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서드 시스템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포서드 시스템(Four Thirds System)은 디지털 SLR 카메라 디자인과 개발을 위해 올림푸스와 코닥에서 만든 표준이다. 포서드는 올림푸스 광학(Olympus Optical Co., Ltd.)의 등록 상표이다.
포서드 시스템은 서로 다른 여러 제조사의 렌즈와 사진기 바디를 상호 교환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호환성을 제공하기 위한 표준이다. 미국 특허 6,910,814에서 이를 다루고 있다.
기존 SLR 시스템과 달리, 포서드는 처음부터 끝까지 디지털을 위해 새롭게 디자인 되었다. 렌즈는 디지털 센서의 요구사항에 맞춰 디자인 되었는데, 가장 주목할 만한 특징은 telecentric 디자인이다. 이 시스템의 장점은 망원 렌즈의 크기가 작다는 것과, 센서의 각 부분에 전달되는 빛의 양이 고르다는 것을 들 수 있다. (비네팅이 적다) 예로 포서드의 300mm 망원 렌즈는 기존의 35mm 필름 규격으로 환산 시 600mm에 해당하는 시야각을 갖는다.
포서드 시스템에서는 35mm 카메라에서 사용된 36 mm × 24 mm 보다 상당히 작은 18 mm × 13.5 mm 크기의 센서를 사용한다. 센서 크기는 보통 화질과 직결되지만, (올림푸스와 코닥과 같은) 제조사는 포서드 시스템이 기존 35 mm 시스템보다 나은 디지털 센서에 특화된 설계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서 작은 센서의 화질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목차 |
[편집] 센서 크기와 종횡비
이 시스템의 이름은 이미징 센서의 크기에서 유래하였다. 사용된 센서는 "4/3 인치" 타입이었다. 그 길이는 (실제 빛이 감광되는 영역은 더 작지만) 비디콘 튜브(Vidicon tube)의 지름 크기다. 실제 센서의 대각선 길이는 22.5mm이다.
종종 이 이름이 현재 카메라에서 사용되는 센서의 4:3 종횡비로 언급되기도 한다. 포서드 시스템의 사진에서 긴 측(가로)은 짧은 측(세로)의 4/3(1.33배)이다. 이는 35mm 포맷의 종횡비 1.5와 정사각형의 종횡비 1의 중간쯤이다. 포서드 시스템에서 원형의 이미지 영역의 사이즈 이외에 종횡비에 대해서도 정의를 하고 있는지 의심이 들 수 있겠지만, 미국 특허 6,910,814에서 다음과 같은 언급이 나온다.
"카메라 바디는 원형의 이미지 영역 내에 4:3 종횡비의 화상면을 갖는 화상 획득 장치를 갖는다.(이 부분은 법적 효력이 없는 임의적인 번역입니다. 보다 자세하고 정확한 규정은 실제 특허를 참고하셔야합니다-역자주)"
실제로도 올림푸스에서 포서드용으로 디자인한 많은 렌즈들의 내부 직사각형 배플(baffle)이나 영구적으로 마운트된 "petel" 렌즈 후드들은 오직 4:3 종횡비에 맞도록 설계되었다.
[편집] 장점과 단점
[편집] 장점
- 센서의 각 부분에 전달되는 빛의 양이 고르기 때문에 비네팅이 적다.
[편집] 단점
- 저광량 촬영시 더 큰 사이즈의 이미지 센서를 가진 카메라에 비해 더 밝은 렌즈를 필요로 한다. 센서 크기가 작기 때문이다. 포서드 시스템에서 f/2 렌즈는 35mm 풀 프레임 센서를 가진 시스템의 f/4 렌즈와 비슷한 양의 빛을 통과 시킨다. 35mm 풀 프레임 시스템의 f/1.0~f/2.0 렌즈에 대응하는 포서드 시스템 렌즈는 없다.
[편집] 포서드를 채택한 회사
2006년 Photo Marketing Association Annual Convention and Trade Show에 따르면 포서드 컨소시엄은 다음과 같다.
[편집] 포서드 카메라
- 올림푸스 E-1, 2003년 11월
- 올림푸스 E-300, 2004년 12월
- 올림푸스 E-500, 2005년 9월
- 올림푸스 E-400, 2006년 9월
- 올림푸스 E-330, 2006년 1월
- 파나소닉 Lumix DMC-L1, 2006년 2월
- 라이카 Digilux 3, 2006년 9월
[편집] 포서드 렌즈
- 올림푸스는 매크로 렌즈를 포함해서 초점거리 7~300mm의 15 종의 포서드 렌즈를 만들었다.
- 시그마는 포서드 전용 혹은 호환 렌즈를 8종 만들었다.
- 라이카는 스테빌라이저(stabilisation) 기능를 갖춘 빠른 표준 줌과 25mm 일반렌즈로 2종의 포서드 렌즈를 만들었다.
[편집] 바깥 고리
- Official Four Thirds System site
- My Four Thirds: A Photographic Community for the Four Thirds Photographer
- Unofficial 4/3rds System Site: Information about Four Thirds compatible cameras and lenses.
- Four Thirds Photo: A Large and Growing Community That Supports the Four Thirds World
- US patent 6,910,814
- PDF of the above patent (1.7 Mi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