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경상북도 | |
---|---|
![]() |
|
현황 | |
면적 | 19,025.32km² |
세대 | 1,006,080가구 (2005년) |
총인구 | 2,711,900명 (2005년) |
행정구역 | 10시 13군 |
도지사 | 김관용 |
상징 | |
도목 | 느티나무 |
도화 | 백일홍 |
도조 | 왜가리 |
도청 | |
소재지 |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 |
홈페이지 | 경상북도청 |
경상북도(慶尙北道)는 대한민국 동남쪽에 있는 도로, 삼국시대 신라의 수도인 경주와 대가야의 주도인 고령이 있는 유서깊은 지역이다. 도청소재지는 대구광역시이다. 동쪽은 동해와, 남쪽은 울산·대구·경상남도와, 서쪽은 전라북도·충청북도와, 북쪽은 강원도와 접하고 있다. 중요한 도시는 안동시·영주시·상주시·김천시·구미시·경주시·포항시이다. 도목은 느티나무, 도화는 백일홍, 도조는 왜가리이다.
목차 |
[편집] 역사
1314년 고려 충숙왕 2년에 최초로 경상도로 칭해졌고, 1896년 8월에 을미개혁으로 13도제 실시에 따라 경상북도라 칭하게 되었다.
1949년에 대구, 포항, 김천이 시로 승격되었고, 울릉도를 울릉군으로 개칭하였다. 1955년에는 경주읍이 시로 승격되었고, 1963년에는 안동읍이 시로 승격되었으며 강원도 울진군이 경상북도로 편입되었다.[1]
1978년에 구미읍이, 1980년엔 영주읍이 시로 승격되었다. 1981년에 대구시가 직할시로 승격되어 경상북도와 분리되었고, 영천읍이 시로 승격되었다. 1986년엔 상주읍과 점촌읍이, 1989년엔 경산읍이 시로 승격되었다. 1995년엔 달성군이 대구광역시로 편입되어 경상북도에서 분리되었다.
[편집] 역대 도지사
[편집] 일제 시대
[편집] 기후
경상북도는 대체로 대체로 여름에는 많이 덥고, 겨울에는 온난하다.비와 눈은 적게 오는 편이다. 예외적으로 울릉도는 눈과 비가 많이 오는 편이다. 연평균 기온은 평균 14.1℃이고, 강수량 평균 106.7mm이다.
[편집] 행정구역
경상북도에는 10개의 시와 13개의 군이 있다. 포항시에는 남구와 북구의 두 행정구가 설치되어 있다.
[편집] 시
포항시, 경주시, 상주시, 김천시, 구미시, 영주시, 안동시, 문경시, 경산시, 영천시
[편집] 군
울진군, 봉화군, 영양군, 영덕군, 예천군, 청송군, 의성군, 군위군, 칠곡군, 성주군, 고령군, 청도군, 울릉군
[편집] 독도
독도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울릉군 독도리라는 행정구역을 가지고 있다. 경상북도의 행정력이 미치는 지역이고, 독도의 경비는 경북경찰청에서 담당하고 있다.
[편집] 유네스코 (UNESCO)등록 세계문화유산
[편집] 인물
역사적 인물로는 김춘추, 김유신, 이황, 최제우등이, 정치인으로는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 박근혜등이, 종교인으로는 김수환추기경 등이 있다.
[편집] 문화
[편집] 관광명소
경주시는 불국사, 석굴암, 보문단지, 문무왕릉등의 왕릉, 김유신묘등의 공신묘등 둘러 볼 유적지가 엄청 많다. 안동에는 도산서원과 하회마을등이 볼거리이고, 영주에는 부석사가, 고령에는 지산동 고분군등이 있다.
[편집] 바깥 고리
[편집] 각주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
---|---|
특별시 | 서울특별시 |
광역시 | 부산광역시 | 인천광역시 | 대구광역시 | 대전광역시 | 광주광역시 | 울산광역시 |
특별자치도 | 제주특별자치도 |
도 | 강원도 | 경기도 | 경상남도 | 경상북도 | 전라남도 | 전라북도 | 충청남도 | 충청북도 |
![]() |
이 문서는 한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