrach)라는 이름이 부여됨
[편집] 제원
- 길이 : 4.04m
- 넓이 : 2.31m
- 높이 : 2.10m
- 중량 : 7.5톤
- 서스펜션 : 코일 스프링
- 노상 속도 : 시속 58km(40마일)
- 야지 속도 : 시속 44.8km(28마일)
- 항속 거리 : 224km
- 주무장 : 40 mm 오드넌스 QF 2 2파운드 포
- 탑재 포탄 : 50발
- 부무장 : 7.92 mm 베사 기관총
- 탑재 탄약 : 2,025발
- 장갑 : 16mm
- 엔진 : 미도우 12 실린더
- 엔진 출력 : 165hp
- 승무원 : 3명(차장, 포수, 운전수)
[편집] 실전 기록
- 소수의 전차가 1942년 마다카스카르 전투에 투입되었다.
- 6공수사단 소속 공수기갑정찰연대인 1944년 노르망디 상륙작전 중에 하밀카르 대형 글라이더로 수송되어 오르네 강에 투입되었다.
- 1945년 3월 24일, 라인강 도하.
- 약 20대의 테트라크 전차가 소비에트 연방에 원조되어 훈련용으로 사용중인 모습이 촬영되었다(photographed).
[편집] 파생형
- 테트라크 I CS : 근접 화력 지원형으로 3인치 곡사포를 탑재.
- 테트라크 DD : 한 대의 테트라크 전차가 1941년 6월에 상륙용 전차로 개조되어 시험되었다. 테스트는 성공적으로 끝났고, 이때 사용된 장비가 발렌타인 보병전차와 M4 셔먼에 적용되었다.
[편집] 더 읽어보기
[편집] 외부 추가 정보
|
|
경전차 |
빅커스 6톤 전차 | Mk.2 | Mk.3 | Mk.4 | Mk.5 | Mk.6 | Mk.7 테트라크 |
순항 전차 |
크루저 Mk.1 | 크루저 Mk.2 | 크루저 Mk.3 | 크루저 Mk.4 | 커버넌터 전차 | 크루세이더 순항전차 | 카발리어 전차 센토어 순항전차 | 크롬웰 전차 | 챌린저 | 코메트 전차 | 셔먼 파이어플라이 | 램 (캐나다) | 센티널 전차 (오스트레일리아) |
보병 전차 |
Mk.1 마틸다 | Mk.2 마틸다 | Mk.3 발렌타인 | Mk.4 처칠 |
자주포
비숍 자주포 | 섹스턴 자주포 | 디컨 자주포 | 아처 대전차 자주포 |
유니버셜 캐리어 | 로이드 장갑차 | 캥거루 장갑차 | 테라핀 장갑차 |
정찰차 및 장갑차
수색 장갑차 |
다이믈러 딩고 | 딩고 (오스트레일리아) | 험버 | 링크 장갑차 (캐나다) | S1 수색 장갑차 (오스트레일리아) |
경정찰 차량 |
험버 LRC | 모리스 LRC | 오터 LRC (캐나다) |
장갑차 |
AEC 장갑차 | 코벤트리 장갑차 | 다이믈러 장갑차 | 폭스 장갑차 (캐나다)
가이 장갑차 | 험버 장갑차 | 란체스터 장갑차
마몬-헤링턴 장갑차 (남아프리카 공화국) | 모리스 CS9 | 리노 중장갑차 (오스트레일리아) | 롤스로이스 장갑차 | 로버 경장갑차 (오스트레일리아) | 스탠다드 비버레테 | |
무장트럭 |
베드포드 OXA | C15TA 무장트럭 (캐나다) |
장갑 지휘차 |
AEC 장갑지휘차 | 가이 리저드 장갑지휘차 |
시험개발 차량
어벤저 | 블랙 프린스 | 센추리온 | 익셀시어 | TOG 1 | TOG 2
토터스 중돌격전차 | 밸리언트 | 해리 홉킨스 | 알렉토 | 토니크로프트 바이슨 |
제2차 세계 대전 중의 영국의 기갑 전투차량 생산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