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우온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타우온은 음전하를 지닌 기본입자로 렙톤의 한 종류이다. 수명은 3×10−13 초이며, 질량은 1,777 MeV로 매우 높다. 이에 반해, 양성자는 939 MeV이며, 전자는 0.511 MeV 밖에 되지 않는다. 타우온은 반입자로 반타우온을 가지며, 중성미자로 타우온 중성미자를 가진다.
목차 |
[편집] 분류
타우온은 3세대의 렙톤이다. 반면, 전자는 1세대 렙톤이며, 뮤온은 2세대 렙톤이다. 전자나 뮤온과 같이 타우온은 점처럼 보인다. 즉 어떠한 구조도 보이지 않으며, 있다고 해도 10−18 미터 이하일 것이라는 것이다. 또한 전자와 뮤온과 같이 타우온은 1/2의 스핀을 지니고 있다. 타우온 및 반타우온은 각각 전자 및 양전자와 동일한 전하량을 지닌다.
[편집] 붕괴
타우온은 하드론으로 붕괴하는 유일한 렙톤이다. 다른 렙톤은 붕괴에 필요한 충분한 질량을 가지고 있지 않다. 타우온 및 하드론의 붕괴과정은 약한 상호작용에 의해 일어난다.
렙톤 수가 유지되므로(중성미자 진동등을 제외하고), 타우온이 뮤온 및 전자로 붕괴하는 과정에서 타우온 중성미자가 생성된다.
타우온이 전자와 중성미자로 붕괴하는 갈래비는 18%이며, 뮤온 및 중성미자로 붕괴하는 비율 역시 비슷하다. 반면 하드론으로 붕괴하는 비율은 64%이다.
[편집] 발견
타우온은 1974년과 1977년 사이에 SLAC-LBL의 마틴 펄 연구진이 진행한 실험에 의해 발견되었다. SLAC은 SPEAR이라는 전자 및 양전자 충돌 장비를 보유했으며, LBL은 자기 관측기를 보유하고 있었다. 기기를 이용하여, 렙톤, 하드론, 광자를 서로 구분하는 것이 가능했다. 연구진은 타우온을 직접 관측하지는 못하였지만, 다음과 같은 이상한 과정을 관측하였다.
관측되지 않은 입자
처음의 에너지가 마지막까지 보존되지 않는다는 점에 미루어 관측되지 않은 입자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뮤온이나 전자, 혹은 하드론이나 광자등은 관측할 수 없었다. 후에 이러한 현상은 새로운 입자의 생성 및 붕괴를 중간과정으로 가진다고 다음과 같이 제안되었다.
이후 DESY-Heidelberg와 DELCO에서의 연구가 타우온의 질량 및 스핀을 측정하였다.
1995년 마틴 펄과 프레더릭 라이너스는 각각 타우온과 중성미자를 발견한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였다.
[편집] 같이 보기
- 입자 목록
[편집] 외부 고리
[편집] 참고 문헌
- M. L. Perl et al, "Evidence for Anomalous Lepton Production in e+-e- Annihilation" Phys. Rev. Lett., 35, 1489 (1975)
물리학의 기본입자 | |
---|---|
페르미온 | 쿼크: 위 | 아래 | 야릇한 | 맵시 | 바닥 | 꼭대기 |
렙톤: 전자 | 뮤온 | 타우온 | 중성미자 | |
게이지 보존 | 광자 | W 보존 | Z 보존 | 글루온 |
미관측 입자 | 힉스 보존 | 중력자 | 기타 가설 입자 |