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닥 쿼크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바닥 쿼크는 3세대 쿼크로 -(1/3) e의 전하량을 지니고 있다. 모든 쿼크가 양자색역학에 의해 비슷한 방법으로 표현되긴 하지만, 바닥 쿼크는 꼭대기 쿼크를 제외한 다른 종류의 쿼크에 비해 상당히 무겁다. 질량은 4 GeV정도이며, 이는 양성자 질량의 네 배 가량이다. 이러한 높은 질량은 바닥 쿼크가 B 표지라는 기법을 통해 실험적으로 매우 관측이 용이하도록 해준다. 또한 거의 모든 꼭대기 쿼크의 붕괴는 바닥 쿼크를 생성하기 때문에 발견하기도 쉽다. 힉스 보존이 충분히 가볍다면, 역시 붕괴 과정에서 자주 생겨나기도 한다.
바닥 쿼크가 발견 되었을때, 많은 입자물리학자들이 이를 "미"("B"eauty)로, 꼭대기 쿼크는 "진리"("T"ruth)로 이름 붙이려고 하였다. 하지만 이후 이러한 작명 대신, 처음 단어는 유지한 채로 각각 바닥("B"ottom)과 꼭대기("T"op)로 명명되었다.
[편집] 바닥 쿼크를 지닌 강입자
다음과 같은 일부 강입자는 바닥 쿼크를 지니고 있다.
- B 중간자는 바닥 쿼크 혹은 반 바닥 쿼크와 함께 위 쿼크 혹은 아래 쿼크를 지닌다.
- Bc 와 Bs 중간자는 바닥 쿼크와 함께 각각 맵시 쿼크 혹은 야릇한 쿼크를 지닌다.
- 웁실론 중간자(
)를 비롯하여 많은 bottomonium 상태의 입자가 있다. 이들은 바닥 쿼크 및 반 바닥 쿼크로 구성되어 있다.
- 바닥 바리온은 관측된 적이 있으며, 야릇한 바리온과 동일한 작명법으로 명명되었다.
[편집] 바깥 고리
물리학의 기본입자 | |
---|---|
페르미온 | 쿼크: 위 | 아래 | 야릇한 | 맵시 | 바닥 | 꼭대기 |
렙톤: 전자 | 뮤온 | 타우온 | 중성미자 | |
게이지 보존 | 광자 | W 보존 | Z 보존 | 글루온 |
미관측 입자 | 힉스 보존 | 중력자 | 기타 가설 입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