힉스 보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힉스 보존(Higgs boson)은 표준모형의 페르미온들에 질량을 주는 기본입자이다. 영국의 물리학자 피터 힉스의 이름을 땄다.
[편집] 이론
힉스 입자는 표준 모형의 유일한 스칼라 입자이다. 자발적 대칭 깨짐을 통해 진공 기대값을 갖게 되면 유카와 상호작용을 통해 페르미온에 질량을 줄 수 있다. 자발적 대칭 깨짐은 힉스-앤더슨 메카니즘이라고도 한다. 힉스 이외에 컴포지트 힉스나 테크니칼라이론 등의 대안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자발적 대칭 깨짐 항목을 참조하시오.
[편집] 실험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2007년부터 가동 예정인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CERN)의 거대 하드론 충돌기에서 발견될 것으로 기대한다.
물리학의 기본입자 | |
---|---|
페르미온 | 쿼크: 위 | 아래 | 야릇한 | 맵시 | 바닥 | 꼭대기 |
렙톤: 전자 | 뮤온 | 타우온 | 중성미자 | |
게이지 보존 | 광자 | W 보존 | Z 보존 | 글루온 |
미관측 입자 | 힉스 보존 | 중력자 | 기타 가설 입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